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治急中風不省 身强口噤 鼻乾面黑 遍體壯熱 汗出如油
目瞪唇靑 心神迷悶 形體如醉 痰涎壅塞 胸喉中 如拽鉅聲
雄黃水飛600g

白礬枯 天竺黃 牛膽製南星 各100g
天雄炮50g

膩粉 龍腦 各20g

牛黃8g,  金箔80片爲衣
爲末 煉蜜和勻 每56.25g 分作10丸
金箔爲衣 每一丸 新汲水 和灌之 扶坐 使藥行 良久
以薄荷汁 更化一丸 灌之 立愈 如肥盛體虛 多涎 有風之人
宣常以此藥 隨身備急爲妙(局方).
갑자기 풍을 맞아[急中風]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몸이 뻣뻣하며
이를 악물고 코가 마르며 얼굴이 거멓게 되고 온몸에 열(熱)이 몹시 나며
기름 같은 땀이 흐르고 눈을 곧추 뜨며 입술이 퍼렇게 되고
정신이 어렴풋하며 답답하고 몸가짐은 술에 취한 것 같으며
담연(痰涎)이 막혀서 가슴과 목구멍에서 톱질하는 듯한 소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수비한 것) 600g,
백반(구운 것), 천축황(天竺黃), 천남성(소담즙에 법제한 것) 각각 100g,
천웅(싸서 구운 것) 50g,

경분, 용뇌 각각 20g,

우황 10g, 금박 80장(겉에 입힌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한 다음 6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에 풀어서 먹인다.
그 다음 한참 동안 붙들어 앉혀 놓아 약 기운이 퍼진 다음
다시 박하즙에 1알을 풀어서 먹이면 곧 낫는다.
만일 살이 쪘으나 몸이 허하고 담연이 많아서 풍기가 있으면
늘 이 약을 구급약으로 준비하여 가지고 있어야 한다[국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元陽秋石丹][원양추석단]   (0) 2018.11.29
[雄朱丹][웅주단]   (0) 2018.11.29
[遇仙丹][우선단]   (0) 2018.11.18
[龍虎丹][용호단]   (0) 2018.11.18
[龍星丹][용성단]   (0) 2018.11.18

[遇仙丹][우선단]
治虫積.
黑牽牛子 半生半炒取頭末 四兩,

三稜, 蓬朮, 茵蔯, 檳榔 俱生用 各五錢.
右爲末, 每藥末四兩,

白麪一兩皂角五錢浸,

揉汁煮糊和丸梧子大, 每三錢,

五更, 茶淸送下.

病淺者一服見效, 病深者再服, 必候惡物下盡爲度.

所下之虫, 曰穿心虫, 曰血鱉虫, 曰傳尸虫, 曰肺虫,

曰疾心虫, 曰馬尾虫, 曰積血虫, 曰細虫, 長虫, 寸白虫.

其狀不一, 或作五色, 或如魚凍. 此乃王經略赴廣東, 得沾山嵐瘴氣, 肚腹脹滿,

百藥無效, 偶得一道人付此藥, 服之下虫一條, 狀如蛇長三寸, 餘病乃愈[醫鑑].
충으로 인한 적취를 치료한다.
흑견우자(반은 날것, 반은 볶은 것을 두말한 것) 넉 냥,

삼릉, 봉출, 인진, 빈랑(모두 날것)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넉 냥씩을 밀가루 한 냥과

조각 다섯 돈을 물에 불려 주물러 짠 즙을 달여서 만든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서 돈씩 새벽녘에 맑은 찻물로 먹는다.

병이 심하지 않으면 한 번 복용으로 효과를 보고,

병이 심하면 재차 복용하는데,

반드시 나쁜 물질이 다 빠져나올 때까지 먹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빠져나오는 충들은 천심충, 혈별충, 전시충, 폐충, 질심충,

마미충, 적혈충, 세충, 장충, 촌백충으로,

이들의 생김새는 모두 같지 않아서 다섯 가지 색을 띠는 것도 있고,

언 물고기 같은 것도 있다.

예전에 왕경략이 광동에 갔다가 산람장기를 얻어 배가 불러오고 그득해졌는데

여러 가지 약을 썼지만 효과가 없었다.

