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渠二穴][경거2혈]

在寸口脈中 手太陰脈之所行爲經.
鍼入二分 留三呼 禁不可灸 灸之則傷人神(銅人).
촌구맥 가운데에 있으며 수태음경의 경혈(經穴)이다.
침은 2푼을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
뜸을 뜨면 정신을 상한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孔最穴][공최혈]   (0) 2018.05.29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太淵穴][태연혈]  (0) 2018.05.27
[魚際穴][어제혈]  (0) 2018.05.27
[少商穴][소상혈]  (0) 2018.02.16

[太淵二穴][태연2혈]

[一名][太泉] 在手掌後橫文頭陷中
[一云]在魚後一寸 陷者 中手太陰脈之所注 爲腧
鍼入二分 可灸三壯(銅人).
태천(太泉)이라고도 하는데 손바닥 뒤 가로간 금의 안쪽 끝에 있는 우묵한 곳이다.
또는 어제혈에서 뒤로 1치 올라가 우묵한 곳이라고도 하였다.
수태음경의 유혈( 穴)이다.
침은 2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經渠穴][경거혈]   (0) 2018.05.27
[魚際穴][어제혈]  (0) 2018.05.27
[少商穴][소상혈]  (0) 2018.02.16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0) 2017.03.21

[魚際二穴][어제2혈]

在手大指本節 後內側 散脈中 手太陰脈之所流爲滎
鍼入二分 留三呼 禁不可灸(入門).
엄지손가락 밑마디 뒤 안쪽 경맥이 퍼져 나간 가운데 있으며
수태음경의 형혈(滎穴)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입문].

'[鍼灸篇] > [手太陰肺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缺穴][열결혈]   (0) 2018.05.28
[經渠穴][경거혈]   (0) 2018.05.27
[太淵穴][태연혈]  (0) 2018.05.27
[少商穴][소상혈]  (0) 2018.02.16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0) 2017.03.21

[火鍼法][화침법]

性畏艾灸者 當用火鍼, 以鍼置火中, 令熱刺之卽火鍼也(資生).
뜸뜨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화침을 놓아야 한다.
침을 불 속에 넣어서 달구어 놓는 것을 화침(火鍼)이라고 한다[자생].
凡諸穴 忌灸之處 以鍼置火中 令熱繆刺之, 卽效, 乃知火不負人之說(資生).
뜸을 뜨지 말아야 할 여러 혈에는 침을 불에 달구어 무자법(繆刺法)으로 놓으면 효과가 난다.
이것으로 불이 사람에게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자생].
內經有[燔鍼法] 卽火鍼也(內經).
[내경]에 번침법(燔鍼法)이라고 하는 것이 즉 화침법이다[내경].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量分寸法][양분촌법]  (0) 2018.06.04
[點穴法][점혈법]  (0) 2018.06.04
[鍼刺淺深法][침자천심법]  (0) 2018.02.25
[四時鍼法][사시침법]  (0) 2018.02.23
[練鍼法][연침법]  (0) 2018.02.11

[鍼刺淺深法]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

足陽明刺深六分 留十呼.
足太陽深五分 留七呼.
足少陽深四分 留五呼.
足太陰深三分 留四呼.
足少陰深二分 留三呼.
足厥陰深一分 留二呼.
手之陰陽 其受氣之道近,
其氣之來疾 其刺深者 皆無過二分 其留 皆無過一呼(靈樞經水 第十二).
족양명경(足陽明經)에는 6푼 깊이로 놓고 10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족태양경(足太陽經)에는 5푼 깊이로 놓고 7번 쉼쉴 동안 꽂아 두며
족소양경(足少陽經)에는 4푼 깊이로 놓고 5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
족태음경(足太陰經)에는 3푼 깊이로 놓고 4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족소음경(足少陰經)에는 2푼 깊이로 놓고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족궐음경(足厥陰經)에는 1푼 깊이로 놓고 2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
손의 음, 양경은 그의 기를 받는 길이 가까우므로 그 기가 빨리 온다.
그러므로 침을 놓는 것도 2푼 이상 깊이 놓지 말며 1번 숨쉴 동안 꽂아 둔다[영추].
凡上體 及當骨處 鍼入淺而灸宜少,
凡下體及肉厚處 鍼可入深 灸多無害(入門).
윗몸과 뼈에 가까운 곳은 침을 얕게 놓고 뜸도 적게 뜨는 것이 좋으며
아랫몸과 살이 많은 곳은 침을 깊이 놓고 뜸을 많이 떠도 해롭지 않다[입문].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點穴法][점혈법]  (0) 2018.06.04
[火鍼法][화침법]  (0) 2018.02.27
[四時鍼法][사시침법]  (0) 2018.02.23
[練鍼法][연침법]  (0) 2018.02.11
[大針][대침] [焠鍼][쇄침]   (0) 2018.02.11

