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熱燥濕寒治法][풍열조습한치법]
風屬陽 善行數變 自外而入 以鬱正氣.

故治風 多行氣開表藥.
又風入久變熱 熱能生痰 宜用祛風化痰藥.

풍사[風]는 양(陽)에 속하는데 잘 돌아다니고 자주 변하며

밖으로부터 들어와서 정기(正氣)를 몰리게 한다.

그러므로 풍증[風]을 치료할 때에는 기(氣)를 잘 돌게 하고

표(表)를 발산시키는 약을 흔히 쓰는 것이다.

또한 풍사가 들어와서 오랫동안 있으면 열(熱)이 생기는데 열은 담(痰)을 생기게 한다.

이런 때에는 풍사를 몰아내고 담을 삭이는 약을 써야 한다.

又熱極生風 風能燥液 宜用淸熱潤燥藥

治熱以寒 寒藥屬陰 故治熱多陰藥

또는 열이 극도에 달하면 풍이 생기는데 풍은 진액[液]을 마르게 하므로

이런 때에는 열을 내리고[淸] 마른 것을 눅여 주는[潤] 약을 써야 한다.

열증[熱]은 성질이 찬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성질이 찬약은 음(陰)에 속하기 때문에 열증을 치료할 때에는 흔히 음증약[陰藥]을 쓴다.
又鬱火宜發散 宜用風門藥.

火鬱則發之 宜升陽散火.

또한 울화(鬱火) 때에는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풍증에 쓰는 약을 써야 한다.

화울(火鬱) 때에는 발산시켜야 하는데

양기(陽氣)를 끌어올리고 화(火)를 헤쳐지게[散] 해야 한다.
濕因氣虛 不能運化 水穀而生 宜用補氣除濕藥

又宜溫中消導藥 行濕利大小便藥.

습(濕)은 기(氣)가 허(虛)하여 음식을 소화시켜 내려보내지 못하면 생기므로

이런 데는 기를 보(補)하고 습(濕)을 없애는 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또 속을 덥히고 소화시키는 약과 수습[濕]을 잘 돌게 하는 약,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燥因血虛而然 盖血虛生熱 熱生燥 是也

宜解熱生津藥 及滋血潤燥藥.

조증[燥]은 혈(血)이 허(虛)하여 생긴다.

즉 혈이 허하면 열이 생기는데 열이 조증을 생기게 한다.

이런 데는 열을 내리고 진액[津]을 생기게 하는 약과

혈을 불쿠어 주고[滋] 마른 것을 눅여 주는[潤] 약을 써야 한다.

治寒以熱 熱藥屬陽 故治寒多陽藥 外寒宜汗散 宜用風門藥 寒從汗解也(古庵).

한증[寒]은 성질이 뜨거운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성질이 뜨거운 약은 양(陽)에 속하므로 한증을 치료하는 데는 흔히 양증약[陽藥]을 쓴다.

겉이 차면 땀을 내어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풍증(風證)에 쓰는 약을 써서 한사(寒邪)가 땀을 따라 풀려 나가게 해야 한다[고암].


'[雜病篇] > [用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八劑][십팔제]   (0) 2020.04.28
[治病先去根][치병선거근]  (0) 2020.04.28
[表裏虛實藥][표의허실약]   (0) 2020.04.28
[病有不可補者四][병유불가보자사]   (0) 2020.04.28
[治病八療][치병팔요]   (0) 2020.04.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