[乾嗽][건수]

 

乾咳嗽者 無痰有聲 是也.

此證 本於氣澁 澁微者 連咳十數聲 方有痰出 澁甚者 雖咳十數聲 亦無痰出 是乾咳嗽也(綱目).

건수라는 것은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나는 기침을 말한다.

이것은 기가 잘 돌지 못하는 데 원인이 있다.

약간씩 기가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해야 가래가 나오고

몹시 돌지 못할 때에는 기침을 십여 번 연달아 하여도 가래가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것을 건수라고 한다[강목].

 

乾咳嗽 極難治 此係火鬱之證 乃痰鬱火邪 在肺中

用苦桔梗 以開之 下用補陰降火之劑 不已 則成勞 須行倒倉法

此不得志者 有之 用四物湯 加竹瀝 炒黃栢之類(丹心).

건수는 치료하기 매우 어렵다.

이것은 화울증(火鬱證)에 속하는데 담울(痰鬱)과 폐 속에 있어서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라지(길경)로 폐기를 통하게 한 다음 음을 보하고 화를 내리는 약을 써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허로증(虛勞證)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도창법(倒倉法)을 써야 한다.

이 병은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에게 흔히 생기는데

사물탕에 참대기름(죽력), 황백(닦은 것) 등의 약을 넣어서 써야 한다[단심].

 

燥痰不出者 用蜜水吐之

蜜煎生薑湯 蜜煎陳皮湯 燒生薑胡桃方 皆治無痰而嗽者 以辛甘潤其肺也(易老).

조담(燥痰)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꿀물을 먹고 토해야 한다.

그리고 꿀물에 생강을 달인 것이나 꿀물에 귤껍질(陳皮)을 달인 것, 태운 생강, 호두 등도 쓴다.

가래는 나오지 않으면서 기침이 날 때에는 맛이 맵고 단 약으로 폐를 눅여 주어야 한다[역로].

 

治乾嗽 補肺 生地黃1.2kg洗淨 杏仁75g 生薑 蜂蜜各150g

左擣如泥 盛磁器 置飯上 蒸五七度 每於五更 挑三匙嚥下(本事).

건수를 치료하고 폐를 보하려고 할 때에는 깨끗하게 씻은

생지황 1.2kg, 살구씨(행인) 80g, 생강, 꿀(봉밀) 각각 160g을 쓰는데

풀지게 짓찧어 사기그릇에 담아 밥짓는 데 놓아 다섯번에서 일곱번 쪄서

새벽(5更)에 3숟가락씩 녹여 먹는다[본사].

 

又方 白蜜0.6kg 生薑1.2kg 取汁 先秤銅器 知斤兩 訖內 蜜復秤知數次

內薑汁 以微火煮令 薑汁盡 惟蜜斤兩 在則止 每服如棗子大 含化日三(千金). 

또 한 가지 처방은 꿀(봉밀) 600g, 생강 1.2kg(즙을 낸다)으로 되어 있는데

먼저 약을 달일 구리그릇을 저울에 달아 중량을 잰 다음 꿀(봉밀)을 달아 넣고 그 중량을 잰다.

다음 생강즙을 넣고 약한 불에 달이는데 생강즙은 다 졸아들고 꿀(봉밀)만 남을 때까지 달인다.

한번에 대추씨만큼씩 하루 세번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천금].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嗽][주수]  (0) 2020.09.10
[血嗽][혈수]  (0) 2020.09.10
[痰嗽][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氣嗽][기수]  (0) 2020.09.08

[痰嗽][담수]

 

痰嗽者 痰出嗽止 胸膈多滿 盖濕痰在胃上 干於肺 則必作咳嗽(入門).

담수란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멎고 가슴이 몹시 그득한 것이다.

위(胃)에 있던 습담(濕痰)이 폐(肺)로 올라오면 반드시 기침이 난다[입문].

 

痰嗽者 咳動便有痰聲 痰出則止也(丹心).

담수라는 것은 기침을 하면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인데 가래가 나오면 기침이 멎는다[단심].

 

痰鬱 肺經 咳則涎多 二陳湯 加枳殼 桔梗 瓜婁仁 黃芩 貝母 又用半瓜丸.

담이 폐경(肺經)에 몰려서 기침이 나고 담연(痰涎)이 많이 나오는 데는

이진탕에 지각, 도라지(길경), 하늘타리씨(과루인), 속썩은풀(황금), 패모를 넣어서 쓴다. 또 반과환도 쓴다.

 

寒熱交作 而痰嗽者 小柴胡湯方見寒門 加知母 白芍藥 五味子 桑白皮(正傳).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담수가 있는 데는 소시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지모,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넣어서 쓴다[정전].

