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脈][음양맥]
凡脈 代 浮 數 動 滑 此名 陽也

沈 澁 弱 弦 微 此名 陰也
凡陰病 見陽脈者 生 陽病 見陰脈者 死(仲景).
대(大), 부(浮), 삭(數), 동(動), 활(滑)한 맥은 양맥(陽脈)이고

침(沈), 색( ), 약(弱), 현(弦), 미(微)한 맥은 음맥(陰脈)이다.
음병 때 양맥이 나타나면 살 수 있으나 양병에 음맥이 나타나면 죽을 수 있다[중경].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互脈][호맥]   (0) 2020.04.21
[殘賊脈][잔진맥]   (0) 2020.04.20
[濇促結代 脈皆中止][색촉결대 맥개중지]   (0) 2020.04.20
[止代脈 定死期][지대맥 정사기]   (0) 2020.04.20
[南北政脈][남북정맥]   (0) 2020.04.20

[濇促結代 脈皆中止][색촉결대 맥개중지]
澁脈細而遲 往來難 時一止 然 三秋診 得澁 爲秋正脈

右手寸口浮短而澁 爲肺正脈 非病脈也(脈訣).
색맥( 脈)이란 가늘면서 더디게 뛰고 순조롭지 못하며 때로 한번씩 멎는 맥이다.

그러나 가을철에 색맥이 나타나는 것은 정상인 맥이다.

오른쪽 촌구(寸口)맥이 부단(浮短)하면서 색한 것은

폐(肺)의 정상맥이지 병이 있는 맥이 아니다[맥결].
脈來緩時一止復來 名曰結

脈來數時一止復來 名曰促

陽盛則促 陰盛則結 此皆病脈(仲景).
맥이 느리게 뛰면서 때로 한번씩 멎었다가 다시 뛰는 것을 결(結)맥이라고 하고

맥이 빠르게 뛰면서 때로 한번씩 멎었다가 다시 뛰는 것을 촉(促)맥이라고 한다.

양(陽)이 성해야 촉맥(促脈)이 나타나고

음(陰)이 성해야 결맥(結脈)이 나타나므로 이것은 다 병이 있는 맥이다[중경].
其促有五 一曰氣 二曰血 三曰飮 四曰食 五曰痰

但藏熱則脈促 以其血 痰飮 留滯不行故也 促 結 非惡脈也(三因).
촉맥이 나타나는 원인은 5가지인데

그 첫째는 기(氣), 둘째는 혈(血), 셋째는 음(飮), 넷째는 식(食), 다섯째는 담(痰)이다.

5장에 열(熱)이 있으면 촉맥(促脈)이 나타난다.

그것은 장(藏)에 열이 있으면 기혈(氣血)과 담음(痰飮)이 머물러 있으면서 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촉맥(促脈)과 결맥(結脈)이 좋지 못한 맥은 아니다[삼인].
促 結 二脈爲邪碍而歇止也 脈促 手足厥逆者 可灸之

脈乍結 手足厥冷者 當吐之 宜瓜蒂散(方見吐門)灸之 吐之 所以逐去其邪也(仲景). 
촉맥과 결맥 이 2가지 맥은 사기(邪氣)의 장애로 멎는 맥이다.

맥이 촉(促)하면서 팔다리가 싸늘할 때에는 뜸을 뜨는 것이 좋다.

맥이 잠깐동안 결(結)해지면서 팔다리가 싸늘할 때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좋은데

이런 데는 과체산(瓜 散, 처방은 구토문에 있다)를 쓴다.

뜸을 뜨거나 토하게 하는 것은 사기를 몰아내는 방법이다[중경].
不因病而羸瘦 脈有止 曰代 其脈

往來緩 動而中止 不能自還 因而復動 名曰代

代 眞死脈也(活人) 吐門 轉載
원인을 모르는 병으로 몸이 여위면서 맥이 때로 멎는 것을 대(代)맥이라고 한다.

대맥이란 천천히 뛰다가 멎기는 하는데 완전히 멎지 않고 곧 다시 뛰는 맥을 말한다.

그러나 대맥이 나타나면 정말 죽을 수 있다[활인].
代者 脾絶之脈 脾脈者 平和不可得見 衰乃見耳

如雀之啄 如屋漏水之下滴 是脾之衰見也(難經)
대맥은 비(脾)기가 끊어지면 나타나는 맥이다.

비의 맥은 비가 고르로울[平和] 때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비가 쇠약해지면 나타난다.

