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滌痰丸][척담환]
御藥院方 治三焦氣澁 痰飮不利 胸膈痞滿 咳唾稠粘
面目熱赤 肢體倦怠 不思飮食 常服 升降滯氣 淸膈化痰
木香, 檳榔, 靑皮去白, 陳皮去白, 京三菱煨, 枳殼去瓤
麪炒, 半夏洗七次 各一兩, 大黃一兩煨, 黑牽牛微炒二兩,
爲末水糊 丸梧桐子大 每服40~50丸 姜湯 食後下.

[한국전통지식포탈]
삼초(三焦)의 기(氣)가 소통되지 않아 담음(痰飮)이 정체되고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며 기침할 때 끈적한 가래를 뱉어내고

사지(四肢)에 기운이 없고 음식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茜根丸][천근환]  (0) 2019.02.06
[川芎丸][천궁환]  (0) 2019.02.06
[菖蒲丸][창포환]  (0) 2019.02.06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0) 2019.02.06
[蒼連丸][창련환]   (0) 2019.02.06

[菖蒲丸][창포환]
治心氣不足 5~6歲不能言
菖蒲, 人參, 麥門冬, 川芎, 當歸 各8g,
乳香, 朱砂 各4g
爲末 蜜丸 麻子大 米飮下 十丸 至二十丸 日三服(入門).
심기가 부족하여 5-6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인삼, 맥문동, 원지,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8g,
유향,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川芎丸][천궁환]  (0) 2019.02.06
[滌痰丸][척담환]  (0) 2019.02.06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0) 2019.02.06
[蒼連丸][창련환]   (0) 2019.02.06
[蒼龜丸][창구환]  (0) 2019.02.06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治肥人白帶, 是濕痰.
蒼朮, 黃柏, 樗根白皮, 海石, 半夏 製,

南星 炮, 川芎, 香附子, 乾薑 各等分.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五七十丸.

夏月去乾薑代滑石[入門].
창백저피환은 살찐 사람의 백대하를 치료하는데, 이는 습담(濕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창출, 황백, 저근백피, 해석, 반하(법제한 것),

남성(싸서 구운 것), 천궁, 향부자, 건강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로 쑨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끓인 물로 쉰에서 일흔 알씩 먹는다.
여름에는 건강을 빼고 활석을 넣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滌痰丸][척담환]  (0) 2019.02.06
[菖蒲丸][창포환]  (0) 2019.02.06
[蒼連丸][창련환]   (0) 2019.02.06
[蒼龜丸][창구환]  (0) 2019.02.06
[珍珠粉丸][진주분환]  (0) 2019.02.06

[蒼連丸][창련환]
治呑酸吐酸.
黃連60g(夏月倍)
吳茱萸(冬月倍) 蒼朮 陳皮 半夏 白茯苓 各40g.
爲末 蒸餠和 丸綠豆大 溫水下30~50丸(醫鑑).
탄산과 토산(吐酸)을 치료한다.
황련 60g(여름에는 곱절 넣는다),
오수유(겨울에는 곱절 넣는다),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蒸餠)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菖蒲丸][창포환]  (0) 2019.02.06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0) 2019.02.06
[蒼龜丸][창구환]  (0) 2019.02.06
[珍珠粉丸][진주분환]  (0) 2019.02.06
[眞珠母丸][진주모환]  (0) 2019.02.06

[蒼龜丸][창구환]
治痢後脚弱漸細.
蒼朮, 龜板, 白芍藥 各二兩半,
黃柏 鹽酒炒 五錢.
右爲末, 粥丸梧子大, 以四物湯加陳皮甘草煎, 下五七十丸[入門].
이질을 앓은 뒤에 다리가 약해지고 점차 가늘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창출, 구판, 백작약 각 두 냥 반,
황백(소금물과 술에 축여서 볶은 것)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죽으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쉰에서 일흔알 씩 사물탕에 진피와 감초를 넣어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0) 2019.02.06
[蒼連丸][창련환]   (0) 2019.02.06
[珍珠粉丸][진주분환]  (0) 2019.02.06
[眞珠母丸][진주모환]  (0) 2019.02.06
[鎭心丸][진심환]   (0) 2019.02.06

[珍珠粉丸][진주분환]
治夢遺泄精及精滑.
黃柏 新瓦上炒赤, 眞蛤粉 各一斤,
眞珠 三兩.
右爲末, 滴水丸, 梧子大. 每取一百丸. 空心, 溫酒送下.

