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朱砂丸][주사환]
治初生兒吐瀉 此因穢惡入胃中所致
朱砂 南星 巴豆霜 各等分
爲末 糊丸黍米大 以薄荷湯化下2~3丸. 後以朱沈煎朝旨(入門).
갓난아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구정물이 위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주사, 천남성, 파두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이고 나서 주침전(朱沈煎)으로 조리한다[입문].

[琥珀朱砂丸][호박주사환]
治室女 經水初下 一時驚悸 或感風冷 以致經水止 而卽患帶下.
琥珀 木香 當歸 沒藥 各16g
乳香8g
麝香 朱砂 各0.9375g(2分)
爲末 水丸芡實大 每一丸 溫酒 磨服(入門).
처녀가 월경을 처음할 때에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풍랭(風冷)에 감촉되어 월경이 없어지고 곧 흰이슬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호박, 목향, 당귀, 몰약 각각 16g,
유향 8g,
사향, 주사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朱子讀書丸][주자독서환]  (0) 2019.02.05
[酒煮當歸丸][주자당귀환]  (0) 2019.02.05
[朱砂凉膈丸][주사양격환]   (0) 2019.02.05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19.02.05
[舟車丸][주거환]  (0) 2019.02.05

[朱砂凉膈丸][주사양격환]
治上焦虛熱 肺脘咽膈有氣 如烟搶上
黃連 梔子 各40g
人蔘 赤茯苓 各20g
朱砂12g, 龍腦2g
爲末 蜜丸梧子大 熟水下5~7丸 日三服(東垣).
상초의 허열(虛熱)로 폐와 위, 목구멍, 가슴 등에
연기와 같은 기(氣)가 올려미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산치자(치자) 각각 40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20g, 주사 12g, 용뇌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하루에 세번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煮當歸丸][주자당귀환]  (0) 2019.02.05
[朱砂丸][주사환]   (0) 2019.02.05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19.02.05
[舟車丸][주거환]  (0) 2019.02.05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0) 2019.02.05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東垣曰, 熱淫所勝, 以黃連之苦寒, 去心煩除濕熱爲君, 以甘草生地黃之甘寒,

瀉火補氣, 滋生陰血爲臣, 當歸補血不足, 朱砂納浮溜之火而安神明也.
黃連 六錢,
朱砂 五錢,
甘草, 生乾地黃 酒洗 各三錢半,
當歸 酒洗 二錢半.
右爲末, 湯浸蒸餠和丸, 黍米大. 津唾嚥下二三十丸[入門].
이고(李杲)는 "경계는 열사(熱邪)가 지나치게 성하여서 생긴다.
황련의 고한(苦寒)한 성질로 가슴의 답답함을 없애고 습열을 제거하므로 군약(君藥)이 되고,

감초와 생지황의 감한(甘寒)한 성질로 화(火)를 내리고 기를 보하며 음혈(陰血)을 도와 생기게 하므로 신약(臣藥)이 되고, 당귀는 부족한 혈을 보하고, 주사는 떠도는 화(火)를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여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고 하였다.
황련 여섯 돈,
주사 다섯 돈,
감초,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각 서 돈 반,
당귀(술로 씻은 것)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끓는 물에 담가 불린 떡으로 서미대의 알약을 만들어,

스물에서 서른 알씩 침으로 넘긴다(입문).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治 驚悸
黃蓮24g, 朱砂20g,
甘草, 生乾地黃酒洗 各14g,
當歸酒洗10g
上爲末 湯浸蒸餠和丸黍米大 津唾嚥下2~30丸(東垣).
경계를 다스린다.
황련 24g, 주사 20g, 감초,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각각 14g,
당귀(술로 씻은 것)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끓는 물에 불린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입에 넣고 녹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朱砂丸][주사환]   (0) 2019.02.05
[朱砂凉膈丸][주사양격환]   (0) 2019.02.05
[舟車丸][주거환]  (0) 2019.02.05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0) 2019.02.05
[佐脾丸][좌비환]   (0) 2019.02.05

[舟車丸][주거환]
治濕熱盛 踈導二便
黑丑頭末160g
大黃80g
甘遂 大戟 芫花 靑皮 陳皮 各40g,
木香20g
爲末 水丸梧子大 每50~60丸 白湯下 以快利爲度(綱目).
습열(濕熱)이 성(盛)한 것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 160g,
대황 80g,
감수, 버들옻(대극), 원화,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각각 40g,
목향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끓는 물로 먹는데 설사가 시원하게 나갈 때까지 쓴다[강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朱砂凉膈丸][주사양격환]   (0) 2019.02.05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19.02.05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0) 2019.02.05
[佐脾丸][좌비환]   (0) 2019.02.05
[左龍丸][좌룡환]   (0) 2019.02.05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主一切水濕盛病
黑丑頭末160g
大黃80g
甘遂 大戟 芫花幷醋炒 各40g
靑皮 陳皮 木香 檳榔 各20g
輕粉4g
爲末 水丸 服如上法(爲末 水丸梧子大
每五六十丸白湯下 二快利 爲度)(綱目).
여러 가지 수습(水濕)이 성하는 병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 160g,
대황 80g,
감수, 버들옻(대극), 원화 각각 40g(다 식초에 축여 볶은 것),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목향, 빈랑 각각 20g,
경분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먹는 방법은 위의 처방과 같다[강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朱砂安神丸][주사안신환]  (0) 2019.02.05
[舟車丸][주거환]  (0) 2019.02.05
[佐脾丸][좌비환]   (0) 2019.02.05
[左龍丸][좌룡환]   (0) 2019.02.05
[佐金丸][좌금환]   (0) 2019.02.05

