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狼毒][낭독 / 오독도기]


性平味辛(一云苦辛)有大毒

破積聚琋癖痰飮殺鬼精蠱毒及飛禽走獸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많다.
적취(積聚), 징벽( 癖), 담음을 삭이고 귀정(鬼精) 및 고독과 새와 짐승의 독을 없앤다.
生山谷葉似商陸及大黃莖葉上有毛
四月開花八月結實根皮黃肉白二月八月採根陰乾
以陳而沈水者爲良火乾用[本草]
산골짜기에서 자라는데 잎은 자리공(상륙)이나 대황과 비슷하고 줄기와 잎에는 털이 있다.
음력 4월에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앉으며 뿌리의 껍질은 누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묵은 것으로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다.
불에 싸서 구워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苧根][저근]   (0) 2019.08.07
[稀嶰][희렴]   (0) 2019.08.07
[磕蓄][변축]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磕蓄][변축 / 마디풀]


性平味苦(一云甘)無毒

主浸淫疥瘙疽痔殺三盤療蛔痛除熱淋通小便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퍼진 옴, 가려운 증, 옹저, 치질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인다.

회충을 없애고 열림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處處有之苗似罌麥葉細綠如竹花生節間甚微細五月採陰乾[本草]
곳곳에 있는데 싹은 패랭이꽃(구맥)과 비슷하고 잎은 풀빛이고 대잎 비슷하며 가늘다.

마디짬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잘다.

음력 5월에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主大小便不通生水邊間紫花者爲佳搗取汁服經驗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쓴다.

물가에서 자라며 자줏빛 꽃이 피는 것이 좋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경험].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嶰][희렴]   (0) 2019.08.07
[狼毒][낭독]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菰根][고근 / 줄풀뿌리]


性大寒味甘無毒

主腸胃痼熱止消渴

除目黃利大小便主熱痢療酒擔面赤然滑中不可多食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腸胃)에 고질이 된 열을 내리고 소갈을 멎게 한다.

눈이 노란 것을 낫게 하고 대소변을 잘나가게 하며 열리(熱痢)를 멎게 하고

주사비[酒 ]와 낯이 붉은 것을 낫게 한다.

그러나 속을 훑어내리므로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生水中葉如蔗荻久服盤厚夏月生苗堪食 名[菰菜]

三年已上中心生白壹如藕白軟堪啖 名[菰首]

至秋結實乃彫胡米可作飯[本草]
물 속에서 자라는데 잎이 사탕수수와 비슷하고 오랜 뿌리가 서려서 굵다.

여름에 순이 나오는데 먹을 수 있으며 이것을 고채(菰菜)라고 한다.

3년 이상 된 것은 중심에서 연뿌리 비슷한 흰 밑이 나오는데 희고 연하며 먹을 만하다.

이것을 고수(菰首)라고 한다.

가을이 되어 씨가 맺히는 것을 조호미(彫胡米)라 하며 밥을 지을 수 있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狼毒][낭독]   (0) 2019.08.06
[磕蓄][변축]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酸摸][산막]


性凉味酸無毒
治小兒壯熱折其英可生食之或取汁
似羊蹄而細味酸可食[本草]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시며[酸] 독이 없다.
어린이가 열이 세게 나는 것을 내린다.
그 순을 꺾어서 생것을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소리쟁이 뿌리와 비슷한데 가늘며 맛은 시다. 먹을 수 있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磕蓄][변축]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羊蹄葉][양제엽 / 소리쟁이잎]


治小兒疳盤可作菜食之[本草]
어린이의 감충(疳蟲)을 없앤다.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鬼臼][귀구]   (0) 2019.08.03

[羊蹄實][양제실 / 소리쟁이씨]


性平味苦澁無毒主赤白痢[本草]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며 떫으며[苦澁] 독이 없다.
적리와 백리[赤白痢]를 낫게 한다[본초].
일명 금교맥(金蕎麥)이라고도 한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鬼臼][귀구]   (0) 2019.08.03
[天南星][천남성]   (0) 2019.08.03

[羊蹄根][양제근 / 소리쟁이 뿌리] 

   
性寒味苦辛無毒(一云有小毒)

主頭禿疥癬疽痔

女子陰蝕浸淫殺

諸盤療蠱毒浮腫毒處處有之[本草]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머리털이 빠지는 것, 옴, 버짐, 옹저, 치질,

여자의 음식창(陰蝕瘡), 침음창(浸淫瘡)을 낫게 하고

여러 가지 충을 죽이며 고독을 낫게 하고 종독에 붙인다.
곳곳에 있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鬼臼][귀구]   (0) 2019.08.03
[天南星][천남성]   (0) 2019.08.03
[攑牁][삭조]   (0) 2019.08.03

[鬼臼][귀구]


都似天南星了不可辨
但南星體小柔媐肌細礐之易裂鬼臼體大差可辨爾[本草]
전체가 천남성과 비슷하여 판단하기 어렵다.
다만 천남성의 뿌리는 작고 연약하며 살이 많고 결이 작아서 구우면 잘 터지고

귀구의 뿌리는 큰 것이 구별이 된다[본초].
殺蠱毒鬼狟抗惡氣[本草]
고독, 귀주를 죽이며 악기를 물리친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天南星][천남성]   (0) 2019.08.03
[攑牁][삭조]   (0) 2019.08.03
[摕麻子][비마자]   (0) 2019.08.03

[天南星][천남성]


性平味苦辛有毒

主中風除痰利胸膈消癰腫墮胎又療破傷風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 맵고[苦辛] 독이 있다.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이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고

옹종을 삭게 하며 유산시키고 또 파상풍(破傷風)을 낫게 한다.
生山野二月八月採根入藥礐用[本草]
산과 들에 나는데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며 약으로 쓸 때에는 싸서 구워 쓴다[본초].
治風痰破傷風及小兒驚癎牛膽製者尤佳[醫鑑]
풍담과 파상풍 및 어린이의 경간을 낫게 한다.

우담에 법제한 것이 더욱 좋다[의감].
臘月置水中凍去燥性礐裂用

或薑汁白礬煮至中心無白點亦好[丹心]
음력 12월에 물 속에 담가 얼려서[凍] 조(燥)한 성질을 없애고 싸서 터지게[裂] 구워 쓰든가

생강즙이나 백반물에 속에 있는 흰 점이 없어지도록 삶은 것이 좋다[단심].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鬼臼][귀구]   (0) 2019.08.03
[攑牁][삭조]   (0) 2019.08.03
[摕麻子][비마자]   (0) 2019.08.03
[牽牛子][견우자]   (0) 2019.08.02

[攑牁][삭조]


性溫(一云凉)味酸有毒

主風瘙温疹身痒嚫癩風痺
성질은 따뜻하고[溫](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은 시며[酸] 독이 있다.
풍으로 가려운 것, 두드러기가 돋으면서 몸이 가려운 것, 와창, 문둥병, 풍비를 낫게 한다.
一名[接骨木]處處有之春夏採葉秋冬採莖根可作浴湯[本草]
일명 접골목(接骨木)이라고도 하며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과 겨울에는 줄기를 베며 뿌리를 캐 삶은 물에 목욕하는 것이 좋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鬼臼][귀구]   (0) 2019.08.03
[天南星][천남성]   (0) 2019.08.03
[摕麻子][비마자]   (0) 2019.08.03
[牽牛子][견우자]   (0) 2019.08.02
[威靈仙][위령선]   (0) 2019.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