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和劑方 治風化痰 安神定志 利咽膈 淸頭目
白礬枯過別硏 辰砂飛硏各半兩 半夏洗七次姜汁搗作麯三兩
南星一兩炮 以白礬 半夏麯 天南星爲末 和勻 生姜汁
煮麪糊 丸如梧桐子大 別用 辰砂爲衣 每服20丸 食後姜湯下.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進食丸][진식환]   (0) 2019.02.06
[辰砂丸][진사환]   (0) 2019.02.06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0) 2019.02.06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0) 2019.02.06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0) 2019.02.06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治勞神過度, 致傷心血, 驚悸怔忡, 夢寐不寧, 若有人來捕, 漸成心疾, 甚至癲狂.
辰砂 二兩 用好酒二升煮, 酒將盡, 留二盞用之,

遠志 薑製, 石菖蒲, 酸棗仁 炒, 乳香 灸, 當歸 酒洗, 白茯神, 白茯苓 各七錢,
人蔘 五錢.
右爲末, 猪心一箇硏如泥, 入藥末, 幷煮辰砂酒攪勻, 丸如菉豆大.
臨臥棗湯下六七十丸[回春].
신(神)을 지나치게 써서 심혈(心血)을 상하여 경계, 정충이 생기고 잠자리가 뒤숭숭하며 마치 누군가가 나를 잡으러올 것 같고, 점점 심병이 되어 심하면 전광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진사 두 냥(좋은 술 두 되에 넣고 졸여 술이 두 잔 정도 되게 하여 쓴다),
원지(생강으로 법제한 것), 석창포, 산조인(볶은 것),

유향(구운 것), 당귀(술로 씻은 것), 백복신, 백복령 각 일곱 돈,
인삼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돼지 심장 한 개를 진득하게 갈아서 넣는다.
이를 진사주에 넣고 잘 섞어서 졸인 다음 녹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잘 때 대추 달인 물로 예순에서 일흔 알씩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辰砂丸][진사환]   (0) 2019.02.06
[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0) 2019.02.06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0) 2019.02.06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0) 2019.02.06
[鎭驚丸][진경환]   (0) 2019.02.06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治痔 大便燥硬 痛不可忍
秦芃 桃仁泥 皂角仁燒存性 各40g
當歸梢 澤瀉 枳實 白朮 各20g
地楡12g
爲末 麪糊和丸 芡實大 令藥丸光滑焙乾 白湯下50~70丸
美饍 壓下(東垣).
치질 때 대변이 몹시 굳어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진교, 복숭아씨(도인, 잘 짓찧은 것),
주염열매(조각,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각각 40g,
당귀(잔뿌리), 택사, 지실, 흰삽주(백출) 각각 20g,
오이풀뿌리(지유)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되 알약을 매끈하게 만들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은 다음
음식을 먹어 약 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한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0) 2019.02.06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0) 2019.02.06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0) 2019.02.06
[鎭驚丸][진경환]   (0) 2019.02.06
[鎭肝丸][진간환]   (0) 2019.02.06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治痔, 大便燥硬, 痛不可忍.
秦艽, 桃仁 泥, 皂角仁 燒存性 各一兩,
當歸梢, 澤瀉, 枳實, 白朮 各五錢,
地楡 三錢.
右爲末, 麪糊和丸芡實大, 令藥丸光滑焙乾, 白湯下五七十丸, 美饍壓下[東垣].
치질에 대변이 말라 딱딱해져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진교, 도인(짓이긴 것), 조각인(소존성으로 태운 것) 각 한 냥,
당귀초, 택사, 지실, 백출 각 닷 돈,
지유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감실대의 알약을 반들반들하게 만들어 약한 불에 말린다.
쉰에서 일흔 알씩 끓인 물로 먹은 다음 맛있는 음식을 먹어 약 기운을 내려보낸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0) 2019.02.06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0) 2019.02.06
[鎭驚丸][진경환]   (0) 2019.02.06
[鎭肝丸][진간환]   (0) 2019.02.06
[地黃丸][지황환]   (0) 2019.02.06

