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腫 陰痒 陰瘡 陰冷 交接出血][음종, 음양, 음창, 음랭, 교접출혈]
陰腫痛極, 便秘欲死, 枳橘熨之, 四物湯, 加柴胡梔子牡丹皮龍膽草, 煎服[入門].
음종으로 아픔이 극심한데 변비가 있어 죽을 것 같을 때는
지실과 귤피로 찜질한 후 사물탕에 시호·치자·목단피·용담초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陰戶腫痛不閉, 寒熱尿澁, 宜加味逍遙散 方見婦人, 加知母地骨皮車前子[入門].
음문이 붓고 아픈데 음문이 닫히지 않으며 추웠다 더웠다 하고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데는
가미소요산(처방은 부인문에 있다)에 지모, 지골피, 차전자를 더 넣어 쓴다(입문).
婦人陰戶生瘡, 乃七情鬱火, 損傷肝脾, 濕熱下注也[入門].
부인의 음문이 허는 것은 칠정으로 화가 뭉쳐[鬱火] 간(肝)과 비(脾)를 손상하여
습열이 아래로 내려갔기 때문이다(입문).
陰內下疳瘡, 因月後便行房, 致成湛濁, 伏流陰道, 遂生疳瘡.
與男子妬精瘡, 略同.
黃丹 枯白礬 萹蓄 藁本 各一兩,
硫黃 蛇床子 荊芥 各五錢, 蛇蛻一條燒灰.
右爲末, 別以荊芥蛇床子煎湯, 溫洗拭乾, 以淸油調藥末糝之[得效].
음문 속의 하감창(下疳瘡)은 월경 후에 바로 성생활을 하여 더러운 것이 생겨서
음도로 흘러 들어가 감창이 생긴 것이다.
남자의 투정창과 비슷하다.
황단, 고백반, 편축, 고본 각 한 냥,
유황, 사상자, 형개 각 닷 돈,
사태 한 개(태워 재를 낸다). 앞의 약들을 가루내어 따로 형개와 사상자를 달여
따뜻하게 씻은 뒤 닦아내고 참기름으로 약가루를 개어 바른다(득효).
婦人陰蝕瘡, 宜用洗溻湯, 疳濕散[得效].
부인의 음식창에는 세탑탕이나 감습산을 쓴다(득효).
陰中生濕瘡虫如小蛆, 乃濕熱鬱滯也.
宜服硫鯉丸, 外用生艾汁, 調雄黃末, 燒烟熏之, 更用雄黃銳散 方見寒門, 納陰中[入門].
음문이 축축하고 헐어 작은 구더기 같은 벌레가 생기는 것은
습열이 뭉치고 몰렸기 때문이다.
유리환을 쓰고, 외용으로는 생쑥즙에 웅황가루를 개어 태운 연기를 쏘인 다음
웅황예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음문 속에 넣는다(입문).
陰中生細虫, 痒不可忍, 蝕入藏府, 卽死.
令人發寒熱, 先以蛇床子煎湯, 洗淨拭乾, 銅綠散糝之[入門].
음문 속에 가느다란 벌레가 생겨 참을 수 없이 가렵고 장부를 파먹게 되면 바로 죽는다.
추웠다 더웠다 할 때는 먼저 사상자 달인 물로 깨끗이 씻은 뒤 마른 것으로 닦은 다음
동록산을 바른다(입문).
濕痒出水痛者, 憂思過傷所致, 歸脾湯 方見神門, 加柴胡梔子牡丹皮赤芍藥, 煎服.
潰爛者, 宜加味逍遙散[入門].
축축하면서 가렵고 진물이 나며 아픈 것은 근심과 생각이 지나쳐 상한 까닭이므로
귀비탕(처방은 신문에 있다)에 시호, 치자, 목단피, 적작약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
헐어 문드러진 데는 가미소요산을 쓴다(입문).
婦人陰畔生疱, 以凉血飮 方見後陰, 加凌霄花少許, 煎, 空心服[得效].
부인의 음순에 물집이 생기면 양혈음(처방은 후음문에 있다)에
능소화를 조금 넣어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陰冷, 宜麝香丸, 回春散, 助陽散 方見上.
음랭에는 사향환, 회춘산, 조양산(처방은 앞에 있다) 등을 쓴다.
交接出血而作痛, 乃房室有傷, 由肝火動脾, 而不能攝血.
宜用歸脾湯 方見神門, 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外用熟艾綿裹, 入陰中, 亂髮靑皮燒灰爲未, 糝之[入門].
성관계를 할 때 피가 나면서 아픈 것은 성관계에서 손상이 생긴 것인데,
간화(肝火)가 비(脾)를 동하여 혈을 지키지 못한 까닭이다.
귀비탕(처방은 신문에 있다)이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
외용으로는 숙애를 솜으로 싸서 음문 속에 넣거나
난발과 청피 태운 재를 가루내어 붙인다(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