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眞丹][조진단]
治寒盛泄瀉不止, 腸鳴腹痛, 手足厥冷, 脈微弱.
硫黃 生硏 三兩, 白礬 煅 七錢半.
右爲末, 水浸蒸餠和丸梧子大, 朱砂三錢爲衣, 米飮下三十丸[局方].
찬 기운이 왕성하여 설사가 멈추지 않고 배가 꾸룩꾸룩거리면서 아프고
손발이 싸늘하고[厥冷] 맥이 미약(微弱)한 것을 치료한다.
유황(날로 간 것) 석 냥, 백반(불에 달군 것) 일곱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불린 떡으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주사 서 돈으로 옷을 입혀 미음으로 서른 알씩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至聖來復丹][지성내복단]  (0) 2018.12.05
[至寶丹][지보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18.12.05

[益母丸][익모환]
一名, [濟陰丹] (丹心)
治産前産後 一切諸病 及難産橫逆 能行血養血 安胎順氣
又 能活血行氣 有補陰之妙 故命名益母(丹心)
일명 제음단(濟陰丹)이라고도 한다.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난산, 횡산, 역산 등을 치료는데
피를 잘 돌게 하고 보혈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기를 잘 돌게 한다.
또는 혈과 기를 잘 돌게 하며 음을 보하는 데 아주 좋다.
때문에 익모(益母, 처방은 위에 있다)라고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至寶丹][지보단]   (0) 2018.12.05
[朝眞丹][조진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18.12.05
[除濕丹][제습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治婦人久冷無子 及數經 墮胎 皆因衝任虛損 胞內宿挾疾病 經候不調
或崩漏帶下 36疾 皆令孕育不成 以至絶嗣 亦治産後百病 令人有孕
及生子充實 無病
蒼朮320g
香附子 熟地黃 澤蘭 各160g
人參 桔梗 蚕退 石斛 藁本 秦芃 甘草 各80g
當歸 桂心 乾薑 細辛 牧丹皮 川芎 各60g
木香 白茯苓 京墨燒 桃仁 各40g
川椒 山藥各30g 糯米炒一升 大豆黃卷炒半升,
爲末 煉蜜和勻 兩(37.5g)作六丸 每一丸 細嚼溫酒 或醋湯 送下(局方).
부인이 오랜 냉병으로 임신을 하지 못하거나 자주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허손(虛損)되고
자궁 안에 오랜 병이 있어서 월경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은 붕루(崩漏), 대하(帶下) 등 36가지 병은 임신하지 못하게 하므로
대가 끊어지기도 한다.
또는 해산 후 온갖 병을 치료하여 임신이 되게 하며
아이를 낳은 다음 병 없이 충실히 자랄 수 있게 한다.
삽주(창출) 300g, 향부자, 찐지황(숙지황), 쉽싸리(택란) 각각 160g,
인삼, 도라지(길경), 잠퇴, 석곡, 고본, 진교, 감초 각각 80g,
당귀, 계심, 건강, 족두리풀(세신),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궁궁이(천궁) 각각 60g,
목향, 흰솔풍령(백복령), 좋은 먹(태운 것),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조피열매(천초), 마(산약) 각각 30g,
찹쌀(닦은 것) 2홉 반, 대두황권(닦은 것) 1홉 2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6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둔 끓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眞丹][조진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18.12.05
[除濕丹][제습단]   (0) 2018.12.05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0) 2018.12.05

[濟危上丹][제위상단]
治産時下血過多 虛極生風 唇靑肉冷 汗出目瞑 在須臾 切不可用 正風藥亟投此
乳香 硫黃 五靈脂 太陰玄精石 陳皮 桑寄生 阿膠 卷柏 各等分
上將前4石藥(乳 硫 五靈 精石)硏微火炒
再硏細 方入後4藥 爲末 以生地黃汁 和丸梧子大 溫酒下 20~30丸(得效).
해산할 때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극도로 허해져서 풍이 생겨 입술이 퍼렇고
몸이 차며 땀이 나고 눈을 감으면서 생명이 경각에 다달았을 때에는
절대로 풍을 치료하는 약을 쓰지 말고 빨리 이 처방을 써야 한다.
유향, 유황, 오령지, 현정석, 귤껍질(陳皮),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갖풀(아교), 바위손(권백) 각각 같은 양.
위의 약 가운에서 앞의 4가지 약을 가루내어
약한 불에 닦아서 다시 보드랍게 가루낸다.
그리고 나머지 약을 가루내어 위의 약과 함께 섞어서
생지황즙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除濕丹][제습단]   (0) 2018.12.05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0) 2018.12.05
[靜神丹][정신단]  (0) 2018.12.05

