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塍嫭][승호 / 군달 / 근대]
性平微毒補中下氣理脾氣去頭風利五藏
성질이 평(平)하고 독이 약간 있다.
비위를 보하여 기를 내리고 비위를 좋아지게 한다.
또한 두풍(頭風)을 치료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한다.
園圃中多有之人多食之然不可多食必破腹[本草]
채소밭에 많이 심는다.
사람들이 이것을 흔히 먹는데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배가 상할 수 있다[본초].
[塍嫭][승호 / 군달 / 근대]
性平微毒補中下氣理脾氣去頭風利五藏
성질이 평(平)하고 독이 약간 있다.
비위를 보하여 기를 내리고 비위를 좋아지게 한다.
또한 두풍(頭風)을 치료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한다.
園圃中多有之人多食之然不可多食必破腹[本草]
채소밭에 많이 심는다.
사람들이 이것을 흔히 먹는데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배가 상할 수 있다[본초].
[芸宄][운대 / 유채]
性溫(一云凉)味辛有毒
主遊風丹腫乳癰破琋結瘀血
성질이 따뜻하고[溫](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유풍(遊風), 단종(丹腫), 유옹(乳癰)을 치료하며 징결( 結)과 어혈을 헤친다.
處處有之久食損陽氣道家特忌[本草]
여러 지방에 있다. 오랫동안 먹으면 양기가 상한다.
그러므로 도가들은 특별히 꺼린다[본초].
[獒菜][즙채 / 약모밀 / 어성초]
性微溫味辛有毒主堂杹尿瘡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그리마의 오줌독으로 생긴 헌데[ 尿瘡]를 치료한다.
處處有之生山中及田野間人好生食然久食損陽氣[本草]
여러 지방의 산과 밭, 들에서 자란다.
사람들은 이것을 생것으로 먹기 좋아한다.
그러나 많이 먹으면 양기(陽氣)가 상한다[본초].
[芸宄子][운대자] (0) | 2019.05.06 |
---|---|
[芸宄][운대] (0) | 2019.05.06 |
[槃荷][양하] (0) | 2019.05.06 |
[苜蓿][목숙] (0) | 2019.05.04 |
[蕨菜薇][궐채미] (0) | 2019.05.03 |
[槃荷][양하]
性微溫味辛有小毒主中蠱及秇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약간 있다.
고독과 학질을 치료한다.
葉似甘蕉根如薑而肥其根莖堪爲灨有赤白二種赤者堪啖白者入藥
잎은 파초 같고 뿌리는 생강 같으면서 굵다.
뿌리와 줄기로는 생절이를 만들어 먹을 수 있다.
붉은 것과 흰 것 2가지가 있는데 붉은 것을 먹는다.
흰 것은 약으로 쓴다.
周禮以[嘉草]除蠱毒嘉草卽槃荷也[本草]
주례에 가초(嘉草)로는 고독을 치료한다고 씌어 있는데 가초란 바로 양하를 말한다[본초].
我國南方有之人多種食[俗方]
우리나라의 남쪽에서 나는데 사람들이 많이 심어서 먹는다[속방].
[苜蓿][목숙 / 거여목 / 학정초]
莖葉性平根性凉味苦無毒
安中利五藏去脾胃間邪氣諸惡熱毒利大小腸療黃疸
줄기와 잎은 성질이 평(平)하고 뿌리는 성질이 서늘하며 맛이 쓰고[苦] 독이 없다.
속을 편안하게 하고 5장이 좋아지게 하며 비위에 있는 사기와 여러 가지 나쁜 열독을 없앤다.
또한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황달을 치료한다.
處處有之生田野濕地
人多採取煮和醬食之生食亦可但多食則瘦人[本草]
어느 지방에나 다 있는데 밭이나 들의 젖은 땅에서 자란다.
많이 캐서 삶아 장을 쳐서 먹는다.
생것으로 먹어도 좋다.
많이 먹으면 여위게 된다[본초].
[獒菜][즙채] (0) | 2019.05.06 |
---|---|
[槃荷][양하] (0) | 2019.05.06 |
[蕨菜薇][궐채미] (0) | 2019.05.03 |
[蕨菜][궐채] (0) | 2019.05.03 |
[龍葵子][용규자] (0) | 2019.05.01 |
[蕨菜薇][궐채미 / 고비]
性寒味甘無毒
調中潤大小腸通利水道下浮腫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고르게 하고 대소장을 눅여 주며[潤]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부종(浮腫)을 내린다.
薇亦蕨類生處亦同[入門]
이것은 고사리종류인데 자라는 곳도 역시 같다[입문].
[蕨菜][궐채 / 고사리]
性寒滑味甘去暴熱利水道
성질이 차고[寒] 활(滑)하며 맛이 달다[甘].
갑자기 나는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處處有之生山坡原野中人多採取煮食之味甚好
然不可久食消陽氣令脚弱不能行眼暗腹脹[本草]
어느 지방에나 다 있는데 산언덕과 들판에 난다.
많이 꺾어다가 삶아서 먹으면 맛이 아주 좋다.
그러나 오랫동안 먹어서는 안 된다.
양기가 줄어들게 되고 다리가 약해져서 걷지 못하게 되며
눈이 어두워지고 배가 불러 오른다[본초].
[苜蓿][목숙] (0) | 2019.05.04 |
---|---|
[蕨菜薇][궐채미] (0) | 2019.05.03 |
[龍葵子][용규자] (0) | 2019.05.01 |
[龍葵][용규] (0) | 2019.05.01 |
[荏子葉][임자엽] (0) | 2019.05.01 |
[龍葵子][용규자]
主丁腫硏付之[本草]
정종(丁腫)에 갈아서 붙인다[본초].
[蕨菜薇][궐채미] (0) | 2019.05.03 |
---|---|
[蕨菜][궐채] (0) | 2019.05.03 |
[龍葵][용규] (0) | 2019.05.01 |
[荏子葉][임자엽] (0) | 2019.05.01 |
[荏子][임자] (0) | 2019.05.01 |
[龍葵][용규]
性寒味甘無毒
解勞少睡去熱腫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피로한 것을 풀어 주고 잠을 적게 자게 하며 열로 부은 것을 치료한다.
處處有之
葉圓花白子若牛李子生靑熟黑但堪煮食不宜生啖[本草]
어느 지방에나 다 있다.
잎이 둥글고 꽃빛은 희며 열매는 갈매나무열매 같은데 생것은 퍼렇고 익으면 거멓다.
달여서 먹어야지 생것으로 먹는 것은 좋지 않다[본초].
[蕨菜][궐채] (0) | 2019.05.03 |
---|---|
[龍葵子][용규자] (0) | 2019.05.01 |
[荏子葉][임자엽] (0) | 2019.05.01 |
[荏子][임자] (0) | 2019.05.01 |
[羅勒子][나륵자]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