 

痰盛有熱 宜滾痰丸方見痰門

가래가 많이 나오면서 열이 나는 데는 곤담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痰嗽 宜洗肺散 橘甘散 滴油散 二母散 玉芝元 澄淸飮 三聖丹 藍漆煎元 安肺散 人參散.

담수 때에는 세폐산, 귤감산, 적유산, 이모산, 옥지원, 증청음, 삼성단, 남칠전원, 안폐산, 인삼산을 쓴다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嗽][혈수]  (0) 2020.09.10
[乾嗽][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氣嗽][기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8

[痰嗽][담수]

 

痰嗽者 痰出嗽止 胸膈多滿 盖濕痰在胃上 干於肺 則必作咳嗽(入門).

담수란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멎고 가슴이 몹시 그득한 것이다.

위(胃)에 있던 습담(濕痰)이 폐(肺)로 올라오면 반드시 기침이 난다[입문].

 

痰嗽者 咳動便有痰聲 痰出則止也(丹心).

담수라는 것은 기침을 하면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인데 가래가 나오면 기침이 멎는다[단심].

 

痰鬱 肺經 咳則涎多 二陳湯 加枳殼 桔梗 瓜婁仁 黃芩 貝母 又用半瓜丸.

담이 폐경(肺經)에 몰려서 기침이 나고 담연(痰涎)이 많이 나오는 데는

이진탕에 지각, 도라지(길경), 하늘타리씨(과루인), 속썩은풀(황금), 패모를 넣어서 쓴다. 또 반과환도 쓴다.

 

寒熱交作 而痰嗽者 小柴胡湯方見寒門 加知母 白芍藥 五味子 桑白皮(正傳).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담수가 있는 데는 소시호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지모,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넣어서 쓴다[정전].

 

痰盛有熱 宜滾痰丸方見痰門

가래가 많이 나오면서 열이 나는 데는 곤담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痰嗽 宜洗肺散 橘甘散 滴油散 二母散 玉芝元 澄淸飮 三聖丹 藍漆煎元 安肺散 人參散.

담수 때에는 세폐산, 귤감산, 적유산, 이모산, 옥지원, 증청음, 삼성단, 남칠전원, 안폐산, 인삼산을 쓴다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乾嗽][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氣嗽][기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6

[氣嗽][기수]

 

七氣積傷 成咳嗽

痰涎凝結 或如敗絮 或如梅核 滯塞咽喉 咯不出嚥不下 婦人多有之(入門).

기수는 7가지 기(氣)에 상하여 생긴 기침이다.

이때에는 담연(痰涎)이 뭉쳐 혹 헌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붙어 있으면서 뱉으려고 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는다.

이런 병은 부인들에게 흔히 있다[입문].

 

氣嗽 宜蘇子降氣湯方見氣門 加味四七湯方見神門

圓參飮子 靑龍散 三子養親湯 蘇子煎 玉粉丸 星香丸 橘薑丸(諸方).

기수 때에는 소자강기탕(처방은 기문에 있다), 가미사칠탕(처방은 신문에 있다),

단삼음자, 청룡산, 삼자양친탕, 소자전, 옥분환, 성향환, 귤강환 등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嗽][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6
[勞嗽][노수]  (0) 2020.09.06

[食積嗽][식적수]

 

因食積 生痰 咳嗽胸滿 噫酸 宜二陳湯方見痰飮 加厚朴 山査子 麥芽(入門)

식적(食積)으로 담이 생기면서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신트림이 난다.

이런 데는 이진탕에 후박,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을 넣어서 쓴다[입문].

 

食積嗽 非靑黛 瓜婁實 不除

又云 食積 人面靑白黃色不常 面上如蟹爪路 一黃一白是也.

식적으로 생긴 기침은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쓰지 않으면 멎지 않는다. 

그리고 식적이 있으면 얼굴이 퍼러면서 허옇게 되고 누른빛은 있었다 없었다 한다. 

그러므로 마치 얼굴이 게발톱같이 한쪽은 누렇고 한쪽은 허옇다. 

 

食積痰嗽 發熱者 半夏南星並製爲君

瓜婁實蘿葍子爲臣 靑黛石磏爲使 薑汁糊爲丸服(丹心)

식적으로 담이 생기면서 기침이 나고 열이 나는 데는

끼무릇(반하)과 천남성을 법제하여 주약으로 쓰고

하늘타리씨(과루인)와 무씨(나복자)를 신약으로 쓰며

청대와 석렴을 좌사약으로 쓰는데 생강즙에 쑨 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一方 三補丸芩連栢也 加二母(知母 貝母)炒爲末 水丸椒核大 而竹瀝藕汁 呑之(丹心).