[鎭驚丸][진경환]
治急驚風 鎭驚寧神 退熱化痰
牛膽南星20g
朱砂14g
琥珀 天竺黃 雄黃 各12g
牛黃8g, 眞珠4g, 麝香2g, 金箔10片
爲末 麪糊和 丸梧子大 金箔爲衣 薄荷薑蜜湯下5~6丸(正傳).
급경풍을 치료하는데 경련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열을 내리고 담을 삭힌다.
우담낭성 20g, 주사 14g,
호박, 천축황, 석웅황(웅황) 각각 12g,
우황 8g, 진주 4g, 사향 2g, 금박 10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5-6알씩 박하와 생강, 꿀을 넣고 달인 물로 먹인다[정전].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0) 2019.02.06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0) 2019.02.06
[鎭肝丸][진간환]   (0) 2019.02.06
[地黃丸][지황환]   (0) 2019.02.06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0) 2019.02.06

[鎭肝丸][진간환]
治急驚風熱
天竺黃 生乾地黃 當歸 竹葉 草龍膽 川芎 大黃煨 羗活 防風 各10g
爲末 蜜丸 芡實大 每2丸 砂糖水化下(綱目).
급경풍 때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천축황, 생건지황, 당귀, 참대잎, 초룡담, 궁궁이(천궁),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사탕물에 풀어 먹인다[강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秦艽白朮丸][진교백출환]  (0) 2019.02.06
[鎭驚丸][진경환]   (0) 2019.02.06
[地黃丸][지황환]   (0) 2019.02.06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0) 2019.02.06
[止痛丸][지통환]  (0) 2019.02.05

[抑陰地黃丸][억음지황환]
治寡婦勞證
生乾地黃80g
赤芍藥40g
柴胡 黃芩 秦芃 各20g
爲末 蜜丸 梧子大 梅湯下 30~50丸(入門).
과부의 허로증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80g,
함박꽃뿌리(적작약) 40g,
시호, 속썩은풀(황금), 진교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오매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黑地黃丸][흑지황환]
治久痔痔漏下膿血虛者服之神妙治痔之聖藥也
蒼朮一斤厹浸
熟地黃一斤 五味子八兩
乾薑(秋冬一兩 春七錢 夏五錢)
右爲末棗肉和丸梧子大空心米飮或溫酒下百丸[保命]
오랜 치질과 치루(痔漏)로 피고름이 나오면서 허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잘 낫는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600g,
숙지황 600g, 오미자 320g,
건강(가을과 겨울에는 40g, 봄에는 28g, 여름에는 20g을 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빈속에 미음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보명].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治腎水不足 陰虛
熟地黃300g
山藥 山茱萸 各150g
茯苓 牧丹皮 澤瀉 各112.5g.
爲末 蜜丸 梧子大 溫酒 塩湯 空心 呑下50~70丸(正傳)
찐지황(숙지황) 320g,
마(서여), 산수유 각각 160g,
택사,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0g.
신수(腎水)가 부족하고 음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물로 빈속에 먹는다[정전].
血虛陰衰 熟地黃爲君, 精滑 山茱萸爲君,
小便或多或少 或赤或白 茯苓爲君,
小便淋澁 澤瀉爲君, 心氣不足 牧丹皮爲君,
皮膚蹇澁 山藥爲君(綱目)
因房勞過多 咯唾膿血 加橘紅 貝母 黃栢 知母(入門).
혈이 허하고 음(陰)이 부족한 데는 찐지황(숙지황)을 주약[君]으로 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산수유를 주약으로 하며
오줌이 혹 많거나 적거나 벌겋거나 뿌연 데는 솔풍령(복령)을 주약으로 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택사를 주약으로 하고
심기가 부족한 데는 모란껍질(목단피)을 주약으로 하며
피부가 말라 깔깔하고 윤기가 없는 데는 마(서여)를 주약으로 해야 한다[강목].

[生熟地黃丸][생숙지황환]
治血虛眼昏
生乾地黃 熟地黃 玄蔘 石膏 各40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茶淸下 50~70丸(入門).
혈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찐지황, 현삼, 석고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찻물로 먹는다[입문].

[明目地黃丸][명목지황환]
生精補血 補腎益肝 退瞖膜遮睛 除羞澁多淚 幷暴赤熱眼
生乾地黃酒洗 熟地黃 各160g
牛膝酒洗 白蒺藜炒 各120g
知母塩水炒 黃栢酒炒 免絲子酒製 獨活 枸杞子80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塩湯下100丸(回春).
정(精)을 생겨나게 하고 혈(血)과 신(腎)을 보하며 간(肝)을 좋아지게 하고
검은자위에 가리운 예막과 눈이 부시고 깔깔하며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없앤다.
또한 갑자기 눈에 피지고 열이 나는 병도 치료한다.
생건지황(술에 씻은 것), 찐지황(숙지황) 각각 160g,
쇠무릎(술에 씻은 것), 남가새열매(백질려, 닦은 것) 각각 120g,
지모(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따두릅(독활), 구기자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회춘].

