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虎杖根][호장근 / 범싱아뿌리]


性微溫(一云平)味苦無毒

破留血琋結通利月水下産後惡血排膿

主瘡癤癰毒撲損瘀血利小便通五淋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몰려 있는 피와 징결( 結)을 헤치고 월경을 잘하게 하며

몸푼 뒤에 오로[惡血]를 잘 나가게 하고 고름을 빨아낸다.
창절, 옹독과 다쳐서 생긴 어혈에 주로 쓰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5림을 낫게 한다.
一名[苦杖] 一名[大盤杖]

莖如竹筍狀上有赤斑點處處有之二月八月採[本草]
일명 고장(苦杖) 또는 대충장(大蟲杖)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참대순 비슷한데 그 위에 벌건 반점이 있다.

곳곳에서 나는데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耳草][불이초]   (0) 2019.08.14
[草烏][초오]   (0) 2019.08.14
[草果][초과]   (0) 2019.08.14
[草豆埼][초두구]   (0) 2019.08.14
[敗天公][패천공]   (0) 2019.08.13

[草果][초과]  


性溫味辛無毒

主一切冷氣溫脾胃止嘔吐治膨脹化秇母消宿食解酒毒果積兼抗瀆解瘟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모든 냉기를 없애며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구토를 멈추며

배가 팽팽하게 부른 것을 가라 앉히고 학모( 母)를 낫게 하며 체한 것을 내리게 한다.
술독과 과일을 먹고 적(積)이 된 것을 없애며 겸해 산람장기를 물리치고 온역을 낫게 한다.
治脾寒濕寒痰之藥也去內外殼取仁麵嚸氖熟用之[入門]
비(脾)의 한습과 한담을 없애는 약이다.
안팎의 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골라 밀가루 반죽한 것에 싸서 약한 불에 구워 먹는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草烏][초오]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草豆埼][초두구]   (0) 2019.08.14
[敗天公][패천공]   (0) 2019.08.13
[野茨菰][야자고]   (0) 2019.08.13

[草豆埼][초두구]


性熱味辛無毒

主一切冷氣溫中下氣止心腹痛及囍亂嘔吐去口臭氣
성질은 열(熱)하고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모든 냉기를 낫게 하고 속을 따뜻이 하며 기를 내리고

가슴앓이와 곽란으로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입 안의 냄새를 없앤다.
若龍眼子而銳皮無麟甲中子若石榴瓣味辛烈者爲好[本草]
용안씨(龍眼子)와 비슷한데 뾰족하며 껍질에 비늘이 없다.
속의 씨는 석류 쪽과 비슷한데 맛이 몹시 매운 것이 좋은 품종이다[본초].
治風寒客邪在胃口之上善治脾胃客寒及心與胃痛[湯液]
풍한의 사기[風寒客邪]가 위(胃)의 윗구멍에 있는 것을 낫게 하고

비위에 침범한 한사를 없애며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잘 멎게 한다[탕액].
治胃脘冷痛入足太陰經陽明經麵包嚸氖熟去麵用[入門]
위가 차고 아픈 것[胃脘冷痛]을 낫게 한다.
족태음경과 양명경에 들어간다.

밀가루반죽한 것으로 싸서 약한 불에 구운 다음 밀가루 반죽은 버리고 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草果][초과]   (0) 2019.08.14
[敗天公][패천공]   (0) 2019.08.13
[野茨菰][야자고]   (0) 2019.08.13
[萱草根][훤초근]   (0) 2019.08.13

[敗天公][패천공 / 오래된 패랭이]


性平主鬼狟精魅
성질은 평(平)하다.
귀주(鬼 )와 헛것에 들린 것[精魅]을 낫게 한다.
此人久戴竹笠也取竹燒灰酒服[本草]
이는 사람이 오래 쓰고 다니던 참대로 만든 삿갓이다.
이것을 태워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草果][초과]   (0) 2019.08.14
[草豆埼][초두구]   (0) 2019.08.14
[野茨菰][야자고]   (0) 2019.08.13
[萱草根][훤초근]   (0) 2019.08.13
[水蓼子][수료자]   (0) 2019.08.13

[野茨菰][야자고]


性冷味苦無毒

下石淋除癰腫止消渴療産後血悶及胎衣不下
성질은 냉(冷)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석림(石淋)을 낫게 하고 옹종을 삭이며 소갈을 먹게 한다.

몸푼 뒤의 혈민(血悶)과 태민(胎悶)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生田野處處有之飢歲人採其根煮食甚美[俗方]
들과 밭에서 자라는데 곳곳에 있다.