어떤 책에는 “삼보환(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으로 된 것이다)에 

지모, 패모를 닦아서 넣고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후추(호초)알만하게 

알약을 만드어 참대기름(죽력)과 연뿌리즙으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단심]. 

 

食積嗽 宜瓜婁丸 靑金丸 二母寧嗽湯 溫脾湯 香附丸(諸方).

식적수 때에는 과루환, 청금환, 이모영수탕, 온비탕, 향부환 등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嗽][담수]  (0) 2020.09.08
[氣嗽][기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6
[勞嗽][노수]  (0) 2020.09.06
[鬱嗽][울수]  (0) 2020.09.06

[食積嗽][식적수]

 

因食積 生痰 咳嗽胸滿 噫酸 宜二陳湯方見痰飮 加厚朴 山査子 麥芽(入門)

식적(食積)으로 담이 생기면서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신트림이 난다.

이런 데는 이진탕에 후박,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을 넣어서 쓴다[입문].

 

食積嗽 非靑黛 瓜婁實 不除

又云 食積 人面靑白黃色不常 面上如蟹爪路 一黃一白是也.

식적으로 생긴 기침은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쓰지 않으면 멎지 않는다. 

그리고 식적이 있으면 얼굴이 퍼러면서 허옇게 되고 누른빛은 있었다 없었다 한다. 

그러므로 마치 얼굴이 게발톱같이 한쪽은 누렇고 한쪽은 허옇다. 

 

食積痰嗽 發熱者 半夏南星並製爲君

瓜婁實蘿葍子爲臣 靑黛石磏爲使 薑汁糊爲丸服(丹心)

식적으로 담이 생기면서 기침이 나고 열이 나는 데는

끼무릇(반하)과 천남성을 법제하여 주약으로 쓰고

하늘타리씨(과루인)와 무씨(나복자)를 신약으로 쓰며

청대와 석렴을 좌사약으로 쓰는데 생강즙에 쑨 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一方 三補丸芩連栢也 加二母(知母 貝母)炒爲末 水丸椒核大 而竹瀝藕汁 呑之(丹心).

어떤 책에는 “삼보환(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으로 된 것이다)에 

지모, 패모를 닦아서 넣고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후추(호초)알만하게 

알약을 만드어 참대기름(죽력)과 연뿌리즙으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단심]. 

 

食積嗽 宜瓜婁丸 靑金丸 二母寧嗽湯 溫脾湯 香附丸(諸方).

식적수 때에는 과루환, 청금환, 이모영수탕, 온비탕, 향부환 등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嗽][기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8
[勞嗽][노수]  (0) 2020.09.06
[鬱嗽][울수]  (0) 2020.09.06
[濕嗽][습수]  (0) 2020.09.06

[勞嗽][노수]

 

虛勞 咳嗽也

허로(虛勞)하여 생긴 기침을 말한다.

 

勞嗽者 盜汗出 兼痰多 作寒熱 宜補陰淸金 四物湯 加竹瀝 薑汁.

노수로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고 춥다가 열이 날 때에는 

음(陰)을 보하고 폐금(肺金)을 시원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에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넣어 쓴다. 

 

陰虛火動 而咳 四物合二陳湯 加黃栢 知母.

음이 허하고 화가 동하여 기침이 나는 데는 사물탕과 이진탕을 섞은 데 황백과 지모를 넣어 쓴다.

 

陰虛 喘嗽 或吐血 四物加知母 黃栢 麥門冬五味子 桑白皮 地骨皮(醫鑒).

음이 허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혹 피를 토하는 데는 

사물탕에 황백, 지모, 오미자, 맥문동,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를 넣어서 쓴다[의감]. 

 

好色之人 元氣虛弱 咳嗽不愈 宜瓊玉膏方見身形 治虛勞 乾咳嗽 最捷(丹心).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사람이 원기가 허약하여 기침이 멎지 않는 데는 

경옥고(처방은 신형문(身形門)에 있다)를 쓴다. 

이 약은 허로로 마른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제일 좋다[단심]. 

 

勞嗽 宜人參淸肺湯 加味二母丸 人參芎歸湯 加味人參紫菀散

潤肺丸 補肺湯 溫金散 大寧嗽湯 知母湯 寧嗽膏 大阿膠元(諸方).

노수에는 인삼청폐탕, 가미이모환, 인삼궁귀탕, 가미인삼자원산, 

윤폐환, 보폐탕, 온금산, 대녕소탕, 지모탕, 영수고, 대아교원을 쓴다[저방]. 

