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屋漏脈][옥루맥]
脈在筋肉間 如殘雷之下 良久一滴濺起無力
如水滴濺地貌 胃氣 榮衛 俱絶 七八日死.
맥이 힘줄과 살 사이에서 뛰는데 처마에 빗물이 한참 동안 매달려 있다가

한방울씩 떨어지는 것처럼 얼마 만큼씩 있다가 힘없이 뛰는 맥이다.
옥루맥이란 물방울이 땅에 떨어지는 모양처럼 뛰는 맥인데
이것은 위기(胃氣)와 영위(榮衛)가 다 끊어진 맥이므로 7-8일 만에 죽을 수 있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雀啄脈][작탁맥]   (0) 2020.04.23
[鰕遊脈][하유맥]   (0) 2020.04.23
[解索脈][해색맥]   (0) 2020.04.23
[彈石脈][탄석맥]   (0) 2020.04.23
[魚翔脈][아상맥]   (0) 2020.04.23

[解索脈][해색맥]
脈如解亂繩之狀 散散無序
腎與命門之氣皆亡 戊己日篤 辰巳日不治(得效).
노끈을 풀어 놓은 것같이 산산이 흩어지는 무질서한 맥이다.
이것은 신(腎)과 명문(命門)의 기가 다 없어진 맥이다.
이런 맥이 무기일(戊己日)에 나타나면 위급하고

진사일(辰巳日)에 나타나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鰕遊脈][하유맥]   (0) 2020.04.23
[屋漏脈][옥루맥]  (0) 2020.04.23
[彈石脈][탄석맥]   (0) 2020.04.23
[魚翔脈][아상맥]   (0) 2020.04.23
[釜沸脈][부비맥]  (0) 2020.04.23

[彈石脈][탄석맥]
脈在筋肉間 辟辟湊指 急促而堅

乃腎經眞臟脈見 遇戊己日則不治 彈石硬來 尋則散.
맥이 힘줄과 살 사이에서 뛰면서 딱딱하게 손 끝에 마주치고 촉급하며 굳은 것이다.

이것은 신경의 진장맥(眞藏脈)인데 무기일(戊己日)에 나타나면 치료하지 못한다.
탄석맥이란 올 때[來]에는 딴딴하고 누르면 곧 흩어지는 맥이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屋漏脈][옥루맥]  (0) 2020.04.23
[解索脈][해색맥]   (0) 2020.04.23
[魚翔脈][아상맥]   (0) 2020.04.23
[釜沸脈][부비맥]  (0) 2020.04.23
[十怪脈][십괴맥]   (0) 2020.04.23

[魚翔脈][아상맥]
脈在皮赴 頭定而尾搖 浮浮泛泛

三陰數極 又曰亡陽 當以死斷 魚翔脈 似有似無.
맥이 피부 밑에서 뛰는데

마치 물고기가 대가리는 움직이지 않고 꼬리만 살랑살랑 흔드는 것같이 뛰는 맥이다.
이것은 3음(三陰)이 극도에 달한 것인데 망양(亡陽)이 된 것이라고 한다.
이런 맥이 나타나면 죽을 수 있다.
어상맥이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한 맥이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索脈][해색맥]   (0) 2020.04.23
[彈石脈][탄석맥]   (0) 2020.04.23
[釜沸脈][부비맥]  (0) 2020.04.23
[十怪脈][십괴맥]   (0) 2020.04.23
[諸死脈][제사맥]   (0) 2020.04.23

[釜沸脈][부비맥]
脈在皮肉 有出無入 如湯涌沸 息數俱無

乃三陽數極無陰之候 朝見夕死 夕見調死.
맥이 피부[皮]와 살[肉] 사이에서 뛰는데

오는 것[出]은 힘이 있고 가는 것[入]은 힘이 없으면서

물이 끓어오르는 것처럼 쉴사이 없이 뛰는 맥이다.

이것은 3양(三陽)이 극도에 달하고 음(陰)이 없어진 증후이다.