法曰, 陽盛乘陰, 故精泄.
黃柏降心火, 蛤粉鹹而補腎陰.

易老方無珍珠一味[正傳].
몽정과 유정, 정활(精滑)을 치료한다.
황백(새로 구운 기와에 올려 빨갛게 볶은 것), 진합분 각 한 근,
진주 석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백 알씩 빈속에 따뜻한 술로 먹는다.
법(法)에서는 "양이 왕성하면 음을 억누르므로[乘], 정설(精泄)이 생긴다.
황백은 심화(心火)를 내리고, 합분은 맛이 짜서 신음(腎陰)을 보한다"고 하였다.
역로방에는 진주 한 가지가 없다(정전).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蒼連丸][창련환]   (0) 2019.02.06
[蒼龜丸][창구환]  (0) 2019.02.06
[眞珠母丸][진주모환]  (0) 2019.02.06
[鎭心丸][진심환]   (0) 2019.02.06
[進食丸][진식환]   (0) 2019.02.06

[眞珠母丸][진주모환]
治神魂不寧, 驚悸不得睡.
眞珠母 七錢半,
熟地黃, 當歸 各一兩半,
人蔘, 酸棗仁 炒, 柏子仁, 犀角, 白茯神 各一兩,
沈香, 龍齒 各五錢.
右爲末, 蜜丸, 梧子大, 朱砂爲衣.
每四五十丸, 薄荷湯下, 日二服.
此方眞珠母爲君, 龍齒佐之.
眞珠母, 入肝經爲第一.
龍齒, 與肝同類也.
龍齒虎睛, 人皆以爲鎭心藥, 殊不知龍齒安魂, 虎睛定魄.
龍能變化, 故魂遊而不定.
虎能專靜, 故魄止而有守.
若魄不寧者, 宜用虎睛.
魂飛揚者, 宜用龍齒[本事].
신(神)과 혼(魂)이 편안하지 못하고 경계(驚悸)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주모 일곱 돈 반,
숙지황, 당귀 각 한 냥 반,
인삼, 산조인(볶은 것), 백자인, 서각, 백복신 각 한 냥,
침향, 용치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주사로 옷을 입힌다.
한 번에 마흔에서 쉰 알씩 박하탕으로 복용하는데, 하루에 2번 먹는다.
이 처방은 진주모를 군약(君藥)으로 하였고, 용치를 좌약(佐藥)으로 하였다.
진주모는 간경(肝經)에 작용하는 약 중에서 제일이고, 용치는 간과 같은 유(類)이다.
용치와 호정을 사람들은 모두 진심약(鎭心藥)으로만 알고 있고,
용치가 혼(魂)을 안정시키고, 호정이 백(魄)을 안정시킨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
용(龍)은 변화를 잘 하므로 혼이 떠돌아 일정하지 않고,
호랑이는 오로지 고요한 데 능하므로 백(魄)이 머물러 제자리를 지킨다.
백이 편안하지 못하면 호정을 쓰고, 혼이 들뜨면 용치를 쓴다(본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蒼龜丸][창구환]  (0) 2019.02.06
[珍珠粉丸][진주분환]  (0) 2019.02.06
[鎭心丸][진심환]   (0) 2019.02.06
[進食丸][진식환]   (0) 2019.02.06
[辰砂丸][진사환]   (0) 2019.02.06

[鎭心丸][진심환]
治急驚風 安心止驚 散邪凉膈
山藥 白茯苓 各40g
寒水石 甘草灸 各30g
甛硝白者 朱砂 各20g
人參10g
龍腦 麝香 各2g
爲末 蜜和 每37.5g 作50丸 金箔爲衣 薄荷湯下丸(錢乙).
급경풍을 치료하는데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경련을 멈추며
사기를 흩어지게 하고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한수석, 감초(닦은 것) 각각 30g,
첨초(甛硝, 흰 것), 주사 각각 20g,
인삼 10g,
용뇌, 사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50알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전을].