[明眼地黃丸][명안지황환]
治老人冷淚昏花
熟地黃 生乾地黃 各160g
石斛 甘菊 防風 枳殼 各40g
牛膝30g, 杏仁20g.
爲末 蜜丸 梧子大空心 溫酒 或塩湯 下 50~70丸(得效).
늙은이가 찬 눈물을 흘리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건지황 각각 160g,
석곡, 단국화(감국), 방풍, 지각 각각 40g,
쇠무릎 30g, 살구씨(행인)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治血少 神勞腎虛 眼目昏暗 瞳子散大 視物昏花,
法當養血 凉血 散火除風
熟地黃40g
柴胡32g
生乾地黃酒焙30g
當歸身酒洗 黃芩 各20g
天門冬 地骨皮 五味子 黃連 各12g
人蔘 枳殼 甘草灸 各8g
爲末 蜜丸菉豆大 每100丸 茶淸送下(丹心).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腎)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서 동공이 산대(散大)되어 물건이 어렴풋하게 보이고
꽃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치료는 반드시 혈을 보하고 혈에 있는 열을 내리우며
화(火)를 헤쳐 버리고 풍(風)을 없애야 한다.
찐지황 40g, 시호 32g,

생건지황(술에 축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30g, 

당귀(술에 씻은 것), 속썩은풀(황금) 각각 20g, 

천문동, 지골피, 오미자, 황련 각각 12g, 

인삼, 지각, 감초(닦은 것)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찻물로 먹는다[단심].

[熟地黃丸][숙지황환]

凡眼視漸昏 乍明乍暗 此失血之驗也

宜服此 與定志丸 兼服尤佳(保命)

일명 숙지황환(熟地黃丸)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눈이 점차 어두워지면서 금방 어두워졌다

금방 밝아졌다 하는 것은 피를 많이 흘렸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이 약과 정지환(定志丸)을 같이 먹는 것이 더 좋다[보명].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鎭驚丸][진경환]   (0) 2019.02.06
[鎭肝丸][진간환]   (0) 2019.02.06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0) 2019.02.06
[止痛丸][지통환]  (0) 2019.02.05
[枳朮丸][지출환]   (0) 2019.02.05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治血瘕如盃在臍下作痛.
熟地黃 二兩,
虻蟲 炒, 水蛭 糯米同炒去米, 桃仁 各五十箇.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溫酒下七八十丸[正傳].
술잔을 엎어놓은 듯한 혈가(血瘕)가 배꼽 밑에 생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숙지황 두 냥,
맹충(볶은 것), 수질(찹쌀과 함께 볶은 다음 쌀은 버린다), 도인 각 쉰 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따뜻한 술로 일흔에서 여든 알씩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鎭肝丸][진간환]   (0) 2019.02.06
[地黃丸][지황환]   (0) 2019.02.06
[止痛丸][지통환]  (0) 2019.02.05
[枳朮丸][지출환]   (0) 2019.02.05
[地芝丸][지지환]  (0) 2019.02.05

[七聖丸][칠성환]
治肛門痛 不可忍 脈訣曰
“積氣生於脾臟 傍大腸疼痛 陣難當 此藥主之”
郁李仁泥60g
羗活40g
大黃煨32g
檳榔 桂心 木香 川芎各 20g
爲末 蜜丸梧子大 白湯下30~50丸 微利卽愈 切不可快利
其痛澁甚(正傳)
一名, [止痛丸] (入門).
항문이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맥결에는 “기(氣)가 비장(脾藏) 곁에 몰려 있어서
대장이 진통이 오는 것처럼 견디지 못하게 아플 때
이 약을 주로 쓴다”고 씌어 있다.
이스라치씨(욱리인, 잘 짓찧은 것) 60g,
강호리(강활) 40g,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32g,
빈랑, 계심, 목향, 궁궁이(천궁)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梧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그 다음 약간 설사가 나면 낫는다.
절대로 세게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세게 설사시키면 아픔이 더 심해진다[정전].
일명 지통환(止痛丸)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丸][지황환]   (0) 2019.02.06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0) 2019.02.06
[枳朮丸][지출환]   (0) 2019.02.05
[地芝丸][지지환]  (0) 2019.02.05
[枳實理中丸][지실이중환]   (0) 2019.02.05