이런 증후가 아침에 나타나면 저녁에 죽을 수 있고

저녁에 나타나면 아침에 죽을 수 있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彈石脈][탄석맥]   (0) 2020.04.23
[魚翔脈][아상맥]   (0) 2020.04.23
[十怪脈][십괴맥]   (0) 2020.04.23
[諸死脈][제사맥]   (0) 2020.04.23
[諸脈病證][제맥병증]   (0) 2020.04.22

[十怪脈][십괴맥]
[十怪脈者][10가지 이상한 맥]
一曰釜沸 二曰魚翔 三曰彈石 四曰解索 五曰屋漏 六曰鰕遊

七曰雀啄 八曰偃刀 九曰轉豆 十曰麻促(得效). 
첫번째는 부비(釜沸), 두번째는 어상(魚翔), 세번째는 탄석(彈石),

네번째는 해색(解索), 다섯번째는 옥루(屋漏), 여섯번째는 하유(鰕遊),

일곱번째는 작탁(雀啄), 여덟번째는 언도(偃刀), 아홉번째는 전두(轉豆),

열번째는 마촉(麻促) 등 이 10가지가 이상한 맥이다[득효].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翔脈][아상맥]   (0) 2020.04.23
[釜沸脈][부비맥]  (0) 2020.04.23
[諸死脈][제사맥]   (0) 2020.04.23
[諸脈病證][제맥병증]   (0) 2020.04.22
[諸脈綱領][제맥강령]  (0) 2020.04.22

[諸死脈][제사맥]
內經(平人氣象論 十八)曰 人一呼 脈四動以上 曰死 脈絶不至 曰死 乍踈乍數 曰死.
내경에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네번 이상 뛰는 것은 죽을 수 있는 맥이다.

맥이 다 끊어졌다가 다시 뛰지 못하는 것과 잠깐동안은 느리게 뛰다가

잠깐동안은 빨리 뛰는 것도 죽을 수 있는 맥이다”고 씌어 있다.
人一呼五六至 其形肉不脫 眞藏雖不見 猶死也(內經 玉機眞藏論篇 第十九) .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맥이 다섯에서 여섯번 뛸 때에는

몸이 전혀 상하지 않고 진장(眞藏)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여도 죽을 수 있다[내경].
脈不往來者 死(內經 三部九候論篇 第二十).
맥이 알리지 않는 것[不往來]도 죽을 수 있다[내경].
肥人 脈細小 如絲欲絶者 死 羸人脈躁者 死 諸膚脈無根者 皆死(仲景).
살이 찐 사람의 맥이 실같이 가늘면서 약하여 끊어질 것같으면 죽을 수도 있고

여윈 사람의 맥이 조급하면 죽을 수 있으며 모든 부맥(浮脈)이 원인없이 나타나는 것도

다 죽을 수 있다[중경].
寸脈下不至關 爲陽絶 尺脈上不至關 爲陰絶 皆決死(仲景).
촌맥이 아래로 관(關)에까지 가지 못하는 것은 양(陽)이 끊어진 것이고

척맥이 위[上]로 관에까지 가지 못하는 것은

음(陰)이 끊어진 것이기 때문에 다 죽을 수 있다[중경].
脈四損 三日死,

平人四至 病人脈一至 名曰四損, 脈五損 一日死

平人五至 病人脈一至 名曰五損, 脈六損 一時死

平人六至 病人脈一至 名曰六損也.

四藏氣絶 脈爲四損 五藏氣絶 脈爲五損

五藏六府俱絶 脈爲六損也(仲景).
4손맥(四損脈)이 나타나면 3일 만에 죽을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의 맥이 네번 뛰는 동안에 환자의 맥이 한번 뛰는 것을 보고 4손맥이라고 한다.

5손맥이 나타나면 하루만에 죽을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의 맥이 다섯번 뛰는 동안에 환자의 맥이 한번 뛰는 것을 보고 5손맥이라 한다.

6손맥이 나타나면 2시간 만에 죽을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의 맥이 여섯번 뛰는 동안에 환자의 맥이 한번 뛰는 것을 보고 6손맥이라고 한다.

4개 장기의 기운이 끊어지면 4손맥이 나타나고

5개 장기의 기운이 끊어지면 5손맥이 나타나며

5장 6부의 기운이 다 끊어지면 6손맥이 나타난다[중경].
病人脈絶 口張 足腫 五日死(扁鵲).
환자가 맥이 끊어지려고 하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다리가 부으면 5일 만에 죽을 수 있다[편작].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釜沸脈][부비맥]  (0) 2020.04.23
[十怪脈][십괴맥]   (0) 2020.04.23
[諸脈病證][제맥병증]   (0) 2020.04.22
[諸脈綱領][제맥강령]  (0) 2020.04.22
[肥瘦長短 異脈][비수장단 이맥]   (0) 2020.04.22

[諸脈病證][제맥병증] 
內經曰 脈者 血之府也 .
長則氣治 短則氣病

數則煩心 大則病進 上盛則氣高 下盛則氣脹

代則氣衰 衰則氣少

澁則心痛粗大者 陰不足 陽有餘 爲熱中也(內經脈要精微論篇 第十七).