[金箔鎭心丸][금박진심환]
治 癲癎 驚悸 怔忡 一切 痰火 之疾.
전간, 경계증, 정충증, 일체 담화로 생긴 병을 치료한다.
牛膽製 南星40g,
朱砂水飛, 琥珀, 天竺黃 各20g,
牛黃, 雄黃, 眞珠 各8g,
麝香2g

爲末 蜜和 兩(37.5g)作 30丸, 金箔
爲 衣 每一丸 薄荷 湯化下(回春).

천남성(소담즙으로 법제한 것) 40g,
주사(수비한 것), 호박,
천축황 각각 20g,
우황, 석웅황(웅황), 진주 각각 8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30알을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박하를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珍珠粉丸][진주분환]  (0) 2019.02.06
[眞珠母丸][진주모환]  (0) 2019.02.06
[進食丸][진식환]   (0) 2019.02.06
[辰砂丸][진사환]   (0) 2019.02.06
[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0) 2019.02.06

[進食丸][진식환]
治癖積
木香 枳殼 當歸 代赭石 朱砂 各12g
巴豆霜4g, 麝香2g
爲末 麪糊和 丸黍米大 一歲兒取2~3丸 米飮呑下(局方).
벽과 적을 삭힌다.
목향, 지각, 당귀, 대자석, 주사 각각 12g, 파두상 4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2-3알씩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寬中進食丸][관중진식환]
滋形氣 喜飮食
麥芽麪40g
半夏 猪苓 各28g
枳實16g
橘皮 白朮 白茯苓 澤瀉 各8g
縮砂6g
乾生薑 人參 靑皮 甘草 各4g
木香2g
爲末 蒸餠和 丸梧子大 米飮下50~70丸(東垣).
몸의 원기를 자양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보리길금가루(麥芽 ) 40g,
끼무릇(반하), 저령 각각 28g,
초두구, 약누룩(신국) 각각 20g,
지실 16g,
귤껍질(橘皮),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8g,
사인(縮砂) 6g,
생강(말린 것), 인삼, 선귤껍질(청피), 감초 각각 4g,
목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동원].

[胃進食丸][양위진식환]
비위(脾胃)가 상(傷)해 음식 생각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귤홍(橘紅)A(56.25 g, ), 대맥얼(大麥蘖)(56.25 g, 볶는다.),
백복령(白茯苓)(75 g, ), 백출(白朮)A(75 g, ), 인삼(人蔘)A(75 g, ),
자감초(炙甘草)(37.5 g, ), 창출(蒼朮)A(206.25 g),
작고 단단하면서 단맛이 나는 것. 쌀뜬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겨 볶는다.),
후박(厚朴)A(75 g, 생강과 볶는다.), 신곡(神麯)(75 g, )
가루 내어 물과 밀가루로 풀을 쑤어 동자대의 환을 만들어
식전에 30-50환씩 쌀 끓인 물이나 생강 달인 물로 복용한다.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珠母丸][진주모환]  (0) 2019.02.06
[鎭心丸][진심환]   (0) 2019.02.06
[辰砂丸][진사환]   (0) 2019.02.06
[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0) 2019.02.06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0) 2019.02.06

[辰砂丸][진사환]
治蠱毒 從酒食中着者
辰砂 雄黃 赤足蜈蚣 續隨子 各40g, 

麝香10g,
爲末 糯米飯和 丸芡實大 每一丸 以酒化下 端午日合.
一名 [丹砂元] (三因)
고독이 술이나 음식물을 따라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주사, 석웅황, 왕지네(오공, 발이 벌건 것), 속수자 각각 40g,

사향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찹쌀밥에 반죽하여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술에 타서 먹는다.
단오날에 만들어야 한다.
일명 단사원(丹砂元)이라고도 한다[삼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鎭心丸][진심환]   (0) 2019.02.06
[進食丸][진식환]   (0) 2019.02.06
[辰砂化痰丸][진사화담환]   (0) 2019.02.06
[辰砂寧志丸][진사영지환]  (0) 2019.02.06
[秦芃白朮丸][진봉백출환]   (0) 2019.0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