참새가 모이를 쫓는 모양 같거나

처마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양 같은 맥은 비가 쇠약한 맥이다[난경].
傷寒脈結 代 心動悸 灸甘草湯(方見下)主之
若暴損氣血 以至元氣不續而止 可治之以人蔘黃耆湯(方見脈部脈訣)
상한(傷寒) 때 결대맥(結代脈)이 나타나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는

구감초탕(灸甘草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만일 기혈(氣血)이 몹시 상하여 원기(元氣)가 이어지지 못해서 맥이 멎는 데는

인삼황기탕(人蔘黃 湯, 처방은 맥부분에 있다)을 쓴다[맥결].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殘賊脈][잔진맥]   (0) 2020.04.20
[陰陽脈][음양맥]   (0) 2020.04.20
[止代脈 定死期][지대맥 정사기]   (0) 2020.04.20
[南北政脈][남북정맥]   (0) 2020.04.20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止代脈 定死期][지대맥 정사기]
所謂五十營者 五藏皆受氣 持其寸口 數其至也
五十動而不一代者 五藏皆受氣也

四十動 一代者 一藏無氣
三十動一代者 二藏無氣

二十動一代者 三藏無氣
十動一代者 四藏無氣 不滿十動一代者 五藏無氣 予之短期(靈樞 根結 第五(法音)).
50영(五十營)이란 5장(五臟)이 다 기(氣)를 받아서 뛰는 맥을 말하는데

촌구(寸口)맥을 짚어서 뛰는 것을 세어본다.

50번 뛰면서 한번도 대(代)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5장이 다 기운을 받은 것이다.

40번 뛴 다음 한번 대맥(代脈)이 나타나는 것은 한 장기에 기운[氣]이 없는 것이다.

30번 뛴 다음 한번 대맥이 나타나는 것은 2개의 장기에 기운[氣]이 없는 것이다.

20번 뛴 다음 한번 대맥이 나타나는 것은 3개의 장기에 기운이 없는 것이다.

열번 뛴 다음 한번 대맥이 나타나는 것은 4개의 장기에 기운이 없는 것이다.

열번을 뛰지 못한 채 한번 대맥이 나타나는 것은 5장에 기운이 다 없는 것이므로

오래 살지 못한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영추].
人吸者 隨陰入 呼者 因陽出

今吸不能至腎 至肝而還 故知一藏無氣者 腎氣先盡也(靈樞).
들이쉬는 숨은 음(陰)을 따라 들어가고 내쉬는 숨은 양(陽)을 따라 나간다.

들이쉬는 숨이 신(腎)에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간(肝)에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것은

1개의 장기에 기운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기(腎氣)가 먼저 다 없어진 것이다[영추].  
太衍 以五十數爲極 滿五十動而一至 或不至者 無病也

四十動 後一至者 是腎先絶 四年而死

三十動後一至 腎 肝 無氣 三年而死

二十動後一至 腎 肝 心 無氣 二年而死

十五動後一至 腎 肝 心 脾 無氣 一年而死(入門).
태연(太衍)은 50번을 기준으로 하였다.

50번 뛴 다음에는 한번 멎거나 멎지 않아도 병이 없는 것이다.

40번 뛴 다음 한번 멎는 것은 신기(腎氣)가 끊어진 것이므로

4년 만에 죽을 수 있다.

30번 뛴 다음 한번 멎는 것은 신(腎)과 간(肝)에 기운이 없는 것이므로

3년 만에 죽을 수 있다.

20번 뛴 다음 한번 멎는 것은 신(腎), 간(肝), 심(心)에 기운이 없는 것이므로

2년만에 죽을 수 있다.

15번 뛴 다음 한번 멎는 것은 신(腎), 간(肝), 심(心), 비(脾)에 기운이 없으므로

1년만에 죽을 수 있다[입문].
一動一止 兩日死 兩動一止 四日死 三動一止 六日死

四動一止 八日死 五動一止 十日死 十動一止 一年死(入門).
한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2일 만에 죽을 수 있고

두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4일 만에 죽을 수 있으며

세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6일만에 죽을 수 있고

네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8일 만에 죽을 수 있다.

다섯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10일 만에 죽을 수 있고

열번 뛰고 한번 멎는 것은 1년 만에 죽을 수 있다[입문].
代者 止也 一藏絶 他藏代至 眞死脈也(三因).
대(代)라는 것은 멎는다는 말이다.

