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用藥凡例][용약범예]
凡諸風 以防風爲君 解利, 傷風 以防風爲君 白朮 甘草爲佐 是風宜辛散也.
모든 풍습[風]에는 방풍(防風)을 주약으로 하고 풍사[風]에 상(傷)한 것을 풀리게 하는 데도

방풍을 주[君]약으로 하여 횐삽주(백출)와 감초를 좌(佐)약으로 해야 한다.

왜냐하면 풍사는 맛이 매운 약으로 발산시켜야 좋기 때문이다.
凡解利傷寒 以甘草爲君 防風 白朮爲佐 是寒宜甘發也.
한사[寒]에 상한 것을 낫게 하는 데는

감초를 주약으로 하고 방풍, 흰삽주(백출)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왜냐하면 한사[寒]는 맛이 단 약으로 발산시켜야 좋기 때문이다.
凡眼暴發赤腫 以防風 黃芩爲君 以瀉火 黃連 當歸 爲佐 以和血

眼久病昏暗 以熟地黃 當歸爲君 羌活 防風爲臣 甘菊 甘草爲佐.
눈이 갑자기 벌겋게 붓는 병에는 방풍, 속썩은풀(황금)을 주약으로 하여

화(火)를 사(瀉)하고 황련과 당귀를 좌약으로 하여 혈[血]을 조화시켜야 한다.

오랜 눈병으로 눈앞이 흐린 데는 찐지황(숙지황), 당귀를 주약으로 하고

강호리(강활)와 방풍을 신(臣)약으로 하여 단국화(감국)와 감초를 좌약으로 해서 써야 한다.
凡痢疾 腹痛 以白芍藥 甘草爲君 當歸 白朮爲佐.

水瀉 茯笭白朮爲君 苟藥 甘草爲佐.
이질(痢疾)로 배가 아픈 데는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감초를 주약으로 하고

당귀와 흰삽주(백출)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물 같은 설사가 나는 데는 흰솔풍령(백복령)과 흰삽주(백출)를 주약으로 하고

감초와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좌약으로 해서 써야 한다.
凡嗽以五味子爲君 痰以半夏 喘以阿膠 爲佐 熱以黃芩爲佐.
모든 기침에는 오미자를 주약으로 하는데

담이 있으면 끼무릇(반하), 숨이 차면 갖풀(아교)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열(熱)이 있으면 속썩은풀(황금)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凡瘧 以柴胡爲君.
모든 학질에는 시호를 주약[君]으로 해야 한다.
凡小便不利 以黃栢知母爲君 茯笭澤瀉爲佐.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는

황백과 지모를 주약으로 하고 흰솔풍령(백복령)과 택사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凡下焦有濕 以草龍膽 防己爲君 甘草 梢黃栢爲佐.
하초(下焦)에 습(濕)이 있으면 용담초, 방기를 주약으로 하고

감초(가는 뿌리)와 황백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
凡痔漏 以蒼朮 防風爲君 甘草 苟藥爲佐.
치루(痔漏)에는 삽주(창출)와 방풍을 주약으로 하고 감

초와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좌약으로 해야 한다.
凡諸瘡 以黃連 當歸 爲君 甘草 黃芩爲佐(東垣)
모든 헌데[瘡]에는 황련과 당귀를 주약으로 하고 속썩은풀(황금)을 좌약으로 해야 한다[동원].


[十八劑][십팔제]
輕劑 淸劑 解劑 緩劑 寒劑 調劑 甘劑

火劑 暑劑 淡劑 濕劑 奪劑 補劑 平劑

榮劑 澁劑 溫劑 和劑 是爲十八也(紺珠).
경제(輕劑), 청제(淸劑), 해제(解劑), 완제(緩劑), 한제(寒劑), 조제(調劑), 감제(甘劑),

화제(火劑), 서제(暑劑), 담제(淡劑), 습제(濕劑), 탈제(奪劑), 보제(補劑), 평제(平劑),

영제(榮劑), 삽제(澁劑), 온제(溫劑), 화제(和劑) 등 이것이 18제이다[갑주].
輕劑 防風通聖散 發表 方見風門
경제(輕劑)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처방은 풍문에 있다) 같은 것들인데

