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必效散][필효산]
治一切淋.
當歸, 生地黃, 赤茯苓, 滑石, 牛膝, 山梔仁, 麥門冬, 枳殼,

萹蓄, 木通, 知母, 黃柏 二並酒炒 各七分,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入燈心一團, 空心水煎服[醫鑑].
모든 임병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적복령, 활석, 우슬, 산치자인, 맥문동, 지각,

편축, 목통, 지모, 황백(둘 다 술에 축여 볶은 것) 각 일곱 푼,
감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등심 한 줌을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夏枯草散][하고초산]  (0) 2019.01.01
[河間生地黃散][하간생지황산]  (0) 2018.12.31
[蒲黃散][포황산]  (0) 2018.12.31
[平肺散][평폐산]  (0) 2018.12.31
[平胃散][평위산]  (0) 2018.12.31

[蒲黃散][포황산]
治脬轉不得尿.
蒲黃, 滑石 各等分.
爲末, 每二錢, 雞子淸 調下[總錄].
전포증으로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포황, 활석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을 계란 흰자위에 타서 먹는다(총록).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河間生地黃散][하간생지황산]  (0) 2018.12.31
[必效散][필효산]  (0) 2018.12.31
[平肺散][평폐산]  (0) 2018.12.31
[平胃散][평위산]  (0) 2018.12.31
[平氣散][평기산]   (0) 2018.12.31

[平肺散][평폐산]
治喘嗽痰盛 寒熱往來 口燥
陳皮4g, 甘草2g
半夏 鶯粟殼 薄荷 紫蘇葉 烏梅肉 紫菀 知母 桑白皮 五味子 杏仁 桔梗 各3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丹心).
천식과 기침 때 담이 성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목구멍과 입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4g, 감초 2g.
끼무릇(반하), 앵속각, 박하, 차조기잎(자소엽), 오매살, 자원,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오미자,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必效散][필효산]  (0) 2018.12.31
[蒲黃散][포황산]  (0) 2018.12.31
[平胃散][평위산]  (0) 2018.12.31
[平氣散][평기산]   (0) 2018.12.31
[蝙蝠散][편복산]  (0) 2018.12.31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等證.
蒼朮 二錢,

陳皮 一錢四分,

厚朴 一錢,

甘草 六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水煎服. 或爲末, 取二錢, 薑棗湯點服[入門].
비위의 기가 조화되지 않아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명치끝과 배가 그득하고 아프며 구역질과 딸꾹질을 하고,

속이 미식거리며 트림이 나고 신물을 넘기고 얼굴이 누렇게 뜨고 살이 마르며,

노곤하게 늘어져 자꾸 누우려고 하며 설사를 잘 하거나,

곽란이나 다섯 가지 열(噎) 과 여덟 가지 비(痞), 열격[膈氣]과 반위 등 여러 증상을 치료한다.
창출 두 돈,

진피 한 돈 너 푼,

후박 한 돈,

감초 여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또는 가루내어 두 돈씩 생강과 대추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平胃散], 決烈耗散之劑, 實非補胃之藥, 能瀉土氣之敦阜, 使之平耳.

用之而胃氣和平則便止, 不可常用也[丹心].
평위산은 강하게 뚫어 없애고 흩어지게 하는 약이지 실제로 위를 보하는 약이 아니며,

토기(土氣)가 지나치게 쌓인 것을 쏟아서 고르게[平] 할 뿐이다.

평위산을 써서 위기가 고르게 되면 곧 그만 써야 하며 늘 써서는 안 된다(『단심』).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 等證.
蒼朮8g, 陳皮6g, 厚朴4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水煎服或爲末 取8g 薑棗湯 點服(入門).
비위가 고르지 못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구역과 딸꾹질이 나고 메스꺼우며 트림이 나면서 신물이 올라오고
얼굴빛이 누렇게 되며 몸이 여위고 노곤해서 눕기를 좋아하며
자주 설사를 하는 것과 혹 곽란( 亂)과 5열(五 ), 8비(八 ), 격기(膈氣),
반위증(反胃證) 등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귤껍질(陳皮) 5.6g, 후박 4g, 감초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에 타 먹기도 한다[입문].

