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蜀漆散][촉칠산]

출처 / 한국전통지식포털
양기(陽氣)를 돕고 따뜻하게 풀어 해쳐주어 중풍력절(中風曆節),
학질(瘧疾)을 치료한다.
용골(龍骨)
운모(雲母)[2일동안 태운다.]
촉칠(蜀漆)[씻고 냄새를 제거한다.]
같은 양을 넣는다.
세가지약을 공이로 산을 만들어 장수로 반돈을 복용한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催生散][최생산]  (0) 2018.12.30
[葱白散][총백산]   (0) 2018.12.30
[椒鹽散][초염산]  (0) 2018.12.30
[椒粉散][초분산]  (0) 2018.12.30
[椒附散][초부산]  (0) 2018.12.30

[椒鹽散][초염산]
治虫牙痛.
川椒, 白鹽, 露蜂房 各一錢.
右剉, 入葱白三莖, 煎水, 熱漱冷吐[直指].
충치통을 치료한다.
천초, 백염, 노봉방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총백 세 뿌리를 넣고 물에 달여 뜨거울 때 양치하고 식으면 뱉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葱白散][총백산]   (0) 2018.12.30
[蜀漆散][촉칠산]   (0) 2018.12.30
[椒粉散][초분산]  (0) 2018.12.30
[椒附散][초부산]  (0) 2018.12.30
[椒豆散][초두산]  (0) 2018.12.30

[椒粉散][초분산]
治陰囊濕痒.
麻黃根 二錢,
黑狗脊 卽貫衆也, 蛇床子 各一錢,
川椒, 當歸梢, 猪苓 各六分,
斑猫 四枚,
輕粉, 紅花 各少許.
右爲末, 乾糝, 避風冷[東垣].
고환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마황근 두 돈, 흑구척(곧 관중이다), 사상자 각 한 돈,
천초, 당귀초, 저령 각 여섯 푼,
반묘 네 개,
경분, 홍화 각 조금씩.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채로 뿌려 바르고 바람이나 찬 기운을 피한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蜀漆散][촉칠산]   (0) 2018.12.30
[椒鹽散][초염산]  (0) 2018.12.30
[椒附散][초부산]  (0) 2018.12.30
[椒豆散][초두산]  (0) 2018.12.30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0) 2018.12.30

[椒附散][초부산]
治腎氣上攻, 項背不能轉移.
大附子 一箇 炮去皮臍, 末之.
右末, 每二錢, 好川椒二十粒, 白麪塡滿,

水一盞半, 薑七片, 煎至七分, 去椒入鹽, 空心溫服.
신기(腎氣)가 위로 치받아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부자 한 개(큰 부자를 싸서 구운 다음 껍질과 배꼽을 없애고 가루낸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두 돈씩 하얀 밀가루를 가득 채운 좋은 천초 스무 알과 함께

물 한 잔 반에 생강 일곱 쪽을 넣고 7푼이 되도록 달인 다음 천초를 제거하고

소금을 넣어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
一人患項筋痛連背胛, 不可轉移, 服諸風藥, 皆不效.

予憶千金髓有腎氣, 攻背强一證, 與此方一服差. 盖腎氣自腰挾脊,

上至曹溪穴, 然後入泥丸宮, 曹溪一穴, 非精於搬運者, 不能透.

今逆行至此, 不得通, 用椒以引歸經, 則安矣.

氣上逆, 椒下達, 故服之卽愈[本事].
어떤 사람이 목덜미의 근육이 어깻죽지[背胛]까지 아파서 돌릴 수가 없었는데

풍을 다스리는 어떤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었다.

내가 천금수방에 있는 신기(腎氣)가 등을 치받아 등이 뻣뻣해지는 증(證)을 생각해내어

이 처방을 먹이자 한번에 나았다.

신기는 허리에서 척주(脊柱)를 끼고 위로 올라가 풍부혈[曹溪穴]에 이르며

그런 다음에 이환궁으로 들어간다.

풍부라는 혈은 반운(搬運)에 정통하지 않으면 뚫을 수가 없다.

그런데 신기가 거꾸로 올라 풍부혈에 이르러 혈을 뚫지 못하여 생긴 병이므로

천초를 써서 그 경락[腎]으로 돌아오게 하면 낫는다.

기가 거꾸로 오른 것을 천초는 아래로 내리므로 이 약을 먹으면 바로 낫는 것이다(본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鹽散][초염산]  (0) 2018.12.30
[椒粉散][초분산]  (0) 2018.12.30
[椒豆散][초두산]  (0) 2018.12.30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0) 2018.12.30
[체驚散][체경산]  (0) 2018.12.30

[椒豆散][초두산]
治霍亂吐瀉後 煩渴不能服藥 或水藥不入口者

胡椒,  菉豆 各49粒.
硏爲末 新汲水調下 或水煎服(入門).
胡椒7粒 綠豆21粒 爲末 木瓜湯 調下(直旨).
一名, [胡椒湯] (入門).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 생긴 번갈(煩渴)로 약을 먹지 못하거나
물약을 입에 넣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후추(호초), 녹두 각각 49알.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호초탕(胡椒湯)이라고도 하는데 이때에는 후추 7알,
녹두 21알을 가루내어 모과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粉散][초분산]  (0) 2018.12.30
[椒附散][초부산]  (0) 2018.12.30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0) 2018.12.30
[체驚散][체경산]  (0) 2018.12.30
[淸魂散][청혼산]   (0) 2018.12.30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治脾虛作秇不問寒 熱 先後 宜服

