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少男女 異脈][노소남여 이맥]
老者之脈 陽羸陰强 爲順,
陰弱陽强 爲逆 陰陽謂左右也(直指).
늙은이의 맥(脈)은 양(陽)이 약하고 음(陰)이 강한 것은 순증(順證)이고
음이 약하고 양이 강한 것은 역증(逆證)이다.
여기서 음과 양이란 바로 왼쪽과 오른쪽을 말하는 것이다[직지].
大人得小兒脈 不治(直指).
어른에게서 어린이의 맥이 나타나는 것은 치료할 수 없다[직지].
小兒之脈 一息六七至 爲平和 八九至 爲熱 四五至 爲寒(丹心).
어린이의 맥이 한번 숨쉴 동안에 예닐곱번 뛰는 것은 평순[平]한 맥이고
여덟번에서 아홉번 뛰는 것은 열증[熱]이며 네다섯번 뛰는 것은 한증[寒]이다[단심].
男左女右者 地之定位也.
盖人立形於地 故從地化也
男子左脈强而右脈弱 女子右脈强而左脈弱 男子得陽氣多
故左脈盛 女子得陰氣多
故右脈盛 男以左尺 爲精府 女以右尺 爲血海 此天地之神化也(入門).
남자는 왼쪽 맥을 주로 보고 여자는 오른쪽 맥을 주로 보는 것은 땅을 보고 정한 것이다.
사람은 땅에 서는 까닭에 땅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남자는 왼쪽 맥이 강하고 오른쪽 맥이 약하며 여자는 오른쪽 맥이 강하고 왼쪽 맥이 약하다.
남자는 양기(陽氣)를 많이 받기 때문에 왼쪽 맥이 성(盛)하고
여자는 음기를 많이 받기 때문에 오른쪽 맥이 성하다.
남자는 왼쪽 척부[尺]에 정력관계가 나타나고
여자는 오른쪽 척부에 충맥[血海]이 나타난다. 이것은 자연법칙과 같다[입문].
肺主氣居右 男以氣爲主
男子病右脈 充於左者 有胃氣也 病雖重 可治,
心主血居左 女以血爲主
女子病左脈 充於右者 有胃氣也 病雖重 可治(丹心).
폐(肺)가 기(氣)를 주관하는데 그 상태는 오른쪽 맥에 나타난다.
남자는 기(氣)가 기본이다.
고로 남자가 병에 걸렸을 때 오른쪽 맥이 왼쪽 맥보다 충실하면 위기(胃氣)가 있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병이 아무리 중하다고 하여도 능히 치료할 수 있다.
심(心)은 혈(血)을 주관하는데 그 상태는 왼쪽 맥에 나타난다.
여자는 혈(血)이 기본이다.
고로 여자가 병에 걸렸을 때 왼쪽 맥이 오른쪽 맥보다 충실하면 위기(胃氣)가 있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병이 아무리 중하다고 하여도 치료할 수 있다[단심].
室女 尼冠 脈當濡而弱(東垣).
처녀나 혼자 사는 여자의 맥은 반드시 유(濡)하면서 약하다[동원].
'[雜病篇] > [診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脈綱領][제맥강령] (0) | 2020.04.22 |
---|---|
[肥瘦長短 異脈][비수장단 이맥] (0) | 2020.04.22 |
[診有輕重][진유경중] (0) | 2020.04.22 |
[脈絶不見][맥절불견] (0) | 2020.04.21 |
[脈從 病反][맥종병반]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