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味葱白散][칠미총백산]
治勞復 食復
葱白連根3莖
乾葛 麥門冬 熟地黃 各12g
香豉半合 生薑切1合
剉以甘爛水4升 煎之三分 減去滓 分二服(活人).
노복증과 식복증을 치료한다.
파밑(총백, 뿌리가 달린 것) 3대,
칡뿌리(갈근), 맥문동, 찐지황(숙지황) 각각 12g,
향시 반 홉, 생강(썬 것)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감란수 4되에 달여 3분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두번에 나누어 먹는다[활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珍散][칠진산]   (0) 2018.12.30
[七寶散][칠보산]  (0) 2018.12.30
[七味蒼柏散][칠미창백산]  (0) 2018.12.30
[七物赤散][칠물적산]   (0) 2018.12.30
[齒髮散][치발산]  (0) 2018.12.30

[七味蒼柏散][칠미창백산]
蒼朮, 黃柏, 杜冲, 破故紙, 川芎, 當歸, 白朮 各一錢.
右剉作一貼, 空心, 水煎服[入門].
창출, 황백, 두충, 파고지, 천궁, 당귀, 백출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寶散][칠보산]  (0) 2018.12.30
[七味葱白散][칠미총백산]   (0) 2018.12.30
[七物赤散][칠물적산]   (0) 2018.12.30
[齒髮散][치발산]  (0) 2018.12.30
[側柏散][측백산]  (0) 2018.12.30

[七物赤散][칠물적산]
辟瘟疫毒氣
丹砂另硏 川烏炮 各40g
瓜蔞根30g
細辛 羊躑躅 乾薑炮 白朮炒 各20g
爲末 每服1.875g 溫酒調服. 汗出解 若不解 增至3.75g 服(寶鑒).
온역의 독기를 풀리게 한다.
주사(따로 간 것), 오두(싸서 구운 것) 각각 40g,
하늘타리뿌리(과루근) 30g,
족두리풀(세신), 양척촉, 건강(싸서 구운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고 땀을 내면 풀린다.
만일 풀리지 않으면 양을 늘여서 4g까지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味葱白散][칠미총백산]   (0) 2018.12.30
[七味蒼柏散][칠미창백산]  (0) 2018.12.30
[齒髮散][치발산]  (0) 2018.12.30
[側柏散][측백산]  (0) 2018.12.30
[吹喉散][취후산]  (0) 2018.12.30

[人牙散][인아산]
治漏瘡 惡瘡 能生肌
人牙煆 油髮灰 雄鷄內金 各等分
爲末 入麝香 輕粉各少許 和勻, 濕則乾糝 乾則油調 付之(直指).
一名, [齒髮散] (入門)
누창과 악창을 치료하는데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한다.
난발회(기름 먹은 것), 계내금(수탉의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사향과 경분을 조금 넣고 고루 섞어서 쓰는데
헌데에 진물이 있으면 약가루를 마른 채로 뿌리고 헌데가 말랐으면
기름에 개서 바른다[직지].
일명 치발산(齒髮散)이라고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味蒼柏散][칠미창백산]  (0) 2018.12.30
[七物赤散][칠물적산]   (0) 2018.12.30
[側柏散][측백산]  (0) 2018.12.30
[吹喉散][취후산]  (0) 2018.12.30
[吹耳散][취이산]  (0) 2018.12.30

[側柏散][측백산]
治內損心肺, 吐血下血, 其出如涌泉, 口鼻皆流, 須臾不救則死, 服此卽安.
側柏葉 蒸乾 二兩半,
荊芥穗 燒灰, 人蔘 各一兩.
右爲末, 每三錢, 入白麪二錢, 新汲水調如稀糊, 啜服[經驗].
속으로 심과 폐가 손상되어 피를 토하고 아래로도 피를 쏟는데,

피가 마치 샘솟듯이 입과 코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 병은 바로 치료하지 않으면 곧 죽는데, 이 약을 먹으면 곧 괜찮아진다.
측백엽(쪄서 말린 것) 두 냥 반,
형개수(재가 되게 태운 것), 인삼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번 서 돈씩 흰 밀가루 두 돈에 넣어,

