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脂][송지 / 송진]


性溫味苦甘(一云平)無毒

安五藏除熱治風痺死肌

主諸惡瘡頭瘍白禿疥瘙去死肌療耳聾牙有狰孔貼諸瘡生肌止痛殺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苦] 달며[甘](평(平)하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없애며 풍비(風痺), 죽은 살[死肌],

여러 가지 악창, 머리가 헌데, 머리털 빠지는 증, 옴과 가려운 증을 낫게 한다.

귀머거리와 삭은 이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여러 가지 부스럼에 바르면 새살이 살아 나오고 통증이 멎으며 벌레도 죽는다.
一名[松膏] 一名[松肪]

六月採自流出者勝於鑿孔及煮取脂也以通明如熏陸香者爲勝
일명 송고(松膏), 송방(松肪)이라고도 한다.

음력 6월에 절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받으면 구멍을 뚫고서 받은 것과

졸여서 진을 낸 것보다 질이 좋다.

투명하며 유향 비슷한 것이 좋은 것이다.
煉法以桑灰水或酒煮軟婔內寒水中數十過白滑則可用[本草]
법제하자면 뽕나무 잿물(桑灰水)이나 술에 끓여 주물러서

찬물에 10여 번 담가내서 희고 미끈미끈해지면 쓸 수 있다[본초].
又法用河水煮化投冷水中令兩人琜援旣疑再煮如此三次

再用酒煮三次以白如飴糖爲度

凡用入石臼中嶽搗爲末不可望焙亦不可單服塞實腸胃[入門]
또 한 가지 방법은 강물에 달여 녹여서 찬물에 넣고

두 사람이 켜다가 켜지지 않게 엉키면 재차 달여서 찬물에 넣고 켜는데 이렇게 세번 한다.

그 다음 또 술에 넣고 달이기를 세번 하여 흰 엿처럼 될 때까지 한다.

쓸 때에는 돌절구에 넣고 따로 가루낸다.

햇볕에 말려서는 안 되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도 안 된다.

이것 한 가지만 먹으면 장위(腸胃)가 막히게 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葉][송엽]   (0) 2019.08.14
[松實][송실]   (0) 2019.08.14
[柳桂][유계]  (0) 2019.08.14
[桂枝][계지]   (0) 2019.08.14
[肉桂][육계]  (0) 2019.08.14

[柳桂][유계]


乃小桂嫩條 善行上焦 補陽氣 薄桂乃細薄 嫩枝入上焦橫行肩臂(入門).
작은 가지의 만만한 순(嫩條)이다.
상초에 가서 양기를 잘 보한다.
박계(薄桂)는 가늘고 엷은 햇가지인데 상초에 들어가서 어깨와 팔로 잘 간다[입문].
桂心 菌桂 牡桂 同是一物 厚者 必嫩 薄者 必老 嫩 旣辛香 兼又筒卷
계심(桂心), 균계(菌桂), 모계(牡桂)는 다 한 식물이다.
냄새와 맛이 센 것은 반드시 어린것이고 약한 것은 반드시 늙은 것이다.
어린것은 맵고[辛] 향기로우면서 겸하여 둥글게 말린다.
老必味淡 自然板薄 板薄者牡桂也.
筒卷者 卽菌桂也.
늙은 것은 반드시 맛이 슴슴하고[淡] 자연히 널판처럼 얇게 퍼진다.
얇게 퍼진 것은 모계이고 둥글게 말린 것은 균계이다.
筒厚者 宜入治藏 及下焦藥 輕薄者 宜入治頭目 發散藥
굵게 말린 것은 5장과 하초에 생긴 병에 약으로 쓰는 것이 좋고 가볍고 엷은 것은
머리와 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발산약(發散藥)으로 쓰는 것이 좋다.
又有[柳桂] 乃桂之嫩小枝 尤宜入治上焦藥(本草).
또 유계라는 것은 계수나무의 어리고 작은 가지인데
상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쓰는 것이 좋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實][송실]   (0) 2019.08.14
[松脂][송지]   (0) 2019.08.14
[桂枝][계지]   (0) 2019.08.14
[肉桂][육계]  (0) 2019.08.14
[桂心][계심]   (0) 2019.08.14

[桂枝][계지]


枝者枝條 非身幹也.
盖取其枝上皮 取其輕薄而能發散.
지(枝)라는 것은 가는 가지(枝條)이고 굵은 줄기(身幹)가 아니다.
대체로 가지에 붙은 껍질의 기운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가벼워 뜨는 성질이 있어 발산(發散)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正合內經“辛甘發散爲陽”之義.
내경에 “맵고 단것은 발산하므로 양에 속한다”고 하였는데 이것과 뜻이 맞는다.
入足太陽經 能散血分寒邪(本草).
족태양경에 들어가며 혈분의 한사[血分寒邪]를 헤친다[본초].
表虛自汗 以桂枝發其邪 衛和則表密 汗自止 非桂枝 能收汗也(丹心).
표(表)가 허하여 절로 나는 땀은 계지로 사기[邪]를 발산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위기[衛]가 고르게 되면 표가 치밀해지므로[密] 땀이 저절로 멎게 된다.
계지가 땀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단심].
桂枝 氣味俱輕 故能上行 發散於表(丹心).
계지는 냄새와 맛이 다 경(輕)하기 때문에 올라가며 겉으로 발산시키는 작용을 한다[단심].
[仲景] 用桂枝發表 肉桂補腎 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自然之理也(湯液).
중경은 계지로 발표(發表)시키고 육계로 신(腎)을 보하였는데 위[上]로 뜨는 것은
윗부분에 작용하고 아래에 가라앉는 것은 아랫부분에 작용한다는
자연적인 이치에 의거한 것이다[탕액].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脂][송지]   (0) 2019.08.14
[柳桂][유계]  (0) 2019.08.14
[肉桂][육계]  (0) 2019.08.14
[桂心][계심]   (0) 2019.08.14
[桂皮][계피]  (0) 2017.11.11