우연히 한 도인이 준 이 약을 복용하였더니

뱀 모양 같은 세 치 정도 되는 한 마리의 충이 나오고 나머지 병도 나았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朱丹][웅주단]   (0) 2018.11.29
[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0) 2018.11.18
[龍虎丹][용호단]   (0) 2018.11.18
[龍星丹][용성단]   (0) 2018.11.18
[溫脾丹][온비단]   (0) 2018.11.18

[龍虎丹][용호단]
治痛風 走注 或麻木 半身痛
草烏 蒼朮 白芷 各40g
用童便薑葱汁拌盒熱

入乳香 沒藥 各12g
當歸 牛膝 各20g
爲末 酒糊和 丸彈子大 每一丸 溫酒化下(入門).
통풍(痛風)으로 몸의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고
몸 한 쪽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바꽃(초오), 삽주(창출), 구릿대(백지)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동변, 생강즙, 파즙에 버무려 열이 나게 띠운다),
유향, 몰약 각각 12g,

당귀, 쇠무릎(우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金虎丹][우황금호단]  (0) 2018.11.18
[遇仙丹][우선단]   (0) 2018.11.18
[龍星丹][용성단]   (0) 2018.11.18
[溫脾丹][온비단]   (0) 2018.11.18
[玉樞丹][옥추단]   (0) 2018.11.18

[龍星丹][용성단]
治風熱 壅痰涎盛 昏冒 眩暈
牛膽南星 朱砂 各12g

黃芩 黃連 各8g

全蝎 防風 薄荷 各4g
片腦 牛黃 麝香 各1g

加靑黛4g
爲末 蜜丸 櫻桃大 別以朱砂爲衣 每一丸 噙化 嚥下 不拘時(丹心).
凡風病 多是濕土 生痰 痰生熱 熱生風 此方 旣治風熱
又兼理痰 凡風熱痰 無不治也(丹心).
풍열(風熱)이 몰리고 담연(痰涎)이 성해서 정신이 흐릿하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우담남성, 주사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황련 각각 8g,
전갈, 방풍, 박하 각각 4g,

용뇌, 우황, 사향 각각 3g,

청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아무 때나 입에 머금고 녹여서 먹는다.
풍병이란 흔히 습토(濕土)가 담(痰)을 생기게 하고 담이 열(熱)을 생기게 하고
열이 풍(風)을 생기게 해서 된 것이다.
이 처방은 풍열을 치료하고 겸하여 담도 치료하기 때문에
풍열과 담을 치료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遇仙丹][우선단]   (0) 2018.11.18
[龍虎丹][용호단]   (0) 2018.11.18
[溫脾丹][온비단]   (0) 2018.11.18
[玉樞丹][옥추단]   (0) 2018.11.18
[玉鎖丹][옥쇄단]   (0) 2018.11.18

[溫脾丹][온비단]
治滯頤冷證
半夏麴 丁香 各20g

白朮 靑皮 乾薑 各10g
爲末 糊丸黍米大 米飮下10~20丸(湯氏).
반하국, 정향 각각 20g,

흰삽주(백출), 선귤껍질, 건강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탕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虎丹][용호단]   (0) 2018.11.18
[龍星丹][용성단]   (0) 2018.11.18
[玉樞丹][옥추단]   (0) 2018.11.18
[玉鎖丹][옥쇄단]   (0) 2018.11.18
[五瘟丹][오온단]  (0) 2018.11.10

[玉樞丹][옥추단]
一名, [追毒丹]治病服法同上
卽上[太乙紫金丹]加 入雄黃一兩朱砂五錢也製法同上
入蠱鄕瀮覺意思不快卽服一錠
或吐 或利而愈誠濟世衛生之寶也[入門]
일명 추독단(追毒丹)이라고도 한다.
맞음증[治病]과 먹는 방법은 태을자금단과 같다.
태을자금단약재, 석웅황(웅황) 40g, 주사 20g.
약을 만드는 방법은 태을자금단과 같다.
고독이 있는 마을에 들어갔을 때 마음이 불쾌하면 빨리 이 약 1알을 먹어야 한다.
그러면 토하거나 설사를 하고 낫는다.
그러니 실로 사람을 살리고 보호하는 귀중한 약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星丹][용성단]   (0) 2018.11.18
[溫脾丹][온비단]   (0) 2018.11.18
[玉鎖丹][옥쇄단]   (0) 2018.11.18
[五瘟丹][오온단]  (0) 2018.11.10
[五福化毒丹][오복화독단]   (0) 2018.11.10

[玉鎖丹][옥쇄단]
治精氣虛滑遺泄不禁.
龍骨, 蓮花蘂, 芡仁, 烏梅肉 各等分.
右爲末, 山藥糊和丸, 小豆大. 空心, 米飮下三十丸[得效].
정기가 허하여 활정, 유정, 설정으로 정액이 계속 배설되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연화예, 감인, 오매육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산약)로 쑨 풀로 소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미음으로 서른 알씩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脾丹][온비단]   (0) 2018.11.18
[玉樞丹][옥추단]   (0) 2018.11.18
[五瘟丹][오온단]  (0) 2018.11.10
[五福化毒丹][오복화독단]   (0) 2018.11.10
[烏龍丹][오룡단]   (0) 2018.11.10