새로 길어온 물에 멀건 밀가루 풀처럼 쑤어서 마신다(경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物赤散][칠물적산]   (0) 2018.12.30
[齒髮散][치발산]  (0) 2018.12.30
[吹喉散][취후산]  (0) 2018.12.30
[吹耳散][취이산]  (0) 2018.12.30
[吹雲散][취운산]   (0) 2018.12.30

[吹喉散][취후산]
治咽喉腫閉塞.
膽礬 五錢 無膽礬, 則代以綠礬, 入靑魚膽內, 風乾, 無靑魚, 則代蠡魚膽,

巴豆 七箇 去殼, 焰硝 二錢半

另硏, 銅靑 一錢,

輕粉 五分,

靑黛 一字.
右將膽礬同巴豆於銅銚內飛過, 去巴豆, 合焰硝等四味,

再入麝香少許, 每用一字, 吹入喉中, 吐出痰血, 立愈[綱目].
목구멍이 붓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반 닷 돈(담반이 없으면 녹반을 쓰는데, 담반을 청어의 쓸개 안에 넣어 바람에 말린다.

청어가 없으면 가물치의 쓸개를 쓴다),

파두 일곱 개(껍질을 깐다),

염초 두 돈 반(따로 간다),

동청 한 돈,

경분 닷 푼,

청대 한 자.
위의 약 중에서 담반과 파두를 구리그릇에 넣고 수비한 다음 파두를 버린다.

여기에 나머지 염초 등 네 가지 약을 합한 후 다시 사향을 조금 넣어 잘 간 다음

한 자씩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면서 바로 낫는다(강목).

[吹喉散][취후산]
治懸雍下垂腫痛, 及一切咽喉疾.
膽礬, 白礬, 焰硝, 片腦, 山豆根, 辰砂, 雞內金 焙.
右爲極細末, 以竹管吹少許入喉中, 卽效[回春].
현옹이 늘어지면서 붓고 아픈 것과 모든 인후 질환을 치료한다.
담반, 백반, 염초, 편뇌, 산두근, 진사, 계내금(약한 불에 말린다).
위의 약들을 아주 곱게 가루내어 대나무 대롱으로

목구멍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곧 효과가 있다(회춘).

[吹喉散][취후산]
治喉閉腫痛.
綠礬 五錢 入靑魚膽內風乾,

巴豆 七箇 去殼,

朴硝 二錢半 另硏,

銅靑 一錢,

輕粉 五分,

靑黛 少許.
右將膽礬同巴豆於銅銚內飛過, 去巴豆,

合朴硝等四味, 再入麝香少許, 每用一字, 吹入喉中, 吐出痰血, 立愈[正傳].
목구멍이 막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녹반 닷 돈(청어 쓸개 안에 넣어 바람에 말린다),

파두 일곱 개(껍질을 깐다),

박초 두 돈 반(따로 간다),

동청 한 돈,

경분 닷 푼,

청대 조금.
위의 약 중에서 담반과 파두를 구리그릇에 넣고 수비하여 파두를 버린 다음

여기에 박초 등 네 가지 약을 합한 후 다시 사향을 조금 넣어 잘 간 다음

한 번에 한 자씩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가래와 피를 토하면서 바로 낫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齒髮散][치발산]  (0) 2018.12.30
[側柏散][측백산]  (0) 2018.12.30
[吹耳散][취이산]  (0) 2018.12.30
[吹雲散][취운산]   (0) 2018.12.30
[醉仙散][취선산]   (0) 2018.12.30

[吹耳散][취이산]
治腎經風熱, 耳內出膿汁.
乾胭脂, 海螵蛸, 枯白礬, 龍骨, 赤石脂, 密阤僧 煅, 膽礬, 靑黛, 鵬砂, 黃連 各一錢,
龍腦 二分,
麝香 一分.
右爲細末, 先去膿水, 次吹藥入[回春].
신경에 풍열이 있어 귓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건연지, 해표초, 고백반, 용골, 적석지, 밀타승(불에 달군 것), 담반, 청대, 붕사, 황련 각 한 돈,
용뇌 두 푼,
사향 한 푼.
위의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먼저 고름을 닦아내고 약을 불어넣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側柏散][측백산]  (0) 2018.12.30
[吹喉散][취후산]  (0) 2018.12.30
[吹雲散][취운산]   (0) 2018.12.30
[醉仙散][취선산]   (0) 2018.12.30
[衝寒散][충한산]   (0) 2018.12.30

