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合谷二穴][합곡2혈]

一名 [虎口],
在手大指 次指,
兩骨間鏬間 宛宛中 動脈應手(資生).
일명 호구(虎口)라고도 하는데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이 갈라진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두 뼈 사이 우묵한 곳,
손을 대면 맥이 뛰는 곳에 있다[자생].
手陽明脈之所過爲原.
鍼入三分, 留六呼, 可灸三壯.
姙婦不可刺 損胎氣(銅人).
수양명경의 원혈(原穴)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6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
임신부에게는 침을 놓지 못한다.
그것은 태아를 상하기 때문이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偏歷穴][편역혈]   (0) 2018.05.30
[陽谿穴][양계혈] [中魁穴][중괴혈]   (0) 2018.05.30
[三間穴][삼간혈]  (0) 2018.05.29
[二間穴][이간혈]   (0) 2018.05.29
[商陽穴][상양혈] [絶陽穴][절양혈]   (0) 2018.02.16

[三間二穴][삼간2혈]

[一名][少谷].
在手大指 次指 本節後內側陷中,
手陽明脈之所注爲腧,
鍼入三分, 留三呼, 可灸三壯(銅人)
일명 소곡(少谷)이라고도 하는데
집게손가락 밑마디 뒤 안쪽 우묵한 곳에 있다.
수양명경의 유혈( 穴)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二間二穴][이간2혈]

[一名] [間谷],
在手大指 次指 本節前 內側陷中

手陽明 脈之所流 爲滎.
鍼入三分 留三呼 可灸三壯(銅人)
일명 간곡(間谷)이라고도 하며
집게손가락 밑마디 앞 안쪽 우묵한 곳에 있다.
수양명경의 형혈(滎穴)이다.
침은 3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中府二穴][중부2혈]

肺之募也.
一名, [膺中]
腧在雲門下一寸陷中
乳上三勒間動脈應手仰而取之.
手足太陰之會也.
鍼入三分留三呼 可灸五壯(銅人).
폐의 모혈(募穴)이며 응중혈(膺中穴)이라고도 한다.
침혈은 운문혈에서 아래로 1치 내려가 우묵한 곳이며
젖꼭지 위 세번째 갈비뼈 사이 손을 대면 맥이 뛰는 곳에 있다.
목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데 수태음경맥과 족태음경맥이 모이는 곳이다.
침은 3푼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雲門穴][운문혈]   (0) 2018.05.29
[天府穴][천부혈]   (0) 2018.05.29
[俠白穴][협백혈]   (0) 2018.05.29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雲門二穴][운문2혈]

在巨骨下 挾氣戶傍二寸陷中 動脈應手 擧臂取之(銅人).
거골혈(巨骨穴) 아래의 기호혈(氣戶穴)에서 옆으로 2치 나가 우묵한 곳,
손을 대면 맥이 뛰는 곳에 있는데 팔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동인].
在人迎下 第二骨肝 相去二寸四分(資生).
인영혈 아래 둘째 갈비뼈 사이에서 2치 4푼 떨어져 있다[자생].
可灸五壯鍼入三分 刺深則使人氣逆 故不宜深刺(甲乙).
뜸은 5장을 뜨며 침은 3푼을 놓는다.
깊이 찌르면 기가 거슬러 올라 좋지 않다[갑을].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府穴][중부혈]   (0) 2018.05.29
[天府穴][천부혈]   (0) 2018.05.29
[俠白穴][협백혈]   (0) 2018.05.29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天府二穴][천부2혈]

在腋下三寸 臑臂內廉動脈中 擧手以鼻取之
鍼入三分留三呼 禁不可灸(銅人).
겨드랑이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팔죽지 안쪽 맥이 뛰는 가운데 있으며
팔을 들어 코에 갔다 대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府穴][중부혈]   (0) 2018.05.29
[雲門穴][운문혈]   (0) 2018.05.29
[俠白穴][협백혈]   (0) 2018.05.29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俠白二穴][협백2혈]

在天府下 在肘上五寸 動脈中
鍼入三分 可灸五壯(銅人).
천부혈 아래 팔굽 위로 5치 올라가 맥이 뛰는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雲門穴][운문혈]   (0) 2018.05.29
[天府穴][천부혈]   (0) 2018.05.29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尺澤二穴][척택2혈] 

在肘約文中(銅人).
팔굽의 안쪽 가로간 금 가운데에 있다[동인].
肘中之動脈也.
又云肘中約文上動脈中(綱目).
팔굽 가운데 맥이 뛰는 곳에 있다.
또한 팔굽 가운데 가로간 금 위에 맥이 뛰는 곳에 있다[강목].
在臂屈伸 橫文中 筋骨鏬陷中 又云肘中約上兩筋 動脈中(資生).
팔을 구부렸다 폈다 하면 가로 금이 생기는 곳의 힘줄과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또한 팔굽 가운데 가로간 금 위에 두 힘줄 가운데 맥이 뛰는 곳에 있다[자생].
手太陰脈之所入爲合 鍼入三分 可灸五壯(銅人).
수태음경의 합혈(合穴)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一云, 不宜灸(入門).
뜸을 뜨지 못한다고도 했다[입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府穴][천부혈]   (0) 2018.05.29
[俠白穴][협백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經渠穴][경거혈]   (0) 2018.05.27

[孔最二穴][공최2혈]

在側腕上七寸宛宛中 手太陰之郄
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손목 옆에서 위로 7치 올라가 우묵한 가운데에 있으며
수태음경의 극혈( 穴)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俠白穴][협백혈]   (0) 2018.05.29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經渠穴][경거혈]   (0) 2018.05.27
[太淵穴][태연혈]  (0) 2018.05.27

[列缺二穴][열결2혈]

在去腕側 上一寸五分 以手交
叉中指末 兩筋兩骨鏬中
手太陰絡 別走陽明
손목에서 비스듬히 1치 5푼 올라가서 두 손을 맞잡을 때
집게손가락 끝이 닿는 곳의 두 힘줄과 뼈 사이에 있다.
수태음경의 낙혈(絡穴)이다.
여기서 갈라져 수양명경맥으로 간다.
鍼入二分 留三呼 瀉五吸. 可灸七壯(資生).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사할 때에는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7장을 뜬다[자생].

[手太陰之別 名曰列缺][수태음지별 명왈열결]
起於腕上分間去腕一寸半 別走陽明
並太陰之經 直入掌中 散于魚際.
其病 實則手銳掌熱 虛則欠㰦
小便遺數取之所別也(靈樞 經脈 第十)
손목 위에서 갈라지는데 손목에서 1치 5푼 위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양명대장경으로 갔으며 또 수태음경과 합하여
곧바로 손바닥으로 가서 어제혈(魚際穴)에서 흩어졌다.
여기에 생긴 병은 실하면 손바닥 뒤 내민 뼈와 손바닥이 달고 허하면
하품하며 오줌을 자주 누고 유뇨가 있다.
이때에는 이 침혈을 잡아서 침을 놓는다[영추].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尺澤穴][척택혈]   (0) 2018.05.29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經渠穴][경거혈]   (0) 2018.05.27
[太淵穴][태연혈]  (0) 2018.05.27
[魚際穴][어제혈]  (0) 2018.05.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