[五瘟丹][오온단]
治流行瘟疫 及傷寒熱病 熱瘧 (參照 瘟疫門 轉載)
黃連屬火 戊癸年爲君, 黃栢屬水 丙辛年爲君,
黃芩屬金 乙庚年爲君, 甘草屬土 甲己年爲君,
紫蘇葉各40g 爲君者倍入, 上皆生用 冬至日製爲末
用錦紋大黃120g 濃煎湯去渣 熬成膏 和丸彈子大 朱砂
雄黃末爲衣 再貼金箔 每一丸 井華水 磨服(回春).
돌림온역[流行瘟疫]과 상한열병(傷寒熱病), 열학(熱 )을 치료한다.
황련(화(火)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무계년에는 이것을 주약으로 한다),
황백(수(水)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병신년에는 이것을 주약으로 한다),
속썩은풀(황금, 금(金)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을경년에는 이것을 주약으로 한다),
감초(토(土)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갑사년에는 이것을 주약으로 한다), 향
부자(목(木)에 속하는 약이기 때문에 정임년에는 이것을 주약으로 한다),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0g.
위의 약들에서 주약은 양을 곱으로 하며 다 생 것으로 쓰는데 동짓날에 가루낸다.
그리고 좋은 대황 120g을 진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졸여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와 석웅황을 입힌다.
다음 그 위에 금박을 입혀서 한번에 1알씩 우물물에 풀어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樞丹][옥추단]   (0) 2018.11.18
[玉鎖丹][옥쇄단]   (0) 2018.11.18
[五福化毒丹][오복화독단]   (0) 2018.11.10
[烏龍丹][오룡단]   (0) 2018.11.10
[五老還童丹][오로환동단]  (0) 2018.11.10

[五福化毒丹][오복화독단]
治熱疳 多生瘡癤 及痘瘡餘毒 口齒出涎血 臭氣或雀目夜不見物
玄參40g, 桔梗32g

人參 赤茯苓 馬牙硝各20g
靑黛10g, 甘草4g, 麝香2g, 金箔 銀箔各8片
爲末蜜和 每兩(37.5g)當作12丸 金銀箔爲衣 一歲兒一丸 分四服
薄荷水化下 雀目 陳粟米泔水 化下(丹心).
열감으로 창절(瘡癤)이 많이 생겼거나 마마의 여독(餘毒)으로
입에서 느침과 피가 섞여나오고 냄새가 나며 혹 밤눈증을 치료한다.
현삼 40g, 도라지(길경) 32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마아초 각각 20g,
청대 10g, 감초 4g, 사향 2g, 금박, 은박 각각 8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12알을 만들어
겉에 금박과 은박을 입힌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알을 네번에 나누어 먹이는데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야맹증으로 잘 보이지 않는 데는 묵은 좁쌀 씻은 물에 풀어 먹인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鎖丹][옥쇄단]   (0) 2018.11.18
[五瘟丹][오온단]  (0) 2018.11.10
[烏龍丹][오룡단]   (0) 2018.11.10
[五老還童丹][오로환동단]  (0) 2018.11.10
[靈砂丹][영사단]  (0) 2018.11.10

[烏龍丹][오룡단]
治中風 口眼喎斜 手足嚲曳 言語蹇澀神驗
川烏生去皮臍 五靈脂 各80g
爲末 入龍腦 麝香 各2g
和勻 滴水和 丸如彈子大
每1丸 先以薑汁 硏化 次日 煖酒 調服一日兩服50~7丸
便覺手移 足步 10丸可以 自梳頭(直指).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손발이 늘어지며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좋다.
오두(천오, 생것으로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오령지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용뇌, 사향 각각 2g과 함께
물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즙에 풀어 두었다가 다음 날 데운 술에 타서 먹는데 하루 두번 쓴다.
5-7알을 먹으면 손을 약간 쓰게 되고 걸을 수 있게 된다.
10알을 먹으면 저절로 머리를 빗을 수 있게 된다[직지].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瘟丹][오온단]  (0) 2018.11.10
[五福化毒丹][오복화독단]   (0) 2018.11.10
[五老還童丹][오로환동단]  (0) 2018.11.10
[靈砂丹][영사단]  (0) 2018.11.10
[靈寶丹][영보단]   (0) 2018.1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