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曰 [毫針][호침]

長三寸六分, 尖如蚊喙, 靜以徐往, 以久溜之而養, 以取痛痺(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3치 6푼이고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같이 날카로우며
천천히 놓고 오래 꽂아 둔다. 통비(痛痺)를 치료한다[역로].
尖如蚊虻啄, 調經絡 去痛痺(易老).
침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 같은데 경락을 고르게 하고 통비를 없앤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針][대침] [焠鍼][쇄침]   (0) 2018.02.11
[長針][장침]  (0) 2018.02.11
[圓利鍼][원리침]  (0) 2018.02.11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六曰 [圓利鍼][원리침]

長一寸六分, 大如釐, 且員且銳, 中身微大, 以取暴氣(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가 1치 6푼이고 굵기는 소꼬