대맥(代脈)이란 1개 장기의 기운이 끊어져서 다른 장기의 기운이

그것을 대신하는 맥이므로 정말 죽을 수 있는 맥이다[삼인].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脈][음양맥]   (0) 2020.04.20
[濇促結代 脈皆中止][색촉결대 맥개중지]   (0) 2020.04.20
[南北政脈][남북정맥]   (0) 2020.04.20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損至脈][손지맥]  (0) 2020.04.19

[南北政脈][남북정맥]
詳見運氣 
자세한 것은 운기문(運氣門)에 있다.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濇促結代 脈皆中止][색촉결대 맥개중지]   (0) 2020.04.20
[止代脈 定死期][지대맥 정사기]   (0) 2020.04.20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損至脈][손지맥]  (0) 2020.04.19
[眞臟脈][진장맥]   (0) 2020.04.19

[離經脈][이경맥]
一呼六至 曰離經 一呼一至亦曰離經 經者 常也

經脈周而復始 從初起之經再起 今因胎墜 胃脈已離常絡之處

不從所起之經在氣 故曰離經(入門).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여섯번 뛰는 것을

이경맥(離經脈)이라고 하는데 한번 뛰는 것도 이경맥이라고 한다.

경(經)이란 말은 정상[常]이란 말이다.

경맥(經脈)을 한 바퀴 돌고는 처음 시작한데서부터 다시 돌기 시작하는 것이 정상 맥이다.

태아가 나올 때에는 위맥(胃脈)이 정상적으로 연락되는 곳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처음 시작한 경맥에서부터 다시 돌지 못한다.

그러니 이것은 정상과 어긋나는 맥이다.

그러므로 이경맥이라고 한다[입문].
一呼一至 曰損脈離經 一呼六至曰至脈離經 離經二脈

惟將産婦及陰陽易病 有之(滑人).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손맥(損脈)의 이경맥(離經脈)이라고 하고

여섯번 뛰는 것을 지맥(至脈)의 이경맥(離經脈)이라고 한다.

이 2가지 이경맥은 오직 해산하려고 할 때와 음양역병(陰陽易病) 때에만 나타난다[활인].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止代脈 定死期][지대맥 정사기]   (0) 2020.04.20
[南北政脈][남북정맥]   (0) 2020.04.20
[損至脈][손지맥]  (0) 2020.04.19
[眞臟脈][진장맥]   (0) 2020.04.19
[脈以胃氣爲本][맥이위기위본]  (0) 2020.04.19

[損至脈][손지맥]  
脈有損至 何謂也

然 至之脈

一呼再至曰平 三至曰離經 四至曰奪精 五至曰死 六至曰命絶 此至之脈也

何謂損

一呼一至曰離經 二呼一至曰奪精 三呼一至曰死 四呼一至曰命絶 此損之脈也

至脈從下上 損脈從上下(難經) 
맥에는 손맥(損脈)과 지맥(至脈)이 있다는데 그것은 어떤 맥인가.

지맥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한번 숨을 내쉴 동안에 두번 뛰는 것을 평(平)맥이라고 하고

세번 뛰는 것을 이경(離經)이라고 하고 네번 뛰는 것을 탈정(奪精)이라고 하며

다섯번 뛰는 것을 죽을 수 있는 맥[死]이라고 하고

여섯번 뛰는 것을 목숨이 끊어질 맥[命絶]이라고 하는데

이런 맥들이 지맥(至脈)이다.

손맥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한번 숨을 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이경이라고 하고

두번 숨을 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탈정이라고 하며

세번 숨을 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죽을 수 있는 맥이라고 하고

네번 숨을 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목숨이 끊어질 맥이라고 하는 데

이런 맥들이 손맥(損脈)이다.

지맥은 아래에서부터 올라오고 손맥은 위로부터 내려간다[난경].
脈來一呼再至 一吸再至 不大不小曰平

一呼三至 一吸三至 爲得病 一呼四至 一吸四至 病欲甚

一呼五至 一吸五至 其人當困

脈有大小 則難治

一呼六至 一吸六至 爲死 脈沈細 夜死 浮大 晝死(難經).
맥(脈)이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두번 뛰고 들이쉴 동안에 두번 뛰면서

크지도 작지도 않은 맥을 평맥(平脈)이라고 한다.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세번 뛰고 한번 들이쉴 동안에 세번 뛰는 것은 병이 있는 것이고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네번 뛰고 한번 들이쉴 동안에 네번 뛰는 것은 병이 심해진 것이다.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다섯번 뛰고 한번 들이쉴 동안에 다섯번 뛰는 것은

병으로 노곤한 것[困脈]이다.

