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芹][수근 / 미나리] 

 
性平(一云熱)味甘無毒
止煩渴養神益精令人肥健
治酒後熱毒利大小腸療女子崩中帶下小兒暴熱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번갈을 멎게 하고 정신이 좋아지게 하며 정(精)을 보충해 주고 살찌고 건강해지게 한다.
술을 마신 뒤에 생긴 열독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여자의 붕루, 대하와 어린이가 갑자기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一名[水英]生水中
葉似芎塥花白色而無實根亦白色
可作燜灨及煮食拄得生啖亦佳亦治五種黃疸[本草]
일명 수영(水英)이라고도 하는데 물에서 자란다.
잎은 궁궁이(천궁)와 비슷하고 흰 꽃이 피며 씨는 없다.
뿌리도 역시 흰빛이다.
김치와 생절이를 만들어 먹는다.
또한 삶아서 먹기도 한다.
생것으로 먹어도 좋다.
또한 5가지 황달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蓴菜][순채]   (0) 2019.04.28
[渣芹][사근]   (0) 2019.04.28
[根及枯莖葉][근급고경엽]   (0) 2019.04.28
[茄子][가자]   (0) 2019.04.28
[薄荷][박하]   (0) 2019.04.27

[根及枯莖葉][근급고경엽 / 가지의 뿌리와 마른 줄기와 잎] 

主凍瘡煎湯浸洗[本草]
얼어서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그 물에 담그고 씻는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渣芹][사근]   (0) 2019.04.28
[水芹][수근]   (0) 2019.04.28
[茄子][가자]   (0) 2019.04.28
[薄荷][박하]   (0) 2019.04.27
[香淇][향유]   (2) 2019.04.27

[茄子][가자 / 가지] 

 
性寒味甘無毒主寒熱五藏勞及傳尸勞氣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5장허로와 전시노채[傳尸勞]를 치료한다.
圃中人種而食者 一名[落蘇]

不可多食動氣發痼疾
밭에 심어서 먹는데 일명 낙소(落蘇)라고도 한다.
기를 동하게 하여 고질병이 생기게 하므로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茄類有紫茄黃茄南北通有靑水茄白茄北

土多有入藥多用黃茄其餘惟作菜茹耳[本草]
가지의 종류에는 자줏빛가지, 누런 가지가 있는데 남북 지방에 다 있다.
푸른 물가지나 흰 가지는 북쪽에만 있다.
약으로는 흔히 누런 가지를 쓴다.
그밖의 가지는 오직 채소로만 먹는다[본초].
新羅國出一種淡光微紫色疵長味甘

已遍中國惟此無益無所治[入門]
신라에서 나는 한 가지 종류는 약간 반들반들하면서

연한 자줏빛이 나고 꼭지가 길며 맛이 달다.
이것은 이미 중국에 널리 퍼졌으나

몸에는 이로운 것이 아무 것도 없고 약효도 없다[입문].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芹][수근]   (0) 2019.04.28
[根及枯莖葉][근급고경엽]   (0) 2019.04.28
[薄荷][박하]   (0) 2019.04.27
[香淇][향유]   (2) 2019.04.27
[紫蘇莖][자소경]   (0) 2019.04.26

[薄荷][박하] 

 
性溫(一云平)味辛苦無毒

能引諸藥入榮衛

發毒汗療傷寒頭痛治中風賊風頭風

通利關節大解勞乏
성질이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면서[辛] 쓰며[苦] 독이 없다.
모든 약 기운을 영위(榮衛)로 이끌어 간다.
땀이 나게 하여 독이 빠지게 하는데 상한, 두통, 중풍, 적풍(賊風), 두풍(頭風)을 치료한다.
그리고 뼈마디가 잘 놀려지게 하며 몹시 피로한 것을 풀리게 한다.
圃中種蒔可生啖亦宜作灨夏秋採莖葉暴乾用[本草]
밭에 심는데 생으로 먹을 수 있다.

