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榮衛返魂湯][영위반혼탕]  

治一切痰飮爲患專治 痰腫 又治癰疽 發背 流注腫毒

赤芍藥 木通 白芷 何首烏 枳殼 茴香 烏藥 當歸 甘草 各4g.

剉作一貼 酒水各半 煎服(醫林).

여러 가지 담음으로 생긴 병을 주로 치료하는데 특히 담종(痰腫)을 낫게 한다.

또한 옹저(癰疽), 등창[發背], 유주종독(流注腫毒)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적작약), 으름덩굴(목통), 구릿대(백지), 은조롱(하수오),

지각, 회향, 오약, 당귀,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의림].

一名 [追風通氣散], [通順散], [何首烏散]

此方宜 與十宣散相間 用之 並加忍冬藤(入門).

일명 추풍통기산(追風通氣散)이라고도 하고

통순산(通順散) 또는 하수오산(何首烏散)이라고도 한다.

이 약은 십선산과 서로 엇바꾸어 가면서 쓰는 것이 좋은데

인동덩굴(인동등)을 더 넣어 써야 한다[입문].

凡氣血逆於肉理 令壅結爲癰疽,

此藥大能順氣勻血 自然榮衛通順 不生變證 尤合內疽(入門).

기혈이 제대로 돌지 못하고 살 속에 막혀 뭉쳐서 옹저가 생겼을 때

이 약을 쓰면 기가 잘 돌게 되고 혈이 고르롭게[] 되므로

영위(榮衛)가 저절로 잘 돌게 된다.

그러므로 변증(變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내저(內疽)에 쓰면 더 좋다[입문].

虛 加附子, 實 加大黃, 痰盛 加南星 半夏,

腫毒堅硬不穿 加川芎 麻黃 葱白 全蝎 穿山甲, 流注 加獨活.

流注者 氣血凝滯 加獨活 則可以動一身血脈 血脈旣動 豈不有流注乎(入門).

()한 데는 부자(싸서 구운 것)를 더 넣고 실()한 데는

대황을 더 넣으며 담이 성한 데는 천남성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고

종독으로 뜬뜬해지기만 하고 터지지 않은 데는

궁궁이(천궁), 마황, 파밑(총백), 전갈, 천산갑을 더 넣으며

유주 때에는 따두릅을 더 넣는다.

유주란 기혈이 막혀서 생긴 것인데 따두릅을 더 넣어서 쓰면

온몸에 혈맥이 잘 통하게 된다.

혈맥(血脈)이 잘 통하면 어떻게 다시 유주가 생길 수 있겠는가[입문].

此藥治流注 癰疽 發背至於救壞病 活死肌弭丸於未萌之前拔根 於旣愈之後

大能順氣勻血 盖氣陽也 血陰也, 只調陽不和陰 則氣耗而凝肌 必不活,

[五香連翹]之類 是也, 只和陰不調陽 則血旺 而氣弱 病必再作

[內補十宣]之類 是也. 此藥兼之 眞神仙妙劑也(醫林).

이 약은 유주, 옹저, 등창을 치료하는데

심지어는 괴병(壞病)으로 위급하게 된 것도 살리며

궂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며 병이 생기기 전에 미리 막고

병이 나은 뒤에는 뿌리가 생기지 못하게 하며 기를 잘 돌게 하고

혈이 고르롭게 되게 한다.

()는 양()이고 혈()은 음()인데 단지 양만 고르롭게 되게 하고

음을 고르롭게 되게 하지 못하면 기가 소모되고 몰리므로

반드시 새살이 살아나지 못한다.

오향연교탕 같은 것이 그렇게 되게 하는 약이다.

단지 음만 고르롭게 되게 하고 양을 고르롭게 되게 하지 못하면

혈은 왕성해지고 기가 약해지므로 반드시 병이 도진다.

내보십선산 같은 것이 그렇게 되게 하는 약이다.

이 약은 음양, 기혈을 다 고르롭게 하는 작용을 겸한 참 좋은 처방이다[의림].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隘散][통애산]  (0) 2018.12.31
[通神散][통신산]  (0) 2018.12.31
[通聖散][통성산]  (0) 2018.12.31
[通泄散][통설산]  (0) 2018.12.31
[通秘散][통비산]  (0) 2018.12.31

[通聖散][통성산]
治 痘疹入眼 生瞖膜
白菊花 菉豆皮 穀精草 各等分
爲末 取4g 乾柹1箇 米泔一盞同煎 候泔盡 只取柿食之 日三(活人).
흰국화(白菊花), 녹두껍질, 곡정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4g씩 곶감 1개와 함께 쌀 씻은 물 1잔에 넣고 달여서
물이 다 줄면 곶감만을 먹는데 하루 세번씩 먹인다[활인].