맥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여섯번 뛰고 한번 들이쉴 동안에 여섯번 뛰는 것은

죽을 수 있는 맥[死脈]이다. 맥

이 침세(沈細)하면 밤에 죽을 수 있고 부대(浮大)하면 낮에 죽을 수 있다[난경].
一呼一至 一吸一至 名曰損人 雖能行 猶當着床

盖血氣皆不足也

再呼一至 再吸一至 名曰無魂

無魂者 當死人雖能行 名曰行屍(難經)
숨을 한번 내쉴 동안에 한번 뛰고 한번 들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은 손맥(損脈)인데

이런 맥이 나타나는 사람은 걸어다니기는 하나 곧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된다.

이것은 혈기(血氣)가 부족하여 생긴 것이다.

숨을 두번 내쉴 동안에 한번 뛰고 두번 들이쉴 동안에 한번 뛰는 것을 흔히

무혼(無魂)맥이라고 한다.

무혼맥이 나타나면 반드시 죽는다.

이런 맥이 나타나는 사람이 걸어다니는 것을 보고 행시(行屍)라고 한다[난경].
上部有脈 下部無脈 其人當吐 不吐者死

上部無脈 下不有脈 雖困 無能爲害 所以然者

人之有尺 比如樹之有根 枝葉雖枯槁 根本將自生

脈有根本 人有元氣 故知不死(難經).
촌부[上部]맥만 뛰고 척부[下部]맥이 뛰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토하게 해야 한다.

토하게 하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

촌부맥이 뛰지 않고 척부맥만 뛸 때에는 좀 피곤은 하나 해롭지는 않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척부맥이 뛰는 것을 나무에 비교해 보면 나무에서 기본인 뿌리가 든든하면

가지와 잎이 비록 시든다고 해도 뿌리에서 다시 움이 트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니 이것은 맥의 근본인 원기(元氣)가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죽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난경].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北政脈][남북정맥]   (0) 2020.04.20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眞臟脈][진장맥]   (0) 2020.04.19
[脈以胃氣爲本][맥이위기위본]  (0) 2020.04.19
[脈當有神][맥당유신]  (0) 2018.02.21

[眞臟脈][진장맥] 
眞肝脈至 中外急 如循刀刃 責責然 如按琴瑟絃,

眞心脈至 堅而博 如循薏苡子累累然,

眞肺脈至 大而虛 如以毛羽中人膚,

眞腎脈至 搏而絶 如指彈石辟辟然,

眞脾脈至 弱而乍數乍疎

諸眞臟脈見 皆死不治也(內經 玉機眞藏論篇 第十九). 
진간맥(眞肝脈)이란 손가락을 살짝 누르나 힘을 주어 누르나 칼날이 닿는 것같이

날카롭고 부드러운 맛이 없으며 마치 거문고 줄처럼 팽팽하고 톡톡 치는 것이다.

진심맥(眞心脈)이란 딴딴하고 톡톡 치면서 돌돌 굴러가는 율무알을 만지는 것같은 것이다.

진폐맥(眞肺脈)이란 대(大)하면서 허(虛)하여 피부에 새털이 닿는 것같은 것이다.

진신맥(眞腎脈)이란 힘있게 뛰다가 끊어지고 손가락으로 돌을 튕기는 것같이 딴딴한 것이다.

진비맥(眞脾脈)이란 맥이 약하면서 잠시 빨리 뛰다 잠시 늦게 뛰다 하는 것이다.

여러 가지 진장맥이 나타나면 다 죽을 수 있다[내경].
楊上善云 無餘物和雜 故名曰 眞也 如弦 是肝脈也 微弦爲平和

微弦謂二分胃氣 一分弦氣 俱動爲微弦 三分幷 是弦而無胃氣 爲見眞藏 餘四藏準此(太素).
양상선(楊上善)이 “다른 맥이 섞여 나타나지 않는 것을 진맥(眞脈)이라고 한다.

현(弦)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3분의 2는 위기(胃氣)이고 3분이 1은 현기(弦氣)이면서 이 2가지가 함께 나타나는 것을

약간 현하다고 한다.

3분이 다 현하고 위기가 조금도 없는 것은 진장맥이다.

나머지 장기도 이와 같다”고 하였다[태소].
黃帝曰 見眞藏曰死 何謂也

岐伯曰 五藏者皆稟氣於胃 胃者五藏之本也

藏氣者不能者致于手太陰 必因於胃氣 乃至于手太陰也

故五藏 各以其時自爲 而至于手太陰也 邪氣勝者 精氣衰也

病甚者 胃氣不能與之俱至于手太陰 故眞藏之氣 獨見,

獨見者 病勝藏也 故曰死(內經 玉機眞藏論篇 第十九).
황제(黃帝)가 “진장맥이 나타나면 왜 죽을 수 있는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5장은 다 위(胃)에서 기를 받는다.