또는 김치를 만들어 먹는다.
여름과 가을에 줄기와 잎을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본초].
性味辛

凉最淸頭目治骨蒸

入手太陰手厥陰經上行之藥也[湯液]
성질이 서늘하고 맛이 맵다[辛].
머리와 눈을 아주 시원하게 하고 골증(骨蒸)을 낫게 한다.
수태음과 수궐음경으로 들어가는데 약 기운이 위[上]로 올라가는 약이다[탕액].
苗食薄荷則醉[食物]
고양이가 박하를 먹으면 취한다[식물].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根及枯莖葉][근급고경엽]   (0) 2019.04.28
[茄子][가자]   (0) 2019.04.28
[香淇][향유]   (2) 2019.04.27
[紫蘇莖][자소경]   (0) 2019.04.26
[紫蘇子][자소자]   (0) 2019.04.26

[香淇][향유] 

 
性微溫味辛無毒

主囍亂腹痛吐下散水腫消暑濕煖胃氣除煩熱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곽란으로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수종을 내리게 하고 더위먹은 것과 습증을 없앤다.
위기(胃氣)를 덥히고 번열(煩熱)을 없앤다.
家家皆種暑月亦作蔬菜食之九十月作穗後採乾之[本草]
집집마다 심는다.
여름철에는 채소로 먹는다.
음력 9-10월에 이삭이 나온 다음에 베서 말린다[본초].
一名[香茹]言可作菜茹也[入門]
일명 향여(香茹)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채소로 먹을 수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입문].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茄子][가자]   (0) 2019.04.28
[薄荷][박하]   (0) 2019.04.27
[紫蘇莖][자소경]   (0) 2019.04.26
[紫蘇子][자소자]   (0) 2019.04.26
[紫蘇][자소]   (0) 2019.04.26

[紫蘇莖][자소경 / 차조기 줄기] 

 
治風寒濕痺筋骨疼痛及脚氣與葉同煮飮佳[本草]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으로 힘줄과 뼈가 아픈 것과 각기를 치료한다.
잎과 함께 달여서 먹는 것이 좋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薄荷][박하]   (0) 2019.04.27
[香淇][향유]   (2) 2019.04.27
[紫蘇子][자소자]   (0) 2019.04.26
[紫蘇][자소]   (0) 2019.04.26
[荊芥][형개]   (0) 2019.04.26

[紫蘇子][자소자 / 차조기씨] 



主上氣咳逆調中益五藏下氣
止囍亂反胃利大小便止嗽潤心肺消痰氣
又療肺氣喘急與橘皮相宜微炒用[本草]
기운이 치밀어 오르며 딸꾹질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중초를 고르게 하고 5장을 보하며 기운을 내린다.
곽란, 반위를 멎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한다.
심과 폐를 눅여 주고[潤] 담을 삭힌다.
또한 폐기로 숨이 찬 데도 쓴다.
귤껍질(橘皮)의 약효도 잘 도와준다.
약간 닦아서 써야 한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香淇][향유]   (2) 2019.04.27
[紫蘇莖][자소경]   (0) 2019.04.26
[紫蘇][자소]   (0) 2019.04.26
[荊芥][형개]   (0) 2019.04.26
[穧菜][제체]   (0) 2019.04.26

[紫蘇][자소 / 차조기] 

性溫味辛無毒

治心腹脹滿止囍亂療脚氣通大小腸除一切冷氣散風寒表邪又能下胸膈痰氣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과 곽란, 각기 등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일체 냉기를 없애고 풍한 때 표사(表邪)를 헤친다.
또한 가슴에 있는 담과 기운을 내려가게 한다.
生園圃中葉下紫色皺而氣甚香可入藥其無

紫色不香者名曰野蘇不堪用其背面皆紫者尤佳夏採莖葉秋採實
밭에서 심는다.

잎의 뒷면이 자줏빛이고 주름이 있으며 냄새가 몹시 향기로운 것을 약으로 쓴다.

