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接骨丹][접골단]
當歸30g

川芎 沒藥 骨碎補 各20g

川烏煨16g
古文錢3箇火煆醋淬7次 乳香10g
木香4g

黃香(松脂也)240g

香油60g,
爲末 和油成膏 攤油紙 貼患處, 如骨碎筋斷 用此復續如初(回春).
당귀 30g,

궁궁이(천궁), 몰약, 골쇄보 각각 20g,
오두(천오, 잿불에 묻어 구운 것) 16g,
고문전(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3개,
유향 10g,

목향4g, 황향(송진이다) 240g,

참기름 6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기름에 개서 고약을 만든 다음 기름종이에 발라 상처에 붙인다.
만일 뼈가 부스러지고 힘줄이 끊어진데 이 약을 쓰면 다시 이어져 처음과 같이 된다[회춘].

[接骨散][접골산]
治骨折
乳香 沒藥 各10g

自然銅煆淬另硏20g

滑石40g

龍骨 赤石脂 各6g 麝香少許,
爲末 好醋浸潤煮乾炒燥 爲末 臨睡服時 麝香和勻 溫酒調下4g.
若骨已接 去龍骨 赤石脂而服 極效(丹心).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각각 10g,

자연동(불에 달구어 물에 담갔다가 따로 간 것) 20g,
곱돌(활석) 40g,

용골, 적석지 각각 6g,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좋은 식초에 담가 불린다.

이것을 볶아 말려 다시 가루낸다.
한번에 4g씩 사향과 고루 섞어서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타 먹는다.
만일 뼈가 이미 이어졌으면 용골과 적석지를 빼고 쓰는 것이 아주 좋다[단심].
一方, 將藥 除麝香浸酒煮乾 爲末 黃蠟20g熔化
內入麝和勻作 丸彈子大 每一丸 酒煎 以東南柳枝 攪散 空心熱服
名曰 [接骨丹] (入門).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위의 약들에서 사향은 내놓고 술에 담갔다가 달여서 말려 가루낸다.
다음 녹인 황랍 20g에 사향과 같이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는데 술에 넣고 졸이면서 동남쪽으로 뻗었던 버드나무가지로 저어서
풀어지게 한 다음 따끈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
이것을 접골단(接骨丹)이라고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接氣丹][접기단]  (0) 2018.12.05
[接骨紫金丹][접골자금단]   (0) 2018.12.05
[再甦散][재소단]  (0) 2018.12.05
[張天師草還丹][장천사초환단]  (0) 2018.12.04
[長生延壽丹][장생연수단]   (0) 2018.12.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