[枳朮丸][지출환]
治痞消食强胃
白朮80g
枳實麩炒40g.
爲末 荷葉裹燒飯和 丸梧子大 熟水下50~70丸至100丸.
或爲人 所勤勉 過食致 傷但服此 令胃强不復傷也
本[仲景方] [枳朮湯]也
至[易老] 爲丸名曰 [枳朮丸](東垣).
명치 아래가 트릿한 것을 치료하는데 음식을 소화시키고 위(胃)를 든든하게 한다.
흰삽주(백출) 80g,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연잎(荷葉)에 싸서 익힌 밥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10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혹 사람들의 권고에 못 이겨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체한데
이 약을 먹으면 위기(胃氣)가 든든해져서 다시 체하지 않는다.
본래 중경(仲景)의 처방은 지출탕인데
역로(易老)가 고쳐서 알약을 만들어 지출환이라고 하였다[동원].

[加味枳朮丸][가미지출환]
治淸痰 食積酒積 茶積肉積 在胃脘當心而痛
及痞滿惡心 嘈雜噫氣 呑酸嘔吐 脾疼等證
白朮120g
枳實 蒼朮 猪苓 麥芽炒神麯炒 半夏 各40g
澤瀉 赤茯苓 川芎 黃連東壁土同炒白螺螄殼 各28g
縮砂 草豆蔲 黃芩東壁土炒靑皮 蘿葍子炒 乾生薑 各20g
陳皮去白便香附 瓜蔞仁 厚朴 檳榔 各12g
木香 甘草 各8g
爲末 靑荷葉泡湯浸 粳米粉 作糊和丸
梧子大 淸米飮下100丸(正傳).
묽은 담[淸痰], 식적(食積), 주적(酒積), 다적(茶積), 육적(肉積)으로
가슴이 아픈 것처럼 위가 아픈 것과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메슥메슥하고
명치 아래가 괴로우며 트림하고 속이 쓰리며 토하는 것과 비심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20g,
지실, 삽주(창출), 저령,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끼무릇(반하) 각각 40g,
택사, 벌건솔풍령(적복령), 궁궁이(천궁), 황련(동쪽 벽의 흙과 같이 닦은 것),
흰소라껍질(白螺 殼, 달군 것) 각각 28g,
사인, 초두구, 속썩은풀(황금, 동쪽 벽의 흙과 같이 닦은 것), 선귤껍질(청피),
무씨(나복자, 닦은 것), 생강(말린 것) 각각 20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하늘타리씨(과루인), 후박, 빈랑 각각 12g,
목향, 감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푸른 연잎을 우린 물에 담갔다 낸
입쌀가루로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멀건 미음으로 먹는다[정전].

[竹瀝枳朮丸][죽력지출환]
治老人 虛人痰盛 不思飮食 健脾消食 化痰淸火 去眩暈
半夏 南星以白礬皂角生薑同煮半日去皂薑焙乾 枳實 條芩
陳皮 蒼朮泔浸鹽水炒 山査肉 白芥子炒 白茯苓 各40g
黃連薑汁炒 當歸酒洗 各20g
爲末 神麴240g
作末 以薑汁 竹瀝 各一盞 煮糊和 丸梧子大 淡薑湯
或白湯下100丸(入門).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담(痰)이 성하여 음식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담을 삭이고
화(火)를 내리며 어지럼증을 없앤다.
끼무릇(반하), 천남성(백반과 주염열매(조협), 생강과 함께 넣고 달여서
주염열매와 생강은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지실, 속썩은풀(황금),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찔광이(산사), 흰겨자(닦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약누룩(신국) 240g을 가루내서 생강즙과 참대기름 각각 1잔씩
섞은 데 넣고 풀을 쑨다. 여기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橘皮枳朮丸][귤피지출환]
治飮食不消 心下痞悶
枳朮丸(白朮80g 枳實麩炒40g).
加 橘皮40g
製法服用法. 同枳朮丸[丹心].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며 명치 밑이 트릿하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지출환 본방에 귤껍질(橘皮) 40g을 더 넣은 것이다.
만드는 방법이나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단심)
用藥大法所貴服之强人胃氣令益厚雖猛食多食重食而不復致傷也
약쓰는 법에서 중요한 것은 약을 먹고
위기를 든든하게 해주어 과식하여도 다시 체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枳朮丸乃易老張先生之所制用
白朮二兩以補脾枳實一兩以消搽
至東垣 加陳皮一兩以和胃一補一瀉簡而
又當眞得立方之旨也[丹心]
지출환은 장역로(張易老)가 만든 처방인데
흰삽주(백출) 80g으로 비를 보하고
지실 40g으로 명치 밑이 트릿한 것을 없어지게 하였는데
이동원(李東垣) 때에 와서 귤껍질(陳皮) 40g을 더 넣어
위(胃)를 고르게[和] 하였다.
이 처방을 보면 한편으로는 보하고 한편으로는 사하게 했으며
또 간단하면서도 곧 효력이 나타나게 만든 그 뜻을 알 수 있다[단심].

