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生延壽丹][장생연수단]
夫人之臍也 受生之初 父精母血 相受凝結 以成胞胎 在母腹中
母呼兒呼 母吸兒吸 是一身臍帶 如花果 在枝而通蔕也.
旣生之後 從口呼吸 臍門自閉 旣長之後 外耗精神 內傷生冷
眞氣不得 條暢所以 蒸臍 固蔕 如水灌土 培草木自茂壯也
因常依法 熏蒸則榮衛調和 安魂定魄 寒暑不侵 身體輕徢
其中有神妙也.
人蔘 附子 胡椒 各28g

夜明砂 沒藥 虎骨 蛇骨 龍骨 五靈脂 白附子 朱砂 麝香 各20g

靑鹽 茴香 各16g

丁香 雄黃 乳香 木香 各12g
爲末 另用 白麪作條圈於臍上 將前藥一料 分爲三分
內取一分 先塡麝香末2g 入臍孔內 乃將一分 藥入麪圈內
按藥令緊中揷 數孔 外用塊皮一片 盖於藥上 以艾火灸之
無時損則易壯 其熱氣透身 患人必倦沈如醉 灸至50-60壯
遍身大汗 苟不汗則病未除 在於3-5日後又灸至汗出爲度
愼風寒 戒生冷 油膩 保養一月 百病皆除 益壽延年
婦人腹冷 無子尤宜 此灸 去麝香 加小腦4g(入門)
사람이 처음 생길 때에 아버지의 정(精)과
어머니의 혈(血)이 서로 엉키어 태아가 된다.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 태아도 숨을 내쉬고
어머니가 숨을 들이쉬면 태아도 숨을 들이쉬는데 이것은 탯줄을 통해서 하게 된다.
그러므로 태아의 배꼽줄은 마치 과일이 나뭇가지에 달려 있을 때
양분이 과실꼭지를 통하는 것과 같다.
태아가 태어 난 후에는 입으로 호흡하고 배꼽문은 저절로 닫힌다.
다 자란 다음에 겉으로 정신을 소모하고 속으로 날것과 찬 것에 상하여
진기(眞氣)가 잘 돌아가지 못할 때에 연수단으로 배꼽에 더운 김을 쏘여 주는 것은
풀과 나무에 물을 주고 흙을 북돋아 주면 잘 자라는 것과 같다.
사람들이 이 방법대로 배꼽에 더운 김을 쏘여 주면 영위(榮衛)가 조화되고
정신이 안정되며 추위와 더위가 침범하지 못하며 몸이 거뜬해지고 건강하게 된다.
이것이 묘한 방법이다.
인삼, 부자, 후추 각각 28g,
야명사, 몰약, 범뼈(호골), 뱀뼈, 용골, 오령지, 노랑돌쩌귀, 주사, 사향 각각 20g,
돌소금(청염), 회향 각각 16g, 정향, 석웅황(웅황), 유향, 목향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세몫으로 나누어 밀가루로 반죽한 다음 똬리처럼 만들어
배꼽 노리에 놓고 그 속에 사향가루 2g을 넣는다.
그 다음 나누어 둔 약가루 1몫을 똬리 속에 채우고 약가루를 잘 다진다.
그리고 가운데에 몇 개의 구멍을 내고 그 위에 회화나무껍질 한 조각을
덮어 놓은 다음 약쑥(애엽)으로 아무 때나 뜸을 뜨되 다 타면 뜸장을 바꾼다.
뜨거운 기운이 몸 안에 들어가면 환자가 술에 취한 사람처럼 온몸이 나른해진다.
또한 50-60장의 뜸을 뜨면 온몸에 땀이 푹 난다.
만일 땀이 나오지 않으면 병이 낫지 않은 것이다.
3-5일 후에 다시 땀이 날 때까지 뜬다.
뜸을 뜬 다음에는 바람과 찬 기운을 피해야 하고 날것, 찬 것, 기름진 음식 등을
금하면서 한 달 동안 보양하면 모든 병이 낫게 되고 또 오래 살게 된다.
부인이 배가 차서 아이를 갖지 못하는 데도 이 뜸법으로 치료하면 매우 좋다.
사향을 빼고 소뇌 4g을 넣어 쓴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再甦散][재소단]  (0) 2018.12.05
[張天師草還丹][장천사초환단]  (0) 2018.12.04
[壯本丹][장본단]   (0) 2018.12.04
[紫河車丹][자하거단]  (0) 2018.12.04
[紫金丹][자금단]   (0) 2018.12.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