발산(發散)시키는 약이다.
淸劑 凉膈散 績熱 方見火門
청제(淸劑)는 양격산(凉膈散,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열이 몰린[積熱] 데 쓴다.
解劑 小柴胡湯 和解 方見寒門
해제(解劑)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화해(和解)시키는 데 쓴다.
緩劑 大柴胡湯 裏熱 方見寒門
완제(緩劑)는 대시호탕(大柴胡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이(裏)에 열(熱)이 있을 때 쓴다.
寒劑 大承氣湯 痞實滿 方見寒門
한제(寒劑)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트직[ ]거나 실(實)하거나 그득(滿)한 데 쓴다.
調劑 調胃承氣湯 胃熱 方見寒門
조제(調劑)는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위(胃)에 열(熱)이 있는 데 쓴다.
甘劑 天水散 虛熱 方見暑門
감제(甘劑)는 천수산(天水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허열(虛熱)에 쓴다.
火劑 黃連解毒湯 瀉火 方見寒門
화제(火劑)는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화(火)를 사(瀉)하는 데 쓴다.
暑劑 白虎湯 中暑 方見寒門
서제(暑劑)는 백허탕(白虛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더위 먹은 데 쓴다.
淡劑 五苓散 利水 方見寒門
담제(淡劑)는 오령산(五 散,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오줌을 나가게 하는 데 쓴다.
濕劑 三花神祐丸 泄水 方見下門
습제(濕劑)는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 처방은 설사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수분을 몰아내는 데 쓴다.
奪劑 三黃丸 瀉熱 方見火門
탈제(奪劑)는 삼황환(三黃丸,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열(熱)을 내리는 데 쓴다.
補劑 防風當歸飮子 補虛 方見火門
보제(補劑)는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처방은 화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허(虛)한 것을 보하는데 쓴다.
平劑 四君子湯 氣虛 方見氣門
평제(平劑)는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기(氣)가 허(虛)한 데 쓴다.
榮劑 四物湯 血虛 方見血門
영제(榮劑)는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혈이 허(虛)한 데 쓴다.
澁劑 胃風湯 血痢 方見大便
삽제(澁劑)는 위풍탕(胃風湯,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혈리(血痢)에 쓴다.
溫劑 理中湯 中寒 方見寒門
온제(溫劑)는 이중탕(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같은 것들인데

중한(中寒)에 쓴다.
和劑 平胃散 和爲 方見五藏
화제(和劑)는 평위산(平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같은 것들이다.

위(胃)를 조화[和]시키는 데 쓴다.

[治病先去根][치병선거근]
治病之法 先去病根 然後可用收澁.

若澣衣 然先去垢裏 然後可加粉餙也(丹心).
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먼저 병의 뿌리를 없앤 다음 수렴[收澁]하는 약을 쓰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옷을 빨 때 먼저 때를 뺀 다음 빨아서 풀을 하고 다듬이질하는 것과 같다[단심].
張載人曰 養生 與攻病 本自不同

今人以補劑療病 宜乎不效也(綱目).
장대인(張戴人)이 “양생(養生)하는 것과 병을 치료하는 것을 원래는 같이 할 수 없는 것인데

요즘 사람들은 보(補)하는 약으로 병을 치료하니 효과가 있을 수 없다”고 하였다[강목].

[風熱燥濕寒治法][풍열조습한치법]
風屬陽 善行數變 自外而入 以鬱正氣.

故治風 多行氣開表藥.
又風入久變熱 熱能生痰 宜用祛風化痰藥.

풍사[風]는 양(陽)에 속하는데 잘 돌아다니고 자주 변하며

밖으로부터 들어와서 정기(正氣)를 몰리게 한다.

그러므로 풍증[風]을 치료할 때에는 기(氣)를 잘 돌게 하고

표(表)를 발산시키는 약을 흔히 쓰는 것이다.

또한 풍사가 들어와서 오랫동안 있으면 열(熱)이 생기는데 열은 담(痰)을 생기게 한다.

이런 때에는 풍사를 몰아내고 담을 삭이는 약을 써야 한다.

又熱極生風 風能燥液 宜用淸熱潤燥藥

治熱以寒 寒藥屬陰 故治熱多陰藥

또는 열이 극도에 달하면 풍이 생기는데 풍은 진액[液]을 마르게 하므로

이런 때에는 열을 내리고[淸] 마른 것을 눅여 주는[潤] 약을 써야 한다.