[加減通聖散][가감통성산]
治楊梅瘡初起
牛蒡子一錢二分
防風 白鮮皮 赤芍藥 連翹 黃芩 各一錢
金銀花五分

梔子仁 當歸尾 各七分
荊芥 槐花 各六分
白召蠶 甘草 各四分
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양매창을 치료하는데 초기에 쓴다.
우엉씨(대력자) 4.8g,
방풍, 백선피, 함박꽃뿌리(작약), 연교,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금은화 2g,

산치자, 당귀(잔뿌리) 각각 2.8g,
형개, 홰나무꽃(괴화) 각각 2.4g,

백강잠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神散][통신산]  (0) 2018.12.31
[通順散][통순산]  (0) 2018.12.31
[通泄散][통설산]  (0) 2018.12.31
[通秘散][통비산]  (0) 2018.12.31
[通明散][통명산]   (0) 2018.12.31

[通泄散][통설산]
治忽患癲狂不止, 或風涎暴作氣塞倒仆.
瓜蔕 爲末 三錢,

加 輕粉 一字.
右水半合, 調勻灌之, 良久涎自出, 如未出, 含砂糖一塊下咽, 涎卽出[丹心].
갑자기 전광이 발작하여 그치지 않거나,

풍연(風涎)이 갑자기 기(氣)를 막아 쓰러진 것을 치료한다.
과체(가루낸 것) 서 돈,

경분 한 자.
위의 약을 물 반 홉에 잘 개서 흘려넣으면 한참 있다가 연(涎)이 저절로 나온다.

연이 나오지 않으면 설탕 한 덩어리를 입에 물려 녹여 넘기면 연이 바로 나온다(단심).
經驗方曰, 江浙一婦人, 忽癲狂不止.

醫曰, 此得之驚憂之極, 痰氣上犯心包, 當伐其源.

眞瓜蔕五錢爲末, 每取一錢, 井華水調服, 隨得大吐, 吐後熟睡, 切莫驚覺, 自此無恙.

此與世醫得效方[苦丁香散]同.
경험방에서는 "강절 땅의 어떤 부인이 갑자기 전광이 생겨 낫지 않았다.

의사가 말하기를 '이것은 놀라고 너무 걱정하여서 얻은 병으로,

담기(痰氣)가 위로 올라가 심포를 침범한 것이니 그 근원을 쳐야 한다'고 하면서

좋은 과체 다섯 돈을 가루내어 한 번에 한 돈씩 정화수에 타서 먹였다.

조금 있다가 심하게 토하고 토한 뒤에 깊은 잠에 빠졌다.

'절대 놀라거나 깨게 하여서는 안 된다. 이렇게 하면 병이 없어질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 처방과 세의득효방의 고정향산은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順散][통순산]  (0) 2018.12.31
[通聖散][통성산]  (0) 2018.12.31
[通秘散][통비산]  (0) 2018.12.31
[通明散][통명산]   (0) 2018.12.31
[通苓散][통령산]  (0) 2018.12.31

[通秘散][통비산]
治氣淋, 痛不可忍.
香附子, 陳皮, 赤茯苓 各等分.
右剉, 五錢, 空心水煎服[得效].
기림으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 진피, 적복령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 다섯 돈씩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聖散][통성산]  (0) 2018.12.31
[通泄散][통설산]  (0) 2018.12.31
[通明散][통명산]   (0) 2018.12.31
[通苓散][통령산]  (0) 2018.12.31
[通導散][통도산]  (0) 2018.12.31

[通明散][통명산]
治 痘後 生瞖膜
當歸 川芎 赤芍藥 生地黃 防風 乾葛 甘菊 天花粉 蟬殼 各1g,
穀精草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당귀,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생지황, 방풍, 칡뿌리(갈근),
단국화(감국),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매미허물(선각) 각각 1g,
곡정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泄散][통설산]  (0) 2018.12.31
[通秘散][통비산]  (0) 2018.12.31
[通苓散][통령산]  (0) 2018.12.31
[通導散][통도산]  (0) 2018.12.31
[通氣散][통기산]   (0) 2018.12.31

[通苓散][통령산]
治九種心痛.
蒲黃, 五靈脂 各一兩,

木通, 赤芍藥 各五錢.
右剉五錢, 水煎入鹽少許服[入門].
구종심통을 치료한다.
포황, 오령지 각 한 냥,
목통, 적작약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닷 돈씩 물에 달여 소금을 약간 넣어 먹는다(입문).