내경에 “맥이란 혈지부(血之府)이다”고 씌어 있다.

맥이 장(長)한 것은 기가 든든한 것이고 맥이 단(短)한 것은 기에 병이 생긴 것이다.

맥이 삭(數)한 것은 가슴이 답답한 것이고 맥이 대(大)한 것은 병이 심해져 가는 것이며

촌부맥이 성한 것은 숨이 찬 것이고 척부맥이 성한 것은 기창(氣脹)증이다.

맥이 대(代)한 것은 원기[氣]가 쇠약한 것이고

맥이 세(細)한 것은 기가 약한 것이며

맥이 색( )한 것은 가슴이 아픈 것이다.

맥이 거칠면서 대(大)한 것은 음(陰)이 부족하고 양(陽)이 실(實)한 것이며

속에 열이 있는 것이다[내경].

風熱而脈靜 泄而脫血 脈實

病在中 脈虛 病在外 脈澁堅者 皆難治(內經 平人氣象論篇 第十八).

풍열(風熱)이 있는 데도 맥이 안정한 것,

설사하였거나 피를 많이 흘렸는 데도 맥이 실(實)한 것,

속에 병이 있는 데도 맥이 허(虛)한 것,

겉에 병이 있는 데도 맥이 색( )하면서 견(堅)한 것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내경].

寸口脈 沈而堅者 曰病在中 浮而盛者 曰病在外

脈盛滑堅者 病在外 脈小實而堅者 病在乃(內經 平人氣象論篇 第十八).

촌구맥(寸口脈)이 침(沈)하면서 견(堅)한 것은 속에 병이 있는 것이고

부(浮)하면서 성한 것은 겉에 병이 있는 것이다.

맥이 성(盛), 활(滑), 견(堅)한 것은 겉에 병이 있는 것이고

맥이 소(小)하고 실(實)하면서 견한 것은 속에 병이 있는 것이다[내경].

靈樞(決氣 第三十)曰 血脫者 脈空虛 氣虛則脈弦 血虛則脈大.

영추에 “피를 많이 흘렸을 때 맥은 속이 빈 것같고 기(氣)가 허할 때에는

맥이 현(弦)하며 혈이 허할 때에는 맥이 대(大)하다”고 씌어 있다.

脈病 人不病 名曰行尸 以無正氣 卒眩仆 不識人 短命則死

人病 脈不病 名曰內虛 以有正氣 雖困 無苦(仲景).

맥을 보면 병이 있으나 몸이 아프지 않은 것을 행시(行尸)라고 한다.

이것은 정기(正氣)가 없는 것이므로 갑자기 어지러워 넘어져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죽기도 한다.

몸에는 병이 있으나 맥에는 이상이 없는 것을 내허(內虛)라고 한다.

이것은 정기(正氣)가 있는 것이므로 비록 괴롭기는 하나 죽지는 않는다[중경].

寸口脈 諸微亡陽 諸濡亡血 緊則爲寒 浮則爲風 數則爲熱 動則爲痛(仲景).

촌구맥이 다 미(微)한 것은 망양(亡陽)이 된 것이고

다 유(濡)한 것은 망혈(亡血)㈜이 된 것이다.

맥이 긴(緊)한 것은 한증[寒]이고 부한 것은 풍증[風]이며

삭(數)한 것은 열증[熱]이고 동(動)한 것은 통증이 있는 것이다[중경].

風則浮虛 寒則牢堅 沈潛水蓄 支飮急弦 動則爲痛 數則熱煩(仲景).

맥이 풍증(風證) 때에는 부허(浮虛)하고 한증(寒證) 때에는 뇌견(牢堅)한다.

맥이 침(沈)한 것은 물이 고여 있거나 지음(支飮)이 있는 것이고

급(急), 현(弦), 동(動)한 것은 통증이 있는 것이고

삭(數)한 것은 열이 나서 답답한 것이다[중경].

脈大而堅者 血氣俱實 脈小者 血氣俱虛 脈大者 血氣俱多 脈細微者 血氣俱虛(脈經).

맥이 대(大)하면서 견(堅)한 것은 혈기(血氣)가 다 실한 것이고

맥이 소(小)한 것은 혈기가 다 허한 것이며

맥이 대(大)한 것은 혈기가 많은 것이고

맥이 세(細)하면서 미(微)한 것은 혈기가 다 허한 것이다[맥경].

寸口脈瞥瞥 如羹上肌者 陽氣微 言浮耳無力也

縈縈 如蜘蛛絲者 陰氣衰 言細而無力也

綿綿 如瀉漆之絶者 亡其血也(脈經).