열증[熱]은 성질이 찬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성질이 찬약은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열증을 치료할 때에는 흔히 음증약[陰藥]을 쓴다.
又鬱火宜發散 宜用風門藥.

火鬱則發之 宜升陽散火.

또한 울화(鬱火) 때에는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풍증에 쓰는 약을 써야 한다.

화울(火鬱) 때에는 발산시켜야 하는데

양기(陽氣)를 끌어올리고 화(火)를 헤쳐지게[散] 해야 한다.
濕因氣虛 不能運化 水穀而生 宜用補氣除濕藥

又宜溫中消導藥 行濕利大小便藥.

습(濕)은 기(氣)가 허(虛)하여 음식을 소화시켜 내려보내지 못하면 생기므로

이런 데는 기를 보(補)하고 습(濕)을 없애는 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또 속을 덥히고 소화시키는 약과 수습[濕]을 잘 돌게 하는 약,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燥因血虛而然 盖血虛生熱 熱生燥 是也

宜解熱生津藥 及滋血潤燥藥.

조증[燥]은 혈(血)이 허(虛)하여 생긴다.

즉 혈이 허하면 열이 생기는데 열이 조증을 생기게 한다.

이런 데는 열을 내리고 진액[津]을 생기게 하는 약과

혈을 불쿠어 주고[滋] 마른 것을 눅여 주는[潤] 약을 써야 한다.

治寒以熱 熱藥屬陽 故治寒多陽藥 外寒宜汗散 宜用風門藥 寒從汗解也(古庵).

한증[寒]은 성질이 뜨거운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성질이 뜨거운 약은 양(陽)에 속하므로 한증을 치료하는 데는 흔히 양증약[陽藥]을 쓴다.

겉이 차면 땀을 내어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풍증(風證)에 쓰는 약을 써서 한사(寒邪)가 땀을 따라 풀려 나가게 해야 한다[고암].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八劑][십팔제]   (0) 2020.04.28
[治病先去根][치병선거근]  (0) 2020.04.28
[表裏虛實藥][표의허실약]   (0) 2020.04.28
[病有不可補者四][병유불가보자사]   (0) 2020.04.28
[治病八療][치병팔요]   (0) 2020.04.28

[表裏虛實藥][표의허실약]
麻黃 瀉表之實 桂枝 補表之虛 硝黃 瀉裏之實 薑附 補裏之虛(雲岐).
마황은 표(表)가 실(實)한 것을 사(瀉)하고 계지는 표가 허(虛)한 것을 보한다.
망초와 대황은 이(裏)가 실(實)한 것을 사(瀉)하고

건강, 부자는 이(裏)가 허(虛)한 것을 보한다[운기].
表虛 宜桂枝湯方見寒門 表實 宜麻黃湯方見寒門

裏虛 宜小建中湯方見虛勞

裏實 宜調胃承氣湯方見寒門 (東垣).
표(表)가 허한 데는 계지탕(桂枝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를 쓰지 말고

마황탕(麻黃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를 쓴다.
이(裏)가 허한 데는 소건중탕(小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이(裏)가 실한 데는 조위중기탕(調胃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동원].

[病有不可補者四][병유불가보자사]
乃瘧疾 狂疾 水氣 脚氣也(醫設).
학질( 疾), 광질(狂疾), 수기(水氣), 각기(脚氣)이다[의설].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熱燥濕寒治法][풍열조습한치법]   (0) 2020.04.28
[表裏虛實藥][표의허실약]   (0) 2020.04.28
[治病八療][치병팔요]   (0) 2020.04.28
[食療治病][식료치병]   (0) 2020.04.28
[肥瘦用藥][비수용약]   (0) 2020.04.27

[治病八療][치병팔요]
經曰 病有八要 不知其要 病將安去.

