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參丹][이삼단]
治中風 健忘養神 定志 和血
丹參 熟地黃 天門冬 各60g
麥門冬 白茯苓 甘草 各40g
人蔘 遠志 石菖蒲 朱砂 各20g
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以愈風湯 方見上
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送下(易老).
一名 [二丹丹]
중풍으로 건망증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데 정신을 좋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키고 혈을 고르게[和] 한다.
단삼, 찐지황(숙지황), 천문동 각각 60g,
맥문동,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0g,
인삼, 원지, 석창포, 주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유풍탕을 달인 물로 먹는다[역로].
일명 이단단(二丹丹)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參丹][이삼단]   (0) 2018.11.29
[二豆回香丹][이두회향단]  (0) 2018.11.29
[理氣袪風散][이기거풍산]   (0) 2018.11.29
[二槐丹][이괴단]   (0) 2018.11.29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0) 2018.11.29

[理氣袪風散][이기거풍산]
治中風喎斜
羗活 獨活 靑皮 陳皮 枳殼 桔梗 南星 半夏 烏藥
天麻 川芎 白芷 防風 荊芥 白芍藥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醫鑒).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지각,
도라지(길경), 천남성, 끼무릇, 오약, 천마, 궁궁이, 구릿대(백지),

방풍, 형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豆回香丹][이두회향단]  (0) 2018.11.29
[二丹丹][이단단]  (0) 2018.11.29
[二槐丹][이괴단]   (0) 2018.11.29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0) 2018.11.29
[育魂丹][육혼단]   (0) 2018.11.29

[二槐丹][이괴단]
治脫肛.
槐角, 槐花 各等分.
右爲末, 生羊血調成塊, 晒令乾, 勿使血熟, 每二錢, 黃酒送下[醫鑑].
탈항을 치료한다.
괴각, 괴화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양의 피(날것)와 섞어 덩어리지게 만들어 햇볕에 말리는데,

피가 익지 않도록 한다.

두 돈씩 약주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丹丹][이단단]  (0) 2018.11.29
[理氣袪風散][이기거풍산]   (0) 2018.11.29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0) 2018.11.29
[育魂丹][육혼단]   (0) 2018.11.29
[六珎丹][육진단]   (0) 2018.11.29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治虛勞 陰陽俱虛

取陽煉陰煉 朝夕 各一服
服法 見上 須二藥(陰煉秋石丹 陽煉秋石丹)相兼服(得效).
허로로 음양이 다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양련추석단과 음련추석단을 아침 저녁으로 각각 한번씩 먹는다.
먹는 법은 위에 씌어 있다.
반드시 2가지 약을 겸해 먹어야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理氣袪風散][이기거풍산]   (0) 2018.11.29
[二槐丹][이괴단]   (0) 2018.11.29
[育魂丹][육혼단]   (0) 2018.11.29
[六珎丹][육진단]   (0) 2018.11.29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0) 2018.11.29

[育魂丹][육혼단]
治諸般癲癎, 怔忡驚怕, 恐懼之疾.
山藥 一兩,

半夏, 膽星, 白茯神, 白朮, 黃連 炒, 遠志, 酸棗仁 炒, 柏子仁 各六錢,

竹茹, 天麻, 白附子 煨, 川芎 各五錢,

犀角, 羚羊角, 白礬 各三錢半,

陳皮 三錢二分半,

全蝎 三錢二分,

辰砂 二錢二分,

牛黃 一錢二分,

麝香一錢,

金箔 二十四片.
右爲末, 竹瀝打1) 甘草膏和丸, 雞頭大. 每一丸, 淡薑湯下空心[醫鑑].
여러 가지 전간과 가슴이 항상 두근거리는 것과

놀라고 두려워하고 무서워하여 생기는 질병을 치료한다.
산약 한 냥,

반하, 우담남성, 백복신, 백출, 황련(볶은 것), 원지, 산조인(볶은 것), 백자인 각 여섯 돈,

죽여, 천마, 백부자(잿불에 묻어 구운 것), 천궁 각 다섯 돈,

서각, 영양각, 백반 각 서 돈 반,

진피 서 돈 두 푼 반,

전갈 서 돈 두 푼,

진사 두 돈 두 푼,

우황 한 돈 두 푼,

사향 한 돈,

금박 스물네 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죽력을 섞은 감초고로 계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한 알씩 묽게 달인 생강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槐丹][이괴단]   (0) 2018.11.29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0) 2018.11.29
[六珎丹][육진단]   (0) 2018.11.29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0) 2018.11.29
[愈風丹][ 유풍단]  (0) 2018.11.29

