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積嗽][식적수]
因食積 生痰 咳嗽胸滿 噫酸 宜二陳湯方見痰飮 加厚朴 山査子 麥芽(入門)
식적(食積)으로 담이 생기면서 나는 기침인데 이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신트림이 난다.
이런 데는 이진탕에 후박,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을 넣어서 쓴다[입문].
食積嗽 非靑黛 瓜婁實 不除
又云 食積 人面靑白黃色不常 面上如蟹爪路 一黃一白是也.
식적으로 생긴 기침은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쓰지 않으면 멎지 않는다.
그리고 식적이 있으면 얼굴이 퍼러면서 허옇게 되고 누른빛은 있었다 없었다 한다.
그러므로 마치 얼굴이 게발톱같이 한쪽은 누렇고 한쪽은 허옇다.
食積痰嗽 發熱者 半夏南星並製爲君
瓜婁實蘿葍子爲臣 靑黛石磏爲使 薑汁糊爲丸服(丹心)
식적으로 담이 생기면서 기침이 나고 열이 나는 데는
끼무릇(반하)과 천남성을 법제하여 주약으로 쓰고
하늘타리씨(과루인)와 무씨(나복자)를 신약으로 쓰며
청대와 석렴을 좌사약으로 쓰는데 생강즙에 쑨 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一方 三補丸芩連栢也 加二母(知母 貝母)炒爲末 水丸椒核大 而竹瀝藕汁 呑之(丹心).
어떤 책에는 “삼보환(속썩은풀(황금), 황련, 황백으로 된 것이다)에
지모, 패모를 닦아서 넣고 가루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후추(호초)알만하게
알약을 만드어 참대기름(죽력)과 연뿌리즙으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단심].
食積嗽 宜瓜婁丸 靑金丸 二母寧嗽湯 溫脾湯 香附丸(諸方).
식적수 때에는 과루환, 청금환, 이모영수탕, 온비탕, 향부환 등을 쓴다[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