그러므로 위가 5장의 기본으로 된다.

5장의 기가 제 힘만으로는 수태음(水太陰)촌구까지 가지 못한다.

반드시 위기의 도움을 받아야 수태음촌구까지 간다.

그러나 5장의 기(氣)도 각기 자기가 왕성하는 때에는 자기 힘으로 수태음촌구까지 간다.

사기(邪氣)가 성하다는 것은 정기(精氣)가 쇠약하기 때문이고

병이 심해지는 것은 위기(胃氣)가 다른 장기의 기운과 같이 수태음촌구까지 가지 못하여

진장기(眞藏氣)만 단독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단독으로 나타나는 것은

병이 장기[藏]를 이긴 것이기 때문에 죽을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내경].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損至脈][손지맥]  (0) 2020.04.19
[脈以胃氣爲本][맥이위기위본]  (0) 2020.04.19
[脈當有神][맥당유신]  (0) 2018.02.21
[天和六脈][천화육맥]  (0) 2017.07.15

[脈以胃氣爲本][맥이위기위본]
胃氣者 中氣也 不大 不細 不長 不短 不浮 不沈 不滑 不澁 應手冲和 難以名狀者 爲胃氣
有胃氣則有力 有力則有神 無胃氣則無力 無力則無神 有神則生 無神則死(入門).
위기(胃氣)는 중기(中氣)이므로 대(大)하지도 않고 세(細)하지도 않으며

장(長)하지도 않고 단(短)하지도 않으며 부(浮)하지도 않고 침(沈)하지도 않으며

활(滑)하지도 않고 색하지도 않아서

손에 닿는 맛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이 잘 조화된 것을 위기라고 한다.
위기가 있으면 힘이 있고 힘이 있으면 생기[神]가 있다.
위기(胃氣)가 없으면 힘이 없고 힘이 없으면 생기가 없다.

생기가 있으면 살고 생기가 없으면 죽는다[입문].
人以水穀爲本 故人絶水穀則死 脈無胃氣 亦死
所謂 無胃氣者 但得眞臟脈 不得胃氣也(內經 平人氣象論篇 第十八).
사람에게는 음식물이 기본이므로 음식을 먹지 못하면 죽는데 위기(胃氣)가 없어도 죽는다.
위기가 없다는 것은 진장맥(眞藏脈)만 나타나서 위기를 알아볼 수 없다는 뜻이다[내경].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離經脈][이경맥]   (0) 2020.04.20
[損至脈][손지맥]  (0) 2020.04.19
[眞臟脈][진장맥]   (0) 2020.04.19
[脈當有神][맥당유신]  (0) 2018.02.21
[天和六脈][천화육맥]  (0) 2017.07.15

[五脈應象][오맥응상]
肝脈弦 心脈鉤 脾脈代 肺脈毛 腎脈石
是謂五藏之脈(內經 宣明五氣篇 第二十三)
간맥은 현(弦)하고 심맥은 구(鉤)하며

비맥은 대(代)하고 폐맥은 모(毛)하며 신맥은 석(石)하다.
이것이 5장(五臟)의 맥이다[내경].

'[雜病篇] > [辨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勞所傷][오로소상]  (0) 2020.04.19
[五藏所主][오장소주]  (0) 2020.04.19
[五藏所藏][오장소장]   (0) 2020.04.19
[五邪所見][오사소견]   (0) 2020.04.19
[五邪所亂][오사소란]   (0) 2020.04.19

[五勞所傷][오로소상]
久視傷血 久臥傷氣 久坐傷肉 久立傷骨 久行像筋

是謂五勞所傷(內經 宣明五氣篇 第二十三)
지나치게 오랫동안 보면 혈(血)이 상하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 기(氣)가 상하며

지나치게 오랫동안 앉아 있으면 살[肉]이 상하고

지나치게 오랫동안 서 있으면 뼈가 상하며

지나치게 오랫동안 걸어다니면 힘줄이 상한다.

이것을 5로소상(五勞所傷)이라고 한다[내경].

'[雜病篇] > [辨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脈應象][오맥응상]   (0) 2020.04.19
[五藏所主][오장소주]  (0) 2020.04.19
[五藏所藏][오장소장]   (0) 2020.04.19
[五邪所見][오사소견]   (0) 2020.04.19
[五邪所亂][오사소란]   (0) 2020.04.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