[四時鍼法][사시침법]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


春氣在經脈, 夏氣在孫絡, 長夏氣在肌肉, 秋氣在皮膚, 冬氣在骨髓中,
기(氣)가 봄에는 경맥(經脈)에 있고 여름에는 손락(孫絡)에 있으며
늦은 여름에는 살[肌肉]에 있고 가을에는 피부에 있으며 겨울에는 골수에 있다.
是故邪氣者常隨四時之氣血而入客也.
그러므로 사기(邪氣)는 늘 계절에 따라 기혈이 있는 곳에 침습한다.
必從其經氣 辟除其邪則亂 氣不生反之則生 亂氣相淫倂焉(內經四時刺逆從論篇 第六十四).
그러므로 반드시 경기에 맞게 그 사기를 치료하여야 혼란된 기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혼란된 기[亂氣]가 생겨 서로 어울리게 된다[내경].
病有浮沈 刺有淺深, 各至其理無過 其道過之則內傷
不及則生外壅 壅則邪從之淺深 不得反爲大賊 內同五藏 後生大病(內經).
병은 겉에 있는 것과 깊이 있는 것이 있으므로 침도 깊이 놓기도 하고 얕게 놓기도 하여
각각 그 정도에 알맞게 하며 지나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너무 깊이 놓으면 속이 상하고 너무 얕게 놓으면 겉이 막히는데 

겉이 막히면 사기(邪氣)가 나오지 못한다.
침을 얕게 놓거나 깊이 놓는 것을 알맞게 하지 못하면 도리어 해롭다.
그리하여 5장을 다치면 나중에 중병이 생긴다[내경].
春夏刺淺 秋冬刺深者 盖春夏陽氣在上 人氣亦在上 故當淺刺之.
秋冬陽氣在下 人氣亦在下 故當深取之也(難經).
봄과 여름에는 침을 얕게 놓고 가을과 겨울에는 깊이 놓는다.
그것은 봄과 여름에는 대체로 양기(陽氣)가 겉에 있고
사람의 기[人氣]도 겉에 있으므로 침을 얕게 놓아야 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양기가 깊이 들어가 있고 

사람의 기도 깊이 있으므로 침을 깊이 놓아야 한다[난경].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鍼法][화침법]  (0) 2018.02.27
[鍼刺淺深法][침자천심법]  (0) 2018.02.25
[練鍼法][연침법]  (0) 2018.02.11
[大針][대침] [焠鍼][쇄침]   (0) 2018.02.11
[長針][장침]  (0) 2018.02.11

[申脈二穴][신맥2혈]


在外踝下陷中 容爪甲 白肉際(銅人).
바깥쪽 복사뼈에서 손톱눈만큼 내려와서 우묵한 곳의 흰살의 경계에 있다[동인].
在外踝下五分(資生).
바깥 복사뼈에서 5푼 아래에 있다[자생].
陽蹻脈所生. 

鍼入三分 禁不可灸(銅人).
양교맥이 시작되는 곳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鍼灸篇] > [陽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臑腧穴][노유혈]   (0) 2018.08.06
[居髎穴][거료혈]   (0) 2018.08.06
[付陽穴][부양혈]   (0) 2018.08.06
[僕叅穴][복삼혈]   (0) 2018.02.16
[陽蹻脈][양교맥]  (0) 2018.01.22

[維道二穴][유도2혈]


在章門下五寸三分.
鍼八分 可灸三壯(銅人).

장문혈에서 5치 3푼 아래에 있다.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帶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樞穴][오추혈]  (0) 2018.02.20
[帶脈穴][대맥혈]  (0) 2018.02.20
[章門穴][장문혈]   (0) 2018.02.16
[帶脈][대맥]  (0) 2018.01.22

[五樞二穴][오추2혈]


在帶脈下三寸 水道傍一寸五分陷中.
鍼入一寸可灸五壯(銅人).

대맥혈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수도혈(水道穴)에서
옆으로 1치 5푼 나가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1치를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帶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維道穴][유도혈]  (0) 2018.02.20
[帶脈穴][대맥혈]  (0) 2018.02.20
[章門穴][장문혈]   (0) 2018.02.16
[帶脈][대맥]  (0) 2018.01.22

[帶脈二穴][대맥2혈]


在季肋端一寸八分.
鍼入六分. 可灸五壯(銅人).

계륵부 끝에서 1치 8푼 아래에 있다.
침은 6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帶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維道穴][유도혈]  (0) 2018.02.20
[五樞穴][오추혈]  (0) 2018.02.20
[章門穴][장문혈]   (0) 2018.02.16
[帶脈][대맥]  (0) 2018.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