촌구맥이 국 위에 뜬 고기처럼 둥둥 떠 있는 것같은 것은

양기(陽氣)가 약한 것인데 맥이 부(浮)하면서 힘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맥이 거미줄처럼 엉킨 것같은 것은

음기(陰氣)가 약한 것인데 맥이 세(細)하면서 힘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맥이 옻을 쏟을 때 옻방울이 대롱대롱 매달렸다가 끊어져 떨어지는 것같은 것은

혈이 적어진 것이다[맥경].

寸口脈微而澁 微者 衛氣不足 澁者 榮血不足

脈滑者 多血少氣 脈澁者 少血多氣(脈經).

촌구맥이 미(微)하거나 색( )하다면 미한 것은

위기(衛氣)가 부족한 것이며 색한 것은 영혈(榮血)이 부족한 것이다.

맥이 활(滑)한 것은 혈이 많고 기가 약한 것이며 맥이 색한 것은

혈이 적고 기가 센 것이다[맥경].

緊則傷寒 虛因傷暑 澁因傷燥 細緩傷濕 浮則傷風 弱爲傷火(醫鑑).
맥이 긴(緊)한 것은 한사(寒邪)에 상한 것이며

허(虛)한 것은 더위에 상한 것이며

색( )한 것은 조(燥)에 상한 것이고

세완한 것은 습()에 상한 것이며

()한 것은 풍한(風寒)에 상한 것이고

()한 것은 화()에 상한 것이다[의감].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怪脈][십괴맥]   (0) 2020.04.23
[諸死脈][제사맥]   (0) 2020.04.23
[諸脈綱領][제맥강령]  (0) 2020.04.22
[肥瘦長短 異脈][비수장단 이맥]   (0) 2020.04.22
[老少男女 異脈][노소남여 이맥]   (0) 2020.04.22

[諸脈綱領][제맥강령]
凡脈 博之則二十七種
約之則 浮 沈 遲 數 滑 澁 細 大 爲八要
又約之 則爲 浮 沈 遲 數 又至約 則爲浮中沈
是知 浮 沈 遲 數 四脈 眞千古要妙也(入門).
맥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27가지이고 간략해서 말을 하면

부(浮), 침(沈), 지(遲), 삭(數), 활(滑), 삽(澁), 세(細), 대(大) 등 8가지인데 이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더 간략해서 보면 부, 침, 지, 삭이고 더 간략해서 보면 부, 중(中), 침이다.
부, 침, 지, 삭은 옛날부터 제일 중요하게 보는 맥이다[입문].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死脈][제사맥]   (0) 2020.04.23
[諸脈病證][제맥병증]   (0) 2020.04.22
[肥瘦長短 異脈][비수장단 이맥]   (0) 2020.04.22
[老少男女 異脈][노소남여 이맥]   (0) 2020.04.22
[診有輕重][진유경중]   (0) 2020.04.22

[肥瘦長短 異脈][비수장단 이맥]
凡脈 肥人責浮 瘦人責沈

肥人當沈 今反浮 瘦人當浮 今反沈 故責之.
盖肥人肌膚厚 故脈沈,

瘦人肌膚薄 故脈浮(仲景).
살이 찐 사람은 맥이 부(浮)한 것이 잘못된 것이고

여윈 사람은 맥이 침(沈)한 것이 잘못된 것이다.
살이 찐 사람은 맥이 침해야 하는데 도리어 부하거나

여윈 사람은 맥이 부해야 하는데 도리어 침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살이 찐 사람은 피부가 두텁기 때문에 맥이 침하고

여윈 사람은 피부가 얇기 때문에 맥이 부하다[중경].
人肉厚 脈宜沈結 瘦人肉薄 脈宜浮長(入門).
살이 찐 사람은 맥이 침하면서 결(結)해야 하고

여윈 사람은 맥이 부(浮)하면서 장(長)해야 한다[입문].
人形短 脈亦短 形長 脈亦長 反此 則凶(入門).
키가 작으면 맥이 단(短)해야 하고 키가 크면 맥이 장(長)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나쁘다[입문].
人性緩 脈亦緩 性急 脈亦急 反 則病(正傳).
성미가 누그러졌으면 맥도 느리고 성미가 급(急)하면 맥도 급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병이다[정전].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脈病證][제맥병증]   (0) 2020.04.22
[諸脈綱領][제맥강령]  (0) 2020.04.22
[老少男女 異脈][노소남여 이맥]   (0) 2020.04.22
[診有輕重][진유경중]   (0) 2020.04.22
[脈絶不見][맥절불견]   (0) 2020.04.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