蒼朮二錢
厚朴 陳皮 靑皮 大腹皮 檳峹 草果 各一錢
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得效]
비(脾)가 허하여 생긴 학질을 치료하는데 먼저 열이 나거나
먼저 오한이 나거나를 불문하고 다 낫게 한다.
삽주(창출) 8g,
후박, 귤껍질(陳皮), 선귤껄질(靑皮), 빈랑껍질(대복피), 빈랑, 초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附散][초부산]  (0) 2018.12.30
[椒豆散][초두산]  (0) 2018.12.30
[체驚散][체경산]  (0) 2018.12.30
[淸魂散][청혼산]   (0) 2018.12.30
[淸肺滋陰散][청폐자음산]   (0) 2018.12.30

[체驚散][체경산]
治急驚 慢驚 昏迷不省
半夏生4g,

皂角2g
爲末 取豆許 吹入鼻中 卽醒(得效).
급경풍이나 만경풍으로 정신을 잃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것) 4g,

주염열매(조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콩알만한 것을 콧속에 불어넣으면 곧 깨어난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豆散][초두산]  (0) 2018.12.30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0) 2018.12.30
[淸魂散][청혼산]   (0) 2018.12.30
[淸肺滋陰散][청폐자음산]   (0) 2018.12.30
[淸肺散][청폐산]  (0) 2018.12.30

[淸魂散][청혼산]
治産後血暈
荊芥穗20g, 

 川芎10g
人參 澤蘭 各5g, 

 甘草4g,
爲末 以溫酒 熱湯各半盞 調7.5g灌之,下咽卽甦(良方).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형개수 20g,

궁궁이(천궁) 10g,
인삼, 쉽싸리잎(택란엽) 각각 5g,

감초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과 뜨거운 물 각각
반잔에 타서 입에 떠넣어 목구멍으로 내려가면 곧 낫는다[양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草果平胃散][초과평위산]   (0) 2018.12.30
[체驚散][체경산]  (0) 2018.12.30
[淸肺滋陰散][청폐자음산]   (0) 2018.12.30
[淸肺散][청폐산]  (0) 2018.12.30
[淸咽利膈散][청인이격산]  (0) 2018.12.30

[淸肺滋陰散][청폐자음산]
治酒色傷肺 久成陰虛火動 咽喉生瘡 失聲 痰嗽 喘急 煩熱 不睡 少食
生地黃6g
白芍藥3g
川芎 白朮炒 陳皮 黃栢蜜炒 知母 貝母 麥門冬 地骨皮 各2g
白茯苓 款冬花 紫菀 遠志 五味子 各1.5g
酸棗仁 黃連炒 甘草 各1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 調竹瀝5匙 溫服(醫鑒)
주색(酒色)으로 폐(肺)를 상하고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지 오래된
데로부터 목구멍이 헐며 목이 쉬고 가래가 끓으며 기침하고
숨이 몹시 차며 번열이 나서 잠을 자지 못하고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2g,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닦은 것), 귤껍질(陳皮),
황백(꿀을 발라 볶은 것), 지모, 패모, 맥문동, 지골피 각각 2g,
흰솔풍령(백복령), 관동화, 자원, 원지 각각 1.6g,
오미자, 메대추씨(산조인) 각각 1.2g, 황련(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참대기름 5숟가락을 넣고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驚散][체경산]  (0) 2018.12.30
[淸魂散][청혼산]   (0) 2018.12.30
[淸肺散][청폐산]  (0) 2018.12.30
[淸咽利膈散][청인이격산]  (0) 2018.12.30
[淸音散][청음산]  (0) 2018.12.30

[淸肺散][청폐산]
治肺熱上攻, 白睛腫脹, 日夜疼痛.
桑白皮, 片芩, 甘菊, 枳殼, 防風, 荊芥, 柴胡, 升麻, 赤芍藥,

當歸尾, 玄參, 苦參, 白蒺藜, 木賊, 旋覆花, 甜葶藶子,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服[醫鑑].
폐열(肺熱)이 위로 치받아 흰자위가 부어오르면서 밤낮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상백피, 황금, 감국, 지각, 방풍, 형개, 시호, 승마, 적작약,

당귀미, 현삼, 고삼, 백질려, 목적, 선복화, 정력자(단 것),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의감).

[淸肺散][청폐산]
治渴而小便閉.
猪苓, 通草 各一錢半,
赤茯苓, 澤瀉, 燈心, 車前子 各一錢,
萹蓄, 木通, 瞿麥 各七分,
琥珀 五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東垣].
갈증이 있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저령, 통초 각 한 돈 반,
적복령, 택사, 등심, 차전자 각 한 돈,
편축, 목통, 구맥 각 일곱 푼,
호박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魂散][청혼산]   (0) 2018.12.30
[淸肺滋陰散][청폐자음산]   (0) 2018.12.30
[淸咽利膈散][청인이격산]  (0) 2018.12.30
[淸音散][청음산]  (0) 2018.12.30
[淸胃散][청위산]  (0) 2018.12.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