[木香枳朮丸][목향지출환]
消飮食破滯氣.
枳朮丸(白朮80g 枳實麩炒40g).
加 木香40g.
製法 服用法 同枳朮丸(東垣).
음식물을 소화시키며 체기(滯氣)를 없앤다.

지출환 본방에 목향 40g을 더 넣은 것이다.

만드는 방법이나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동원].


[半夏枳朮丸][반하지출환]

治傷冷食痰盛.

枳朮丸(白朮80g 枳實麩炒40g)

加 半夏薑製40g.

製法 服用法 同枳朮丸(東垣).

찬 음식에 체해서 담이 성한 것을 치료한다.

지출환 본방에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40g을 더 넣은 것이다.

만드는 방법과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동원].


[麴蘗枳朮丸][국벽지출환]

治食傷心胸滿悶不快

枳朮丸(白朮80g 枳實麩炒40g)

加 神麯炒 麥芽炒 各40g.

製法 服用法 同枳朮丸(東垣).

음식에 체해서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여 괴로운 것을 치료한다.

지출환 본방에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40g더 넣은 것이다.

만드는 방법과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동원].


[橘半枳朮丸]귤반지출환]

治飮食傷 痞悶

枳朮丸(白朮80g 枳實麩炒40g).

加 陳皮 半夏 各一兩.

製法 服用法 同枳朮丸(東垣).

음식에 체하여 속이 트릿하고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지출환 본방에 귤껍질(橘皮),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각각 40g더 넣은 것이다.

만드는 방법과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동원].


[橘連枳朮丸][귤련지출환]

補脾和胃 消食化痰 瀉火

白朮120g

枳實麩炒 陳皮 黃連酒浸炒 各40g

爲末 荷葉煮湯 打米糊和 丸梧子大 服用法 同枳朮丸(東垣).

()를 보하고 위()를 고르게 하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담을 삭이며 화를 내린다.

흰삽주(백출) 120g,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귤껍질(陳皮), 황련(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연잎 끓인 물에 쌀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먹는 법은 지출환과 같다.[동원]

[張易老] 取 白朮80g 以補脾枳實40g 以消痞,

取其補多而消少 至東垣

加 橘皮40g 以和胃則補消相半也.

予用 白朮120g

枳實 陳皮 黃連 各40g 乃補多消食

又兼淸熱也(方廣).

장역로(張易老)는 흰삽주(백출) 80g으로 비를 보하고

지실 40g으로 트릿한 것을 없어지게 하였는데

이 처방은 보하는 작용이 많고 소화시키는 작용이 약하다.

동원 때에 와서 귤껍질(橘皮) 40g을 더 넣어

위를 고르게 하였으므로 보하는 작용과 소화시키는 작용이 같아지게 되었다.

나는 흰삽주(백출) 120g,

지실, 귤껍질(陳皮), 황련 각각 40g을 넣었더니

보하는 작용이 많았고 음식을 소화시켰을 뿐아니라 또 열을 내리게 하였다[방광].

荷葉包飯爲丸 恐不能盡 荷葉之味 不若以荷葉煮粥 用之更妙(丹心).

연잎(하엽)에 싸서 익힌 밥으로 알약을 만드는 것은

연잎의 맛을 다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으므로

연잎 끓인 물로 쑨 죽으로 알약을 만드는 것이 좋다[단심].