자줏빛이 나지 않고 향기롭지 못한 것은 들차조기(野蘇)인데 약으로 쓰지 못한다.

잎의 뒷면과 앞면이 다 자줏빛인 것은 더 좋다.

여름에는 줄기와 잎을 따고 가을에는 씨를 받는다.
葉可生食與一切魚肉作羹良[本草]
잎은 생것으로 먹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생선이나 고기와 같이 국을 끓여 먹으면 좋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莖][자소경]   (0) 2019.04.26
[紫蘇子][자소자]   (0) 2019.04.26
[荊芥][형개]   (0) 2019.04.26
[穧菜][제체]   (0) 2019.04.26
[韭菜子][구채자]   (0) 2019.04.26

[荊芥][형개] 


性溫味辛苦無毒
治惡風賊風遍身㴇痺

傷寒頭痛筋骨煩疼

血勞風氣療岤嵤瘡瘍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면서[辛] 쓰며[苦] 독이 없다.
악풍(惡風), 적풍(賊風), 온몸에 감각이 없는 것,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힘줄과 뼈가 달면서 아픈 것과

혈로(血勞), 풍기(風氣)를 치료하며 나력과 창양(瘡瘍)을 낫게 한다.
生圃中初生香辛可啖作菜生熟食幷煎茶服能淸利頭目
밭에 심는다. 어릴 때는 향기롭고 맛이 맵기 때문에 채소로 먹을 수 있는데

생으로도 먹고 익혀서도 먹는다.
또한 달여 차를 만들어 먹으면 머리와 눈이 시원하다.
取花實成穗者暴乾入藥[本草]
꽃과 씨로 이삭을 이룬 것을 베서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본초].
本名假蘇以氣味似紫蘇故也[入門]
본래 이름은 가소(假蘇)라고 하는데 그것은 냄새와 맛이 차조기 비슷하기 때문이다[입문].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子][자소자]   (0) 2019.04.26
[紫蘇][자소]   (0) 2019.04.26
[穧菜][제체]   (0) 2019.04.26
[韭菜子][구채자]   (0) 2019.04.26
[韭菜][구채]   (0) 2019.04.26

[穧菜][제체 / 염교] 

 
性溫味辛苦無毒

調中止久痢冷瀉除寒熱去水氣肥健人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면서[辛] 쓰고[苦] 독이 없다.
중초를 고르게 하고 오래된 이질과 냉증으로 오는 설사를 멎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과 수기(水氣)를 치료하며 살찌게 하고 건강해지게 한다.
穧性溫補仙方及服食家皆須之
염교는 성질이 따뜻하고[溫] 잘 보하므로 누구나 다 먹으려고 한다.
歸於骨菜芝也
그 기운이 뼈로 들어가는 좋은 채소이다.
生圃中似堛而葉簧多白無實雖辛而不糨五藏故道家常餌之補虛最宜人
밭에서 자라는데 부추 비슷하면서 잎이 넓고 흰빛이 많으며 씨가 없다.
맛이 맵기는 하나 냄새가 5장에 배지 않기 때문에 도가(道家)들이 늘 먹는다.
염교가 허한 것을 보하는 데는 제일 좋다.
作羹粥食之濠作燜灨拄得
국이나 죽을 쑤어 먹으며 데쳐서 나물을 하거나 김치를 담근다.
穧葉簧而更光故古人言穧露者以其光滑難灝之義也[本草]
염교의 잎( 葉)은 넓고 광택이 있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은 염교잎에 이슬이라는 말을 했는데

그것은 염교잎이 광택이 있고 매끄럽기 때문에

이슬이 붙어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을 비유해서 한 말이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자소]   (0) 2019.04.26
[荊芥][형개]   (0) 2019.04.26
[韭菜子][구채자]   (0) 2019.04.26
[韭菜][구채]   (0) 2019.04.26
[野蒜][야산]   (0) 2019.04.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