[通苓散][통령산]
治暑濕泄瀉, 分水穀, 解煩熱.
澤瀉, 白朮, 猪苓, 赤茯苓, 木通, 茵蔯, 瞿麥, 車前子 各一錢.
右剉作一貼, 入燈心一團麥門冬十粒同煎服[得效].
서습(暑濕)으로 인한 설사를 치료하는데,

소화된 음식물을 대변과 오줌으로 잘 나누고 번열을 풀어준다.
택사, 백출, 저령, 적복령, 목통, 인진, 구맥, 차전자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등심 한 움큼과 맥문동 열 개를 넣고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秘散][통비산]  (0) 2018.12.31
[通明散][통명산]   (0) 2018.12.31
[通導散][통도산]  (0) 2018.12.31
[通氣散][통기산]   (0) 2018.12.31
[通關散][통관산]  (0) 2018.12.31

[通導散][통도산]
治傷損極重 大小便不通 心腹脹悶 宜用此下瘀血
大黃 芒硝 各8g
當歸 蘇木 紅花 桃仁 各4g
厚朴 陳皮 木通 枳殼 甘草 各2g
剉作一貼 水煎空心服(醫鑒).
一名, [大成湯] (醫林).
외상이 몹시 중(重)하여 대소변이 나오지 못하고 명치 밑이 불러 오르며
답답한 것을 치료하는데 설사로 어혈이 나가게 한다.
대황, 망초 각각 8g,
당귀, 소목, 잇꽃(홍화), 복숭아씨(도인) 각각 4g,
후박, 귤껍질(陳皮), 으름덩굴(목통),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의감].
일명 대성탕(大成湯)이라고도 한다[의림].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明散][통명산]   (0) 2018.12.31
[通苓散][통령산]  (0) 2018.12.31
[通氣散][통기산]   (0) 2018.12.31
[通關散][통관산]  (0) 2018.12.31
[通經散][통경산]  (0) 2018.12.31

[通氣散][통기산]
治天行 大頭瘟 頭面赤腫 或咽喉閉塞 用此取嚔 亦不傳染
玄胡索6g
皂角 川芎 各4g
藜蘆2g,
躑躅花1g
爲末 用紙撚蘸藥 縱入鼻中 嚔 日3~5次(精義).
돌림병인 대두온으로 머리와 얼굴이 벌겋게 붓고 혹 목구멍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이 약으로 일곱여덟번 재채기를 시켜 독기를 빼면 낫는다.
간호하는 사람도 이 약으로 재채기하게 하면 전염되지 않는다.
현호색 6g,
주염열매(조각), 궁궁이(천궁) 각각 4g,
박새뿌리(여로) 2g,
척촉화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종이 심지에 묻혀 하루에 세번에서 다섯번
콧구멍에 밀어 넣으면 재채기를 하게 된다[정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苓散][통령산]  (0) 2018.12.31
[通導散][통도산]  (0) 2018.12.31
[通關散][통관산]  (0) 2018.12.31
[通經散][통경산]  (0) 2018.12.31
[通肝散][통간산]  (0) 2018.12.31

[通關散][통관산]
治小便不通.
白礬, 生白鹽 各二錢半.
右硏勻, 以紙圈圍臍, 抄藥在內, 滴冷水藥上, 卽通[類聚].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 흰 생소금 각 두 돈 반.
위의 약을 곱게 간다.
종이를 말아 배꼽 둘레를 둘러싼 후 갈아 놓았던 약을 이 속에 떠넣고

찬물을 약 위에 떨어뜨리면 오줌이 바로 나온다(유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導散][통도산]  (0) 2018.12.31
[通氣散][통기산]   (0) 2018.12.31
[通經散][통경산]  (0) 2018.12.31
[通肝散][통간산]  (0) 2018.12.31
[澤瀉散][택사산]   (0) 2018.12.31

[通經散][통경산]
治腰痛, 下水濕.
陳皮, 當歸, 甘遂 各等分.
右爲末, 每三錢, 臨臥, 溫酒調下[子和].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수습(水濕)을 아래로 내보낸다.
진피, 당귀, 감수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서 돈씩 잠잘 때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자화).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氣散][통기산]   (0) 2018.12.31
[通關散][통관산]  (0) 2018.12.31
[通肝散][통간산]  (0) 2018.12.31
[澤瀉散][택사산]   (0) 2018.12.31
[澤蘭散][택란산]  (0) 2018.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