[六珎丹][육진단]
治五癎鳴吼, 及風癎暈倒吐涎沫掣搐.
水銀 一兩半,

黑鉛 一兩 同熬成屑,

雄黃, 雌黃, 眞珠 各一兩,

丹砂 水飛 五錢.
右爲末極細, 蜜和, 杵二三萬下, 丸如梧子大. 薑棗湯下五丸[三因].
다섯 가지 간질로 소리를 지르는 것과

풍간으로 정신을 잃고 쓰러지며 게거품을 토하고 팔다리가 뒤틀리는 것을 치료한다.
수은 한 냥 반,

흑연[납] 한 냥(이 둘을 같이 볶아서 끌로 갈아 가루낸다),

웅황, 자황, 진주 각 한 냥,

단사(수비한 것) 다섯 돈.
위의 약들을 아주 곱게 갈아 꿀로 반죽하여 공이로 2, 3만 번 찧은 다음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생강과 대추 달인 물로 다섯 알씩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煉秋石丹][음양련추석단]  (0) 2018.11.29
[育魂丹][육혼단]   (0) 2018.11.29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0) 2018.11.29
[愈風丹][ 유풍단]  (0) 2018.11.29
[元陽秋石丹][원양추석단]   (0) 2018.11.29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治諸風寒濕 骨節渾身疼痛 立效
草烏200g

蒼朮120g
白芷 五靈脂 羗活 當歸 川芎 自然銅醋淬7次 各80g

乳香40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百草霜爲衣 臨睡 溫酒下5~7丸 忌食熱物(十三方).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로 생긴 역절풍 때에
뼈마디와 온몸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바꽃(초오) 200g,

삽주(창출) 120g,
구릿대(백지), 오령지, 강호리(강활), 당귀, 궁궁이(천궁),
자연동(自然銅,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각각 80g,

유향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백초상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5-7알씩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
이때에는 뜨거운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십삼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育魂丹][육혼단]   (0) 2018.11.29
[六珎丹][육진단]   (0) 2018.11.29
[愈風丹][ 유풍단]  (0) 2018.11.29
[元陽秋石丹][원양추석단]   (0) 2018.11.29
[雄朱丹][웅주단]   (0) 2018.11.29

[愈風丹][ 유풍단]
治癩疾深重 治大風 髮脫眉落 遍身麻木 瘡爛
烏蛇 白花蛇 土桃蛇 各一條

並酒浸3日 取肉 爲末 苦參600g
剉搗 取頭末150g
皂角濃煎汁熬膏 和丸梧子大 以防風通聖散煎水 呑下50丸 日二(入門).
一名 [三蛇丹]
문둥병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문둥병으로 머리털과 눈썹이 빠지고
온몸에 감각이 없어지면서 헐어 진무는 것을 치료한다.
오사, 백화사, 토도사 각각 1마리.
위의 약들을 다 술에 3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고기만 발가내서 가루낸다.
다음 너삼(고삼) 600g을 썰어서 맏물가루 160g을 내어 약가루와 섞는다.
다음 주염열매를 고약처럼 되게 진하게 달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하루 두번 방풍통성산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일명 삼사단(三蛇丹)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珎丹][육진단]   (0) 2018.11.29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0) 2018.11.29
[元陽秋石丹][원양추석단]   (0) 2018.11.29
[雄朱丹][웅주단]   (0) 2018.11.29
[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0) 2018.11.18

[陽煉秋石丹][양련추석단]
治虛勞 諸般冷疾 久年腎虛勞損 久服壯陽起痿 臍下如火
此藥能洞入骨髓 壯陽補陰 眞還元 衛生之寶也.
故 一名, [元陽秋石丹] [還元丹] 製法 詳見 雜方.
每取30丸 空心 以溫酒呑下(得效).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냉병과 오래된 신허(腎虛)와 노손(勞損)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경을 일어나게 하며
배꼽아래가 몹시 더워진다.
이 약은 골수에 들어가서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을 보하며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 데 귀중한 약이다.
때문에 일명 원양추석단 또는 환원단(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乳香黑虎丹][유향흑호단]   (0) 2018.11.29
[愈風丹][ 유풍단]  (0) 2018.11.29
[雄朱丹][웅주단]   (0) 2018.11.29
[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0) 2018.11.18
[遇仙丹][우선단]   (0) 2018.11.18

[雄朱丹][웅주단]
治鬼瘧
大黑豆49粒(約20g)
端午日 以冷水浸 從早至巳時
去皮晒乾硏 入信砒末3.75g再硏勻麪糊和勻 作丸.
少壯人 梧子大 老人 黃豆大 小兒 綠豆大,
雄黃 朱砂爲衣 晒乾收貯 臨發五更 面東井水下一丸(入門).
一名 [瘧靈丹] (醫鑒).
귀학(鬼 )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큰 것) 49알(약 20g 정도).
위의 것을 단오날 새벽에 찬물에 담가서 11시경까지 두었다가
껍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간다.
여기에 신석가루 4g을 넣고 다시 고루 갈아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젊고 건강한 사람은 벽오동씨만하게 만들어 쓰고
늙은이는 노란 콩알만하게 만들어 쓰며 어린이는 녹두알만하게 만들어 쓰는데
겉에 석웅황과 주사를 입혀서 햇볕에 말려 쓴다.
한번에 1알씩 발작할 날 해뜰 무렵에 깨끗한 물로 먹는다[입문]
일명 학령단( 靈丹)이라고도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愈風丹][ 유풍단]  (0) 2018.11.29
[元陽秋石丹][원양추석단]   (0) 2018.11.29
[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0) 2018.11.18
[遇仙丹][우선단]   (0) 2018.11.18
[龍虎丹][용호단]   (0) 2018.1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