흉년에 사람들이 그 뿌리를 캐서 삶아 먹는데 맛이 아주 좋다[속방].
[剪刀草根]卽[野茨菰]也[丹心]
전도초(무릇)의 뿌리가 즉 야자고이다[단심].
治煿瘡用剪刀草卽此也[正傳]
정창치료[ 瘡治]에 전도초를 쓴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정전].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草豆埼][초두구]   (0) 2019.08.14
[敗天公][패천공]   (0) 2019.08.13
[萱草根][훤초근]   (0) 2019.08.13
[水蓼子][수료자]   (0) 2019.08.13
[水蓼][수료]   (0) 2019.08.13

[萱草根][훤초근 / 원추리뿌리]


性凉味甘無毒

主小便赤澁身體煩熱治沙淋下水氣療酒疸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오줌이 빨가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몸에 번열이 나는 것, 사림(沙淋)을 낫게 한다.

수기(水氣)를 내리며 주달(酒疸)을 낫게도 한다.
人家終止多採其嫩苗煮食又取花掗作菹云利胸膈甚佳

一名[鹿蔥]花名[宜男]孕婦佩之生男
집 근처에 심는데 흔히 만만한 싹을 캐서 끓여서 먹는다.

꽃망울을 따서 생절이를 만들어 먹으면 가슴을 시원하게 하는데 아주 좋다고 한다.

일명 녹총(鹿 )이라고도 하고 꽃은 의남(宜男)이라고도 하는데

임신부가 차고 다니면 아들을 낳게 된다.  
春生論云萱草忘憂此也[本草]
양생론에 씌어 있기를

“원추리가 망우초(忘憂草)로 불리운 것이 여기서 나왔다”고 하였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敗天公][패천공]   (0) 2019.08.13
[野茨菰][야자고]   (0) 2019.08.13
[水蓼子][수료자]   (0) 2019.08.13
[水蓼][수료]   (0) 2019.08.13
[馬勃][마발]   (0) 2019.08.12

[水蓼子][수료자 / 물여뀌씨]


治岤嵤結核[本草]
나력과 멍울이 진 것[結核]을 낫게 한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茨菰][야자고]   (0) 2019.08.13
[萱草根][훤초근]   (0) 2019.08.13
[水蓼][수료]   (0) 2019.08.13
[馬勃][마발]   (0) 2019.08.12
[燈心草][등심초]   (0) 2019.08.12

[水蓼][수료 / 물여뀌]


性冷味辛無毒

主蛇毒及脚氣腫
성질은 차고[冷]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뱀독과 각기(脚氣)로 부은 것을 낫게 한다.
葉似蓼莖赤

生淺水中其葉大於家蓼[本草]
잎은 여뀌와 비슷하고 줄기는 뻘겋다.
얕은 물 속에서 자라는데 그 잎은 집여뀌(家蓼)보다 크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萱草根][훤초근]   (0) 2019.08.13
[水蓼子][수료자]   (0) 2019.08.13
[馬勃][마발]   (0) 2019.08.12
[燈心草][등심초]   (0) 2019.08.12
[山茨菰][산자고]   (0) 2019.08.12

[馬勃][마발 / 말버섯]  


性平味辛無毒

主喉閉咽痛及惡瘡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목구멍이 메고 아픈 것과 악창을 낫게 한다.
生濕地及腐木上虛軟如紫絮大如斗小如升彈之紫塵出[本草]
습지나 썩은 나무 위에서 나는데 푹석푹석한 것[虛軟]이 자줏빛 나는 솜 비슷하다.
큰 것은 말[斗]만하고 작은 것은 되박[升]만하다.

튕기면 자줏빛 먼지가 난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蓼子][수료자]   (0) 2019.08.13
[水蓼][수료]   (0) 2019.08.13
[燈心草][등심초]   (0) 2019.08.12
[山茨菰][산자고]   (0) 2019.08.12
[夏枯草][하고초]   (0) 2019.08.12

[燈心草][등심초 / 골풀]


性寒味甘無毒

主五淋療喉痺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5림과 후비(喉痺)를 낫게 한다.
此今人織席者折取中心穰用[本草]
이것으로 지금 사람들이 돗자리를 짜는데 쪼개고 속살을 꺼내어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蓼][수료]   (0) 2019.08.13
[馬勃][마발]   (0) 2019.08.12
[山茨菰][산자고]   (0) 2019.08.12
[夏枯草][하고초]   (0) 2019.08.12
[昨葉荷草][작엽하초]   (0) 2019.08.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