初末悟荷葉飯爲丸之理 老年味之始得 可謂奇矣 夫荷葉之物

中央空象震卦之體 人感之生 足少陽甲膽 先化萬物之根蔕也

飮食入胃 榮氣上行 卽少陽甲膽之氣也.

荷葉色靑 形乃空象 風木者也.

食藥感 此氣之化胃氣 何由不上升乎.

以爲引用 可謂遠識深慮 合於道也(東垣).

처음에는 연잎에 싸서 익힌 밥(荷葉飯)으로

알약을 만드는 이치를 알지 못하였는데 늙어서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참으로 기묘하다.

대체로 연잎은 속이 비어서 진괘(震卦)의 형체와 같다.

사람은 진기를 받으면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의 기가 생겨서

먼저 만물의 기본을 생겨나게 한다.

음식이 위에 들어가면 영기(榮氣)가 위로 올라가는 것은 곧 소양담경의 작용이다.

연잎의 빛은 푸르고 형체는 속이 비어서 풍목(風木)의 형상과 같은 것이다.

음식물이나 약이 이 기를 받으면 위기가 반드시 위로 올라간다.

이 연잎을 쓴 것은 깊이 생각한 것이며 이치에 맞는다고 할 수 있다[동원].


[三黃枳朮丸][삼황지출환]

治傷肉食 濕麪厚味之物 悶亂不快

黃芩80g

黃連酒炒 大黃煨 神麯炒 白朮 陳皮 各40g

枳實麩炒20g.

爲末 湯浸蒸餠和 丸綠豆大 白湯呑下5070(東垣).

고기나 국수, 기름진 음식에 체해서 속이 답답하여

어쩔 바를 몰라하면서 괴로워하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80g,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각각 40g,

지실(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는 물에 담갔던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治食已心下痞 去痰健脾調中

白朮120g

白芍藥60g

陳皮 枳實 黃連 各40g

人蔘 木香 各20g

爲末 荷葉濃煎湯 煮糊和丸 梧子大 米飮下100(入門).

밥 먹은 뒤에 명치 밑이 트직한 것을 치료하는데

()을 없애고 비()를 든든하게 하며 속을 고르게 한다.

흰삽주(백출) 12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0g,

귤껍질(陳皮), 지실, 황련 각각 40g,

인삼, 목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연잎을 진하게 달인

물에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白朮 補脾氣爲君 白芍藥 補脾血爲臣 陳皮 枳實 消痞

黃連 淸熱以爲佐 人蔘 補氣.

木香 調氣以爲使 如此則平補氣血 均去痰火 兼通氣道

則病邪日消 而脾胃 日壯矣(丹心).

흰삽주(백출)는 비기(脾氣)를 보하므로 군약으로 하였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비혈(脾血)을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귤껍질(陳皮)과 지실은 더부룩한 것을 없애고

황련은 열을 내리므로 좌약(佐藥)으로 하였다.

인삼은 기를 보하며 목향은 기를 고르게 하므로 사약(使藥)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니 기혈(氣血)을 고르게 보하고 담화(痰火)가 없어진다.

겸하여 기가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여

사기는 날을 따라 없어지고 비위(脾胃)는 날마다 든든하여진다[단심].


 [三補枳朮丸][삼보지출환]

補脾胃化痰 淸熱消食順氣.

白朮80g

陳皮去白 枳實 各40g

貝母32g

黃連 黃芩並酒炒 黃栢塩水炒 白茯苓 神麯 山査肉 各20g

麥芽 香附子醋炒 各12g

縮砂4g

爲末 荷葉煮飯和 丸梧子大 薑湯下7080(醫鑑).

비위(脾胃)를 보()하며 담을 삭이고 열을 내리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를 잘 통하게 한다.

흰삽주(백출) 80g,

귤껍질(陳皮, 흰속을 버린 것), 지실 각각 40g,

패모 32g,

황련, 속썩은풀(황금, 다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백(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찔광이(산사육) 각각 20g,

보리길금(맥아), 향부자(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12g, 사인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연잎에 싸서 지은 밥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8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0) 2019.02.06
[止痛丸][지통환]  (0) 2019.02.05
[地芝丸][지지환]  (0) 2019.02.05
[枳實理中丸][지실이중환]   (0) 2019.02.05
[枳實消痞丸][지실소비환]  (0) 2019.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