[平胃散][평위산]
和脾健胃能進飮食盖內傷病脾胃中有宿食
故不嗜食用此藥平其胃氣則自然思食(方見五藏)
若加茯巔丁香白朮爲[調胃散]
加乾薑爲[厚朴湯]
與五巔散相合爲[胃巔湯]
與六一散相合爲[黃白散]
加藿香半夏爲[不換金正氣散][海藏]
비(脾)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든든하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대개 내상병(內傷病)으로 비위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어서
입맛을 잃는 것이다.
이 약을 먹어서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면 자연히 음식생각이 난다
(처방은 5장문에 있다).
평위산에 흰솔풍령(백복령), 정향, 흰삽주(백출)를 더 넣은 것은
조위산(調胃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건강을 더 넣은 것을 후박탕(厚朴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오령산(五 散)을 넣어 합한 것을 위령탕(胃 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육일산(六一散)을 넣어 합한 것을 황백산(黃栢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곽향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은 것을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이라 한다[해장].

[加味平胃散][가미평위산]
治宿食不化
平胃散本方一貼加神麴麥芽炒各七分也[丹心]
먹은 음식물이 오래도록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평위산 본방 1첩에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2.8g을 더 넣은 것이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蒲黃散][포황산]  (0) 2018.12.31
[平肺散][평폐산]  (0) 2018.12.31
[平氣散][평기산]   (0) 2018.12.31
[蝙蝠散][편복산]  (0) 2018.12.31
[敗草散][패초산]   (0) 2018.12.31

[平氣散][평기산]
治濕熱喘急
白牽牛頭末80g半生半炒 大黃28g,
陳皮去白20g, 靑皮 檳樃 各12g
細末 每12g 薑湯調下.
一婦人 本肥盛 霖雨時 飮酒 及潼乳 得腹脹 喘滿 聲聞舍外 不得安臥
大小便澁滯 氣口脈大 兩倍於人迎 沈緩有力 此人 濕熱太盛 而爲喘 邪氣盛
則實 實者 宜下之 用此藥一服 減半 再服 喘止 但有胸滿口乾 時咳嗽
再與加減瀉白散 全愈(寶鑑).
습열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흰씨(견우자, 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아서 맏물가루낸 것) 80g,
대황 28g, 귤껍질(陳皮, 흰 속을 버린 것) 20g, 선귤껍질(청피), 빈랑 각각 12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살이 찐 어떤 부인이 장마철 때 술과 소젖을 마신 다음 배가 붓고 숨이 차며
가슴이 그득하고 숨소리가 집 밖에서까지 들을 수 있게 되었으며
편안히 눕지 못하고 대소변이 나오지 않았다.
그리고 기구맥(氣口脈)이 인영맥(人迎脈)보다 2배나 크면서
침완(沈緩)하고 힘이 있었다.
이것은 습열이 지나치게 성해서 생긴 천식이다.
사기(邪氣)가 성하면 실증이 되는데 실증이 되면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이 약을 한번 먹이니 절반 정도 나았고 두번 먹이니 숨찬 것은 멎었다.
그러나 가슴이 그득하고 입이 마르며 때로 기침이 났다.
그리하여 다시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을 먹였는데 다 나았다[보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肺散][평폐산]  (0) 2018.12.31
[平胃散][평위산]  (0) 2018.12.31
[蝙蝠散][편복산]  (0) 2018.12.31
[敗草散][패초산]   (0) 2018.12.31
[敗醬散][패장산]  (0) 2018.12.31

[蝙蝠散][편복산]
治癎.
取入蟄大蝙蝠一箇, 以朱砂三錢塡入腹內, 新瓦上火灸, 令酥爲度, 候冷爲末.

