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壯數多少法][장수다소법]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
着艾一炷如人丁壯之力 故謂之壯.
뜸봉 한 개의 힘이 어른 한 사람의 힘과 같다고 하여 장(壯)이라고 하였다.
凡頭頂止於七壯 至七七壯而止.
대체로 머리에는 7장에서 49장까지 뜬다.
鳩尾 巨闕, 雖是胸腹穴 久不過四七壯
若灸多 令人 永無心力 如頭上穴
若灸多 令人失精神,
臂脚穴 若灸多 令人血脈枯渴 四肢細而無力.
旣失精神 又加細瘦卽令人短壽(資生).
구미혈(鳩尾穴)과 거궐혈(巨闕穴)은 가슴과 배에 있는 침혈이기는
하나 뜸은 28장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많이 뜨면 심력(心力)이 약해지게 된다.
만일 머리의 침혈에 많이 뜨면 정신을 잃고 팔다리의 침혈에 많이 뜨면
혈맥이 마르고 팔다리가 가늘어지며 힘이 없어진다.
정신을 잃었던 데다가 몸까지 여위면 오래 살지 못한다[자생].
四肢 但去風邪 不宜多灸 七壯至七七壯止, 不得過隨年數(資生).
팔다리의 침혈에 뜸을 뜨면 다만 풍사(風邪)를 없앨 뿐이므로
많이 뜨는 것은 좋지 못하다.
7장에서 49장까지 뜨는데 자기 나이수보다 장수(壯數)가 넘지으면 안된다[자생].
凡小兒 七日以上周年以下 不過七壯 炷如雀屎(資生).
어린이가 난 지 7일로부터 돌까지는 7장 이상 뜨지 말며
뜸봉의 크기는 참새똥만하게 해야 한다[자생].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療灸瘡法][요구창법] (0) | 2018.06.07 |
---|---|
[發灸瘡法][발구창법] (0) | 2018.06.07 |
[灸法][구법] (0) | 2018.06.04 |
[下火灸時法][하화구시법] (0) | 2018.06.04 |
[取火法][취화법]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