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苦呮][고거] 

性寒味苦輕身少睡調十二經怴利五藏療黃疸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다[苦].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잠을 덜 자게 하며

12경맥을 고르게 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하며 황달을 치료한다.
苦呮卽野呮也

一名[磗呮]雖冷甚益人可久食之[本草]
고거란 바로 들부루(野 )를 말한다.

일명 편거라고도 한다.
비록 성질이 차지만 사람에게 아주 이롭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어도 된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苦菜][고채]   (0) 2019.04.21
[苦呮根][고거근]   (0) 2019.04.21
[白呮][백거]   (0) 2019.04.21
[毟呮][와거]   (0) 2019.04.21
[白芥子][백개자]  (0) 2019.04.18

[白呮][백거] 

性味功用同毟呮其形亦相似而有白毛[本草]
성질과 맛, 효능은 부루와 같고 그 생김새도 부루와 비슷한데 흰털이 있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苦呮根][고거근]   (0) 2019.04.21
[苦呮][고거]   (0) 2019.04.21
[毟呮][와거]   (0) 2019.04.21
[白芥子][백개자]  (0) 2019.04.18
[白芥][백개]   (0) 2019.04.18

[毟呮][와거 / 상추] 

性冷(一云寒)味苦微毒
主補筋骨利五藏開胸膈壅氣通經怴今人齒白聰明少睡療蛇咬
성질이 차고[冷] 맛이 쓰며[苦] 독이 약간 있다.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하며

가슴에 기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경맥을 통하게 한다.
이빨을 희게 하고 머리가 총명하게 하며 졸리지 않게 한다.
또한 뱀한테 물린 것도 치료한다.
今人菜中常食者患冷人食則腹冷然不至苦損人[入門] 
요즘 보통 먹는 채소를 말하는데 냉병이 있는 사람이 먹으면 배가 차진다.
그러나 사람에게 몹시 해롭지는 않다[입문].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苦呮][고거]   (0) 2019.04.21
[白呮][백거]   (0) 2019.04.21
[白芥子][백개자]  (0) 2019.04.18
[白芥][백개]   (0) 2019.04.18
[芥子][개자]   (0) 2019.04.18

[白芥子][백개자 / 흰겨자씨] 

 
主上氣發汗胸膈痰冷面黃
기운이 치미는 것을 낫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가슴에 담이 있고 냉하여 얼굴이 누렇게 된 것을 치료한다.
子㵋大白色如白梁米入藥最佳

痰在皮裏膜外非此不能達微炒硏碎用[入門]
씨는 알이 굵고 희어서 백량미(白粱米) 같은데 약으로 쓰면 아주 좋다.
담이 피부 속 힘줄막 밖에 있을 때 이것을 쓰지 않으면 약 기운이 그곳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약간 닦아서 가루내어 쓴다[입문].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呮][백거]   (0) 2019.04.21
[毟呮][와거]   (0) 2019.04.21
[白芥][백개]   (0) 2019.04.18
[芥子][개자]   (0) 2019.04.18
[芥菜][개채]  (0) 2019.04.18

[白芥][백개 / 흰겨자] 

 
性溫味辛無毒
主冷氣能安五藏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몸이 찬 것을 치료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한다.
從西戎來如芥而葉白爲茹食之甚辛美[本草]
서융(西戎)에서 온 것인데 갓(芥) 비슷하고 잎이 허옇다.
나물을 하여 먹으면 아주 맵고 맛이 좋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毟呮][와거]   (0) 2019.04.21
[白芥子][백개자]  (0) 2019.04.18
[芥子][개자]   (0) 2019.04.18
[芥菜][개채]  (0) 2019.04.18
[絲瓜][사과]   (0) 2019.04.18

[芥子][개자 / 겨자씨]


治風毒腫及麻痺撲損瘀血腰痛腎冷心痛
풍독증(風毒證)과 마비된 것, 얻어 맞거나 다쳐서 어혈진 것,

요통(腰痛), 신(腎)이 차고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熬硏作醬能通利五藏[本草]
볶아서 가루내어 장을 담그어 먹으면 5장이 잘 통한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芥子][백개자]  (0) 2019.04.18
[白芥][백개]   (0) 2019.04.18
[芥菜][개채]  (0) 2019.04.18
[絲瓜][사과]   (0) 2019.04.18
[越瓜][월과]   (0) 2019.04.16

[芥菜][개채 / 겨자와 갓] 

 
性溫味辛無毒
除腎邪利九竅明耳目止咳嗽上氣能溫中去頭面風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신(腎)에 있는 사기를 없애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한다.
기침과 기운이 치미는 것도 멎게 한다.