[除濕丹][제습단]
治諸濕客搏 腰膝重痛 足脛浮腫 筋脈緊急 津液凝澁 便尿不利
目赤 癮疹 癰疽 發背 疥癬瘡癤 及走注脚氣
檳榔 甘遂 威靈仙 赤芍 葶藶 各80g

乳香 沒藥 各40g
牽牛 大戟 各120g

陳皮160g.
一方, 去葶藶 加澤瀉 靑皮
爲末 麪糊丸梧子大 每50丸至80丸
食前 溫水下 服藥前後 忌酒麪2~3日 宜淡粥 補胃尤佳(入門).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陰丹][제음단]   (0) 2018.12.05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18.12.05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0) 2018.12.05
[靜神丹][정신단]  (0) 2018.12.05
[定生丹][정생단]   (0) 2018.12.05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治蜘蛛蠱脹
肉蓯蓉112.5g

靑礬 紅棗 香附子 各600g

麥芽900g並爲末
先將蓯蓉棗礬 入罐內同火煆 烟盡 和藥末 糊丸梧子大 每20~30丸 食後酒下.
勞單腹 腫大而四肢極瘦者
名曰 [蜘蛛蠱].
古方 雖有八物湯 去地黃 倍參朮 加黃連 厚朴
及諸蠱保命丹蝦蟆煮肚法 然此皆脾氣虛極 眞藏已傷病也 不治(入門).
지주고창(蜘蛛蠱脹)을 치료한다.
육종용 120g,

녹반, 대추, 향부자 각각 600g,

보리길금(맥아) 900g.
위의 약들을 다 가루내서 먼저 육종용, 대추, 녹반을 약탕관에 넣고
약한 불에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구워서 꺼낸다.
다음 이것을 다른 약가루와 섞어서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끼니 뒤에 술로 먹는다.
노채 때 배가 부어서 커지고 팔다리가 몹시 여위는 것을 지주고(蜘蛛蠱)라고 한다.
옛날 의학책에는 팔물탕(八物湯) 약재에서 지황은 빼고
인삼, 흰삽주(백출)는 양을 곱으로 하고 황련, 후박을 더 넣어 쓰는 것과
저고보명단을 쓰는 것, 두꺼비를 돼지위 속에 넣어서
달여 먹는 방법(부종문에 있다) 등이 씌어 있다.
그러나 이 병은 다 비기가 몹시 허약하여 5장의 진원이 상해서
생긴 병이기 때문에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18.12.05
[除濕丹][제습단]   (0) 2018.12.05
[靜神丹][정신단]  (0) 2018.12.05
[定生丹][정생단]   (0) 2018.12.05
[接命丹][접명단]  (0) 2018.12.05

[靜神丹][정신단]
治憂愁思慮傷心, 令人惕然, 心跳動驚悸不安.
當歸身 酒洗, 生乾地黃 酒洗, 遠志 薑製, 茯神 各五錢,

石菖蒲, 黃蓮 各二錢半,

辰砂 二錢,

牛黃 一錢,

金箔 十五片.
右爲末, 猪心血和丸, 黍米大, 金箔爲衣. 燈心煎湯下五十丸.
卽正傳祖傳經驗秘方也.
지나치게 근심하고 생각하여 심을 상하면 두려워하게 되고

가슴이 놀라 두근거리며 불안해지는데, 이를 치료한다.
당귀신(술로 씻은 것),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원지(생강으로 법제한 것), 복신 각 다섯 돈,
석창포, 황련 각 두 돈 반,
진사 두 돈,
우황 한 돈,
금박 열다섯 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돼지 심장의 피로 서미대의 알약을 만들어 금박으로 옷을 입혀,

등심 달인 물로 쉰 알씩 먹는다.
이것이 바로 『의학정전』의 '조전경험비방'이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除濕丹][제습단]   (0) 2018.12.05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0) 2018.12.05
[定生丹][정생단]   (0) 2018.12.05
[接命丹][접명단]  (0) 2018.12.05
[接氣丹][접기단]  (0) 2018.12.05