[吹雲散][취운산]
治痘後 生瞖膜
黃丹水飛4g , 輕粉1g, 龍腦一釐(0.0375g)
爲末 以鵝翎 吹入耳內
如左眼病吹入右耳 右眼病 吹入左耳 一日三次 兼服通明散
宜早治之 久則難治(醫鑒).
황단(수비한 것) 4g, 경분 1.2g, 용뇌 0.0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거위깃으로 만든 대롱을 귀 안에 대고
약을 불어넣되 왼쪽 눈에 병이 있으면 오른쪽 귀에 불어넣고
오른쪽 눈에 병이 있으면 왼쪽 귀에 불어넣는다.
이렇게 하루 세번 불어넣고 겸하여 통명산을 먹인다.
일찍이 치료해야 한다.
오래되면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喉散][취후산]  (0) 2018.12.30
[吹耳散][취이산]  (0) 2018.12.30
[醉仙散][취선산]   (0) 2018.12.30
[衝寒散][충한산]   (0) 2018.12.30
[縮砂散][축사산]  (0) 2018.12.30

[醉仙散][취선산]
治大風癩瘡
胡麻 牛蒡子 枸杞子 蔓荊子 各40g
同炒 白蒺藜 苦參 瓜蔞根 防風 各20g
爲細末每56.25g 入輕粉7.5g 拌勻 每服3.75g 茶
淸調下 晨 午 夕 各一服
後5~7日 先於牙縫內 出臭黃涎 渾身疼悶如醉
然後利下膿血 惡臭氣 病根乃去矣(丹心).
服此藥時 須斷 塩醬醋 諸般魚肉油膩燒灸之物
只吃淡粥及煮熟時菜幷烏蛇 白花蛇淡酒 煮熟食之 以助藥力(丹心)
문둥병으로 허는 것을 치료한다.
참깨(호마), 우엉씨(대력자), 구기자, 순비기열매(만형자)(다 함께 닦는다) 각각 40g,
남가새열매(백질려), 너삼(고삼), 하늘타리뿌리(과루근), 방풍 각각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매 60g에 경분 8g씩 되게 섞는다.
한번에 4g씩 새벽, 한낮, 저녁에 한번씩 찻물에 타 먹는다.
이 약을 먹으면 5-7일 지나서 잇몸에서 냄새가 나며 누런 침이 나오고
온몸이 아프면서 답답하고 술에 취한 것 같이 되며 설사로 악취가 나는
피고름이 나온 다음 병의 뿌리가 빠진다[단심].
이 약을 먹을 때 소금, 장, 식초, 모든 고기, 불에 구운 음식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오직 죽과 채소를 먹으면서 오사, 백화사 같은 약을 술에 넣고 달여서 먹어
약의 작용을 도와주어야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耳散][취이산]  (0) 2018.12.30
[吹雲散][취운산]   (0) 2018.12.30
[衝寒散][충한산]   (0) 2018.12.30
[縮砂散][축사산]  (0) 2018.12.30
[紩鼻瓜疵散][축비과체산]  (0) 2018.12.30

[衝寒散][충한산]
治痼冷腹痛 泄瀉 飮食減少
香附子 陳皮 草果 各6g,
縮砂 白薑 肉豆蔲 各3g,
藿香 白茯苓 木通 吳茱萸 各1g,
爲末每7.5g 溫酒 或薑湯 調下
或剉作一貼 水煎服(入門).
고랭(痼冷)으로 배가 아프고 설사하며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귤껍질(陳皮), 초과 각각 6g,
사인, 건강, 육두구 각각 2.8g,
곽향, 흰솔풍령(백복령), 으름덩굴(목통), 오수유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이나 생강 달인 물에 타 먹는다.
혹은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雲散][취운산]   (0) 2018.12.30
[醉仙散][취선산]   (0) 2018.12.30
[縮砂散][축사산]  (0) 2018.12.30
[紩鼻瓜疵散][축비과체산]  (0) 2018.12.30
[追風通氣散][추풍통기산]  (0) 2018.12.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