[肉桂][육계]


能補腎 宜入治藏及下焦藥
入手足少陰經 色紫而厚者佳 刮去粗皮用(入門).
신(腎)을 잘 보하므로 5장이나 하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下焦藥]으로 쓴다.
수족소음경에 들어간다.
빛이 자줏빛이면서 두터운 것이 좋다.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脂][송지]   (0) 2019.08.14
[柳桂][유계]  (0) 2019.08.14
[桂枝][계지]   (0) 2019.08.14
[桂心][계심]   (0) 2019.08.14
[桂皮][계피]  (0) 2017.11.11

[桂心][계심]


治九種心痛 殺三虫

破血 止腹內冷痛 治一切風氣 補五勞七傷 通九竅 利關節
9가지 가슴앓이를 낫게 하며 3충을 죽인다.
어혈을 헤치고 뱃속이 차고 아픈 것을 멈추며 모든 풍기를 없앤다.
5로 7상(五勞七傷)을 보하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하며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
益精 明目 煖腰膝 除風痹 破痃癖 癥瘕 消瘀血 續筋骨 生肌肉 下胞衣(本草).
정(精)을 돕고 눈을 밝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풍비(風痺)를 없앤다.
또한 현벽, 징가, 어혈을 삭이고 힘줄과 뼈를 이어 주며 살을 살아나게 하고 태반이 나오게 한다.
卽是 削除皮上甲錯處 取近裏 辛而有味 桂皮600g只得187.5g 爲正(本草).
이것은 비늘처럼 된 겉껍질을 긁어 버린 다음 그 밑층에 있는 매운 맛을 가진 부분이다.
계피 600g에서 계심 200g을 얻는 것이 기준이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脂][송지]   (0) 2019.08.14
[柳桂][유계]  (0) 2019.08.14
[桂枝][계지]   (0) 2019.08.14
[肉桂][육계]  (0) 2019.08.14
[桂皮][계피]  (0) 2017.11.11

[孩兒茶][해아다]


性寒味苦甘無毒

治一切瘡毒[入門]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없다.
모든 창독을 낫게 한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鳳仙花][봉선화]   (0) 2019.08.14
[恀實][경실]   (0) 2019.08.14
[佛耳草][불이초]   (0) 2019.08.14
[草烏][초오]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鳳仙花][봉선화 / 금봉화]


治杖瘡連根葉搗塗之
一名[金鳳花][醫鑑]
매맞아서 난 상처를 낫게 한다.
뿌리와 잎을 함께 짓찧어 붙인다.
일명 금봉화(金鳳花)라고도 한다[의감].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孩兒茶][해아다]   (0) 2019.08.14
[恀實][경실]   (0) 2019.08.14
[佛耳草][불이초]   (0) 2019.08.14
[草烏][초오]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恀實][경실 / 어저귀씨]


性平味苦無毒

主赤白冷熱痢破癰腫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냉이나 열로 된 적백리를 낫게 하고 옹종을 헤친다.
處處有之

葉似苧花黃實如蜀葵子黑色卽

今人取以績布及打繩索者[本草]
곳곳에서 난다.
잎은 모시와 비슷하고 꽃은 누르며 씨는 촉규화씨(蜀葵子)와 비슷한데 검다.
지금 사람들이 이 껍질로 천을 짜고 노끈을 꼰다[본초].
卽[白麻]也[入門]
즉 백마(白麻)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孩兒茶][해아다]   (0) 2019.08.14
[鳳仙花][봉선화]   (0) 2019.08.14
[佛耳草][불이초]   (0) 2019.08.14
[草烏][초오]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佛耳草][불이초 / 떡쑥]


性熱味酸

治風寒嗽及痰除肺中寒大升肺氣[入門]
성질은 열(熱)하고 맛은 시다[酸].

풍한으로 기침하고 가래가 나오는 것을 낫게 하고

폐 속의 찬 기운을 없애며 폐기를 세게 끓어 올린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鳳仙花][봉선화]   (0) 2019.08.14
[恀實][경실]   (0) 2019.08.14
[草烏][초오]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草果][초과]   (0) 2019.08.14

[草烏][초오 / 바꽃]


性微溫味苦甘有大毒

治風濕麻痺疼痛發破傷風汗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쓰며 달고[苦甘] 독이 많다.
풍습증으로 마비되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 파상풍(破傷風)에 쓰면 땀이 난다.
生山野在處有之形如白附子而黑[入門]
산과 들의 일정한 곳에서 자란다.

형태는 노랑돌쩌귀(백부자)와 비슷한데 검다[입문].
須童便浸炒去毒[丹心]
반드시 동변에 담갔다가 볶아 독을 빼야 한다[단심].
草烏須與黑豆同煮竹刀切看透黑爲度取用草烏一兩黑豆一合爲准[得效]
바꽃은 검정콩(흑두)과 함께 삶되 참대칼로 짜개 보아 속까지 다 거매지도록 달여야 한다.
바꽃 40g에 검정콩 1홉을 기준으로 한다[득효].
一名[淮烏]生服痺喉[醫鑑]
일명 준오(准烏)라고도 하는데 생것을 먹으면 목 안이 뿌듯하게 된다[의감].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恀實][경실]   (0) 2019.08.14
[佛耳草][불이초]   (0) 2019.08.14
[虎杖根][호장근]   (0) 2019.08.14
[草果][초과]   (0) 2019.08.14
[草豆埼][초두구]   (0) 2019.08.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