그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두면풍(頭面風)을 없앤다.
芥味歸脾
개채의 매운 맛은 코에서 더 아린다.
似某而有毛味極辛辣大葉者良煮食動氣猶勝諸菜
생김새가 배추 같은데 털이 있고 맛은 몹시 매우면서[極辛] 알알하다[辣].

잎이 큰 것이 좋다.
삶아 먹으면 기를 동하게 하는데 다른 여러 가지 채소보다 훨씬 세다.
有黃芥 紫芥 白芥 黃芥 紫芥 作燜食之最美 白芥入藥[本草]
황개(黃芥), 자개(紫芥), 백개(白芥)가 있는데

황개와 자개로는 김치를 하여 먹으면 아주 좋고 백개는 약으로 쓴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芥][백개]   (0) 2019.04.18
[芥子][개자]   (0) 2019.04.18
[絲瓜][사과]   (0) 2019.04.18
[越瓜][월과]   (0) 2019.04.16
[胡瓜根][호과근]   (0) 2019.04.16

[絲瓜][사과 / 수세미] 

 
性冷解毒

治一切惡瘡小兒痘疹幷乳疽丁瘡脚癰
성질이 찬데[寒] 독을 푼다.

모든 악창과 어린이의 마마[痘疹], 유저(乳疽), 정창(丁瘡), 각옹(脚癰)을 치료한다.
霜後取老絲瓜連皮根子全者

燒存性爲末蜜湯調下二三錢則腫消毒散不致內攻[入門]
서리가 내린 뒤에 늙은 수세미오이를 껍질, 뿌리, 씨까지 온전한 것으로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4-12g을 꿀물에 타 먹으면

헌데가 삭으면서 독이 헤쳐져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다[입문].
一名[天蘿] 一名[天絡絲] 葉名[虞刺葉][正傳]
일명 천라(天蘿)라고도 하고 천락사(天絡絲)라고도 한다.
이것의 잎을 보고는 우자엽(虞刺葉)이라고 한다[정전].
嫩者煮熟薑醋食之枯者去皮及子用榺滌器[食物]
어린것은 삶아 익혀서 생강과 식초로 양념하여 먹고

마른 것은 껍질과 씨를 버리고 그 속으로 그릇을 씻는다[식물].
自中原得子移種形如胡瓜極長大[俗方]
중국에서 씨를 가져다가 심은 것인데 생김새는 오이 같으나 매우 길고 크다[속방].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芥子][개자]   (0) 2019.04.18
[芥菜][개채]  (0) 2019.04.18
[越瓜][월과]   (0) 2019.04.16
[胡瓜根][호과근]   (0) 2019.04.16
[胡瓜葉][호과엽]   (0) 2019.04.16

[越瓜][월과 / 흰오이] 



性寒味甘利腸胃止煩渴不可多食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다[甘].

장위를 편안하게 하고 번갈을 멎게 하는데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生越地色正白越人食之[本草]
월(越)지방에서 나는데 빛이 희다.

월지방 사람이 먹는다고 하여 월과라고 한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芥菜][개채]  (0) 2019.04.18
[絲瓜][사과]   (0) 2019.04.18
[胡瓜根][호과근]   (0) 2019.04.16
[胡瓜葉][호과엽]   (0) 2019.04.16
[胡瓜][호과]   (0) 2019.04.15

[胡瓜根][호과근 / 오이뿌리] 

 
搗付狐刺毒腫[本草]
참대나 나무가시에 찔려서 생긴 독종(毒腫)에 짓찧어 붙인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絲瓜][사과]   (0) 2019.04.18
[越瓜][월과]   (0) 2019.04.16
[胡瓜葉][호과엽]   (0) 2019.04.16
[胡瓜][호과]   (0) 2019.04.15
[白冬瓜葉][백동과엽]   (0) 2019.04.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