[佐脾丸][좌비환]
治食積
山査肉120g,
連翹 陳皮 蘿葍子炒 各20g,
赤茯苓 半夏 各4g
爲末 粥丸菉豆大 溫水 呑下50~70丸(丹心).
식적을 치료한다.
찔광이(산사육) 120g,
연교, 귤껍질(陳皮), 무씨(나복자, 닦은 것) 각각 20g,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죽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舟車丸][주거환]  (0) 2019.02.05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0) 2019.02.05
[左龍丸][좌룡환]   (0) 2019.02.05
[佐金丸][좌금환]   (0) 2019.02.05
[蓯沈丸][종침환]  (0) 2019.02.05

[左龍丸][좌룡환]
治破傷風 入裏 發搐 目直視 二便秘澁 宜此下之
野鴿糞炒 一名, 左蟠龍 江鰾燒 白薑蠶 各20g
雄黃4g
蜈蚣2條 天麻8g
爲末 分作3貼 先將二貼 所飯爲丸 梧子大 朱砂爲衣
次將一貼 加巴豆霜2g飯丸 梧子大 每服 朱砂丸子20丸
加巴豆丸子一丸 二服 加二丸 溫酒 呑下 至便利爲度 只服
朱砂丸 病愈卽止之 若搐痓不已 宜服羗麻湯方見上(入門 丹心).
一名, [江鰾丸] (入門)
파상풍이 이(裏)로 들어가서 경련이 일어나고 눈을 곧추 뜨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설사가 날 때까지 쓴다.
야합분(좌반룡(左蟠龍)이라고도 하는데 닦아서 쓴다),
부레(어표, 태운 것), 백강잠 각각 20g, 석웅황(웅황) 4g,
왕지네(오공) 2마리, 천마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3첩으로 나누어 먼저 2첩은 밥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주사를 겉에 입힌다.
그리고 1첩분에는 파두상 2g을 넣은 다음
밥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먹는 방법은 주사가 든 약 20알과 파두가 든 약 1알을 섞어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그 다음부터는 파두가 든 약을 2알 더 넣어 데운 술로 먹는데
대변이 잘 나갈 때까지 먹는다.
주사가 든 알약만 먹고도 병이 나으면 곧 약을 그만두어야 한다.
만일 치병이 낫지 않으면 강마탕을 쓴다[입문, 단심].
일명 강표환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0) 2019.02.05
[佐脾丸][좌비환]   (0) 2019.02.05
[佐金丸][좌금환]   (0) 2019.02.05
[蓯沈丸][종침환]  (0) 2019.02.05
[螽斯丸][종사환]   (0) 2019.02.05

[佐金丸][좌금환]
佐肺金 以伐肝木之火
片芩240g
吳茱萸40g
爲末 蒸餠丸梧子大 空心 白湯下30~50丸(入門).
폐금(肺金)을 도와 간목(肝木)의 화를 친다[伐].
속썩은풀(황금) 240g,
오수유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佐脾丸][좌비환]   (0) 2019.02.05
[左龍丸][좌룡환]   (0) 2019.02.05
[蓯沈丸][종침환]  (0) 2019.02.05
[螽斯丸][종사환]   (0) 2019.02.05
[調中順氣丸][조중순기환]  (0) 2019.02.05

[蓯沈丸][종침환]
一名 [蓯蓉潤腸丸].
治亡津液, 大便常秘結.
肉蓯蓉 二兩, 沈香 一兩.
右爲末, 用麻仁汁打糊和丸梧子大, 每七十丸, 空心米飮呑下[入門].
종용윤장환이라고도 하며, 진액이 없어져 항상 변비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육종용 두 냥, 침향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자인즙을 넣고 쑨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일흔 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左龍丸][좌룡환]   (0) 2019.02.05
[佐金丸][좌금환]   (0) 2019.02.05
[螽斯丸][종사환]   (0) 2019.02.05
[調中順氣丸][조중순기환]  (0) 2019.02.05
[調中健脾丸][조중건비환]   (0) 2019.02.05

[螽斯丸][종사환]
經調受補者 服七日卽交合 孕後勿服
香附子 白薇 半夏 白茯苓 杜冲 厚朴 當歸 秦芃 各80g
防風 肉桂 乾薑 牛膝 沙參 各60g
細辛 人參 各9g,
爲末 煉蜜和 丸梧子大 空心酒下50~70丸(入門).
월경이 고르고 보약의 효과가 잘 나는 사람은 7일 동안 약을 먹고
성생활을 하여 임신이 되면 먹지 말아야 한다.
향부자, 백미,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두충, 후박, 당귀, 진교 각각 80g,
방풍, 육계, 건강, 쇠무릎(우슬), 더덕 각각 60g,
족두리풀(세신), 인삼 각각 9.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煖宮螽斯丸][난궁종사환]
婦人無子者服之
厚朴50g
吳萸 白茯苓 白芨 白蘞 石菖蒲 白附子 桂心 人參 沒藥 各40g
細辛 乳香 當歸酒浸 牛膝酒洗 各30g
爲末 蜜丸小豆大 酒下10~20丸 壬子日修合
一名, [壬子丸] (集略).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이 먹는다.
후박 50g,
오수유, 흰솔풍령(백복령), 백급, 가위톱(백렴), 석창포,
노랑돌쩌귀(백부자), 계심, 인삼, 몰약 각각 40g,
족두리풀(세신), 유향, 당귀(술에 담갔다 낸 것),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것)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술로 먹는다.
일명 임자환(壬子丸)이라고도 한다[집략].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佐金丸][좌금환]   (0) 2019.02.05
[蓯沈丸][종침환]  (0) 2019.02.05
[調中順氣丸][조중순기환]  (0) 2019.02.05
[調中健脾丸][조중건비환]   (0) 2019.02.05
[釣腸丸][조장환]   (0) 2019.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