[定生丹][정생단]
治反胃 定生死.
雄黃 朱砂 乳香 半夏 木香 肉豆簆 百草霜 各12g
沈香4g

阿魏 鵬砂各2g

菉豆40粒 烏梅40箇湯泡去核.
爲末 以烏梅肉 和擣作丸彈子大 百草霜爲衣 陰乾 每一丸 噙化 嚥下
以薑湯潄口 復以陳麥餠 火燒 熟細嚼壓下 噙藥 卽燃 官香一炷 如香盡藥
未化者 難治 先化香未盡者 可愈(醫鑑).
반위증을 치료하는데 살겠는가 죽겠는가를 알 수 있다.
석웅황(웅황), 주사, 유향, 끼무릇(반하), 목향, 육두구,
백초상(알약 겉에 입힌다) 각각 12g,
침향 4g, 아위, 노사 각각 2g, 녹두 40알,
오매 40알(끓는 물에 담갔다가 씨를 뺀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오매살을 짓찧은데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다음 겉에 백초상을 입혀서 그늘에 말린다.
한번에 1알씩 입에 머금고 녹여 먹은 다음 곧 생강을 달인 물로 양치하고
묵은 보리떡을 구워 잘 씹어 먹어서 약 기운이 내려가게 해야 한다.
그리고 약을 입에 머금고는 곧 관향 1대에 불을 달아놓는데
향이 타는 사이에 약이 다 녹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려운 것이고
약은 다 녹았는데도 향은 다 타지 않으면 나을 수 있는 것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蠱保命丹][제고보명단]  (0) 2018.12.05
[靜神丹][정신단]  (0) 2018.12.05
[接命丹][접명단]  (0) 2018.12.05
[接氣丹][접기단]  (0) 2018.12.05
[接骨紫金丹][접골자금단]   (0) 2018.12.05

[接命丹][접명단]
養丹田, 助兩腎, 添精補髓, 返老還童, 却病延年.
大附子一枚, 切作八片, 以布包定, 用甘草甘遂各二兩槌碎, 燒酒二斤, 共浸半日.

文武火煮, 酒乾爲度, 取起附子去草遂, 加麝香三分.

槌千餘下, 分作二丸, 陰乾, 納一丸於臍中, 七日一換.

一丸則放盒內養之[入門].
단전(丹田)의 기를 기르고 신(腎)과 명문을 도와 정을 더해주며

골수를 보해서 노인을 젊어지게 하고 병을 없애 수명을 늘려준다.
부자(큰 것) 한 개를 여덟 조각으로 썰어 헝겊으로 잘 싸놓고,

감초와 감수 각 두 냥을 방망이로 부순 후 소주 두 근에 넣어 한나절 동안 담근다.

세지도 약하지도 않은 불로 술이 마를 정도로 달여

감초와 감수는 버리고 부자를 꺼내어 사향 서 푼을 더 넣은 후

천여 번 방망이질하여 알약 두 개로 만들어 그늘에서 말린 다음

한 알은 배꼽에 넣고 7일에 한 번 갈아준다.

나머지 한 알은 뚜껑이 있는 그릇 속에 잘 넣어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靜神丹][정신단]  (0) 2018.12.05
[定生丹][정생단]   (0) 2018.12.05
[接氣丹][접기단]  (0) 2018.12.05
[接骨紫金丹][접골자금단]   (0) 2018.12.05
[接骨丹][접골단]  (0) 2018.12.05

[黑石丹][흑석단]
治脾腎俱虛 冷氣刺痛 止汗墜痰 除濕破癖.
黑石熔去渣 硫黃熔化水浸 各75g 卻將錫 再熔化
漸入硫黃 候結成1片 傾地上 去火毒 硏至無聲 爲度
此爲丹頭 入附子 破古紙 肉荳蔲 小茴香 川練子 陽起石
木香 沈香 葫蘆巴 各37.5g

肉桂18.75g
爲末和勻 酒糊丸梧子大 陰乾 入布袋內 擦令光熱 每30~50丸
空心薑鹽湯 或棗湯下.
婦人艾醋湯下. 一切冷痰 塩酒下 年高有客熱者 服之.
或 加肉蓯蓉 牛膝 白朮 丁香
一名 [接氣丹]. 治眞元虛憊.
和劑方 治痰氣壅塞 上盛下虛 心火炎熾 腎水枯渴
及婦人血海久冷 無子 或赤白帶下 皆服之.
肉桂去皮半兩, 沈香, 附子炮去皮臍, 胡蘆巴酒浸炒
破古紙, 茴香舶上者炒, 肉荳蔲綿裹煨, 陽起石硏細水飛
金鈴子蒸去皮, 木香各一兩, 硫黃, 黑石去滓 各二兩
左用黑盞, 或新鐵銚內, 如常法, 結黑石, 硫黃, 砂子
地上出火毒, 然令極細, 餘藥並杵羅
爲末 一處和勻 自朝至暮 必然令黑光色爲度 酒糊
爲丸如梧桐子大 陰乾 入布袋內 擦令光瑩
每服四十粒 空心 塩姜湯下 女人艾棗湯下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定生丹][정생단]   (0) 2018.12.05
[接命丹][접명단]  (0) 2018.12.05
[接骨紫金丹][접골자금단]   (0) 2018.12.05
[接骨丹][접골단]  (0) 2018.12.05
[再甦散][재소단]  (0) 2018.1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