 

酒色過度 虛勞 少血津液 內耗心火 自炎 遂使燥熱 乘肺 咯唾膿血

上氣涎潮 其嗽 連續而不已 須用六味地黃丸方見虛勞 加橘紅 貝母 黃栢 知母(入門).

주색(酒色)이 지나쳐서 허로가 되면 혈이 적어지고

진액(津液)이 줄어들면 심화(心火)가 저절로 타오르게 된다.

그러면 조열(燥熱)이 폐로 들어가게 되어 피고름을 뱉게 되고

기가 위[上]로 치밀며 담이 끓으면서[涎潮] 기침이 연이어 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육미지황환(처방은 허로문에)에 귤홍, 패모, 황백, 지모를 넣어 써야 한다[입문].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積嗽][식적수]  (0) 2020.09.08
[食積嗽][식적수]  (0) 2020.09.06
[鬱嗽][울수]  (0) 2020.09.06
[濕嗽][습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鬱嗽][울수]

 

卽火嗽 甚者 乾咳而無痰 乃腎水焦枯 火邪獨炎 於肺

宜瀉白散方見五藏 方見上 嗽作有四時早晏之異 淸化丸 訶黎勒丸 霞天膏方見吐門.

이것이 바로 화수[火咳]가 심해진 것이다.

이때에는 마른 기침만 나고 가래는 없는데

그것은 신수(腎水)가 말라서 축여 주지 못하고 화사(火邪)만 폐에서 날치기[炎] 때문이다.

이때에는 사백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 청화환, 가려륵환, 하천고(처방은 구토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火鬱者 有聲痰少 面赤者 是也 宜用淸金降火湯.

화울(火鬱)이 되면 기침소리는 있으나 담이 적고 얼굴이 벌겋게 된다.

이때에는 청금강화탕을 쓴다.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積嗽][식적수]  (0) 2020.09.06
[勞嗽][노수]  (0) 2020.09.06
[濕嗽][습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濕嗽][습수]

 

濕勝肺者 咳則身重 骨節煩疼 洒淅(入門).

습사(濕邪)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기침인데

이때에는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煩疼) 으슬으슬 춥다( 淅)[입문].

 

濕傷咳者 脈細 骨節煩疼 四肢重着 或有汗 小便不利(醫鑒).

습에 상하여 기침할 때는 맥이 세(細)하고 뼈마디가 안타깝게 아프며

팔다리가 무겁고 혹 땀이 나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다[의감].

 

濕嗽 宜不換金正氣散方見寒門 白朮湯 白朮丸.

습수에는 불환금정기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백출탕, 백출환을 쓴다.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勞嗽][노수]  (0) 2020.09.06
[鬱嗽][울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寒嗽][한수]  (0) 2020.09.06

[熱嗽][열수]

 

傷於暑熱 而得咳 則口燥 聲嘶 吐沫(入門).

서열(暑熱)에 상하여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입이 마르고 목이 쉬며 거품침을 토한다[입문].

 

傷暑咳者 脈數 煩熱引飮 口燥或吐涎沫 聲嘶咯血(醫鑒).

더위에 상하여 기침을 할 때에는 맥이 삭하고 번열(煩熱)이 나며 

물을 켜고[引飮] 입이 마르며 거품침을 토하고 목이 쉬며 각혈한다[의감]. 

 

凡咳嗽 面赤 胸腹脇常熱 惟足乍有凉時 其脈洪滑者 熱痰在內也

宜小陷胸湯方見寒門 能治熱嗽 胸滿(綱目).

기침하면서 얼굴이 벌겋게 되고 가슴과 배와 옆구리가 늘 달며[常熱] 

발만 때때로 서늘해지고 맥이 홍활(洪滑)한 것은 열담(熱痰)이 속에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소함흉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이 약은 열수로 가슴이 그득한 것도 잘 치료한다[강목]. 

 

熱嗽 宜辰砂六一散方見暑門 洗肺散 人參瀉肺湯 貝母散

參朮調中湯 芩半丸 小黃丸 黃連化痰丸 四汁膏(諸方).

열수에는 진사육일산(처방은 서문에 있다), 세폐산, 인삼사폐탕, 패모산,

삼출조중탕, 금반환, 소황환, 황련화담환, 사즙고 등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鬱嗽][울수]  (0) 2020.09.06
[濕嗽][습수]  (0) 2020.09.06
[熱嗽][열수]  (0) 2020.09.06
[寒嗽][한수]  (0) 2020.09.06
[風嗽][풍수]  (0) 2020.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