乃表裏 寒熱 虛實 邪正 而已(入門).
내경에 “병을 치료하는 데는 8가지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을 알지 못하면 병을 낫게 할 수 없다”고 씌어 있다.
그것은 표리(表裏), 한열(寒熱), 허실(虛實), 사기(邪氣)와 정기(正氣)이다[입문].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表裏虛實藥][표의허실약]   (0) 2020.04.28
[病有不可補者四][병유불가보자사]   (0) 2020.04.28
[食療治病][식료치병]   (0) 2020.04.28
[肥瘦用藥][비수용약]   (0) 2020.04.27
[勿傷胃氣][물상위기]   (0) 2020.04.27

[食療治病][식료치병]
孫眞人曰 醫者 先曉病源 知其所犯 以食治之

食療不愈 然後命藥

不特老人小兒相宜 凡驕養 及久病 厭藥窮乏 無財者

俱宜以飮食 調治之也(入門). 
손진인(孫眞人)이 “의사가 먼저 병의 원인을 알아낸 다음에는

그 원인에 따라 음식물로 치료해야 한다.

음식물로 치료하여 낫지 않으면 약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늙은이나 어린이만 이렇게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잘 먹는사람,

오랜 병으로 약을 싫어하는 사람, 가난한 사람 등은

다 음식을 조절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다[입문].

[肥瘦用藥][비수용약] 
肥人 氣虛多痰 宜豁痰補氣,

瘦人 血虛有火 宜瀉火滋陰(入門).
살이 찐 사람은 기(氣)가 허(虛)하고 담(痰)이 많으므로 담을 삭이고[豁] 기(氣)를 보해야 한다. 여윈 사람은 혈이 허하고 화가 있으므로 화(火)를 사(瀉)하고 음(陰)을 보[滋]해야 한다[입문].
肥人 補氣 面白 補氣,~中略~

面白人 不可多服發散藥 以其氣虛 而又虧之也.

面黑人 不可多服黃耆 以其氣實 而又補之也.

氣實人 因服黃耆過多而喘者 三拗湯(方見咳嗽)以瀉之(丹心).
살이 찐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하고 얼굴이 흰 사람도 기를 보해야 한다[단심].
얼굴이 흰 사람은 발산(發散)시키는 성질이 있는 약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허(虛)한데 더 허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얼굴빛이 검은 사람은 단너삼(황기)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래부터 기(氣)가 실(實)한데 더 보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기가 실한 사람이 단너삼(황기)을 많이 넣어서 숨이 차하면

삼요탕(三拗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을 써서 사(瀉)해야 한다[단심].    


[勿傷胃氣][물상위기]
凡治雜病 先調其氣 次療諸疾 無損胃氣 是其要也.

若血受病 亦先調氣 調氣不調 則血不行

又氣爲之綱 卽夫也 夫不唱 婦不隨也(東垣). 
잡병(雜病)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기(氣)를 조화시킨 다음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해야 위기(胃氣)가 상하지 않게 된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다.

만약 혈(血)에 병이 생겼으면 먼저 기(氣)를 고르게 해야 한다.

그것은 기가 고르지[調] 못하면 혈(血)이 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는 강령[綱]이므로 가정에서 남편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남편이 이끌지 않으면 처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과 같이

기가 돌지 못하면 혈이 돌지 못한다[동원].
凡攻擊之藥 有病則病受之 病邪輕 藥力重 則胃氣受傷.

夫胃氣者 淸純沖和之氣 惟與穀肉菜果 相宜 藥石 皆偏勝之氣

雖蔘芪 性亦偏 況攻擊之藥乎(東垣).
치는[攻擊] 성질이 있는 약은 병이 있을 때 쓰면 병이 받게[受] 되지만

병기[病邪]가 경(輕)할 때 쓰면 약 기운이 세기 때문에 위기(胃氣)가 상하게 된다.

위기(胃氣)는 맑고 순수하고 잘 조화된 기운인데

이 기운은 오직 곡식, 고기, 채소, 과실 등에 의해서 유지되고 보충된다.

약은 다 치우치는 기운[偏勝之氣]이 있다.

인삼이나 단너삼(황기) 같은 약도 치우치는[偏] 기운이 있는데

치는[攻擊] 약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동원].
凡疾病 量人素氣 弱者 當去苦寒之藥 多加人蔘黃芪甘草之類.

瀉火而先補元氣(東垣).
환자의 몸을 보아서 본래부터 기(氣)가 약한 사람이면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은 빼고

인삼, 단너삼(황기), 감초 같은 약을 많이 넣어 써서 먼저 원기(元氣)를 보(補)하면서

화를 사(瀉)해야 한다[동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