每一箇分作四服, 年幼者作五服. 空心白湯調下[入門].
간(癎)을 치료한다.
겨울잠을 자는 큰 박쥐 한 마리를 잡아 뱃속에 주사 서 돈을 넣은 다음

새로 구운 기와 위에 놓고 진[酥]이 나올 정도로 구운 후 식으면 가루낸다.

한 마리를 4번에 나누어 먹는데, 어린아이는 5번 나누어 먹는다.

달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胃散][평위산]  (0) 2018.12.31
[平氣散][평기산]   (0) 2018.12.31
[敗草散][패초산]   (0) 2018.12.31
[敗醬散][패장산]  (0) 2018.12.31
[貝母散][패모산]   (0) 2018.12.31

[敗草散][패초산]
善解瘡毒
多年盖屋上爛草 晒乾 細末 糝之
若渾身瘡爛 則攤於席上 令坐臥其上
此草 經霜雪雨露 感天地陰陽之氣 善解瘡毒(入門).
여러 해 된 지붕의 썩은 짚을 말려 가루를 낸 다음 뿌려 준다.
만일 온몸이 헐어서 짓물렀으면 자리 위에 약을 펴고 그 위에 앉히거나 눕힌다.
이 짚은 서리와 눈과 비와 이슬을 맞아서
천지음양의 기를 받았으므로 창독(瘡毒)을 잘 푼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氣散][평기산]   (0) 2018.12.31
[蝙蝠散][편복산]  (0) 2018.12.31
[敗醬散][패장산]  (0) 2018.12.31
[貝母散][패모산]   (0) 2018.12.31
[八珍散][팔진산]  (0) 2018.12.31

[敗醬散][패장산]
治腸癰 身無熱 腹濡冷
薏苡仁10g, 敗醬6g, 附子炮2g.
剉作一貼 水煎服, 小便當下 膿血而愈(入門).
一名, [薏苡附子敗醬散](仲景)
장옹 때 몸에 열은 나지 않고 뱃가죽이 유연하면서 찬 것을 치료한다.
율무쌀(의이인) 10g, 마타리(패장) 6g, 부자(싸서 구운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으면
반드시 오줌으로 피고름이 나오고 낫는다[입문].
일명 의이부자패장산(意苡附子敗醬散)이라고도 한다[중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蝙蝠散][편복산]  (0) 2018.12.31
[敗草散][패초산]   (0) 2018.12.31
[貝母散][패모산]   (0) 2018.12.31
[八珍散][팔진산]  (0) 2018.12.31
[八柱散][팔주산]  (0) 2018.12.31

[貝母散][패모산]
治火嗽 久嗽
杏仁12g, 款冬花8g, 知母6g,
貝母 桑白皮 五味子 甘草 各4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入門).
화수(火嗽)와 구수(久嗽)를 치료한다.
살구씨(행인) 12g, 관동화 8g, 지모 6g,
패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오미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敗草散][패초산]   (0) 2018.12.31
[敗醬散][패장산]  (0) 2018.12.31
[八珍散][팔진산]  (0) 2018.12.31
[八柱散][팔주산]  (0) 2018.12.31
[八正散][팔정산]  (0) 2018.12.31

[七珍散][칠진산]
治産後不語
人參, 生地黃, 石菖蒲, 川芎 各8g
細辛, 防風, 辰砂 各4g
爲末 每4g 薄荷湯調服(産寶).
加 甘草4g 名曰 [八珍散]
해산 후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생지황, 석창포, 궁궁이(천궁)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방풍,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 먹는다.[산보].
감초 4g을 더 넣으면 팔진산(八珍散)이라고 한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敗醬散][패장산]  (0) 2018.12.31
[貝母散][패모산]   (0) 2018.12.31
[八柱散][팔주산]  (0) 2018.12.31
[八正散][팔정산]  (0) 2018.12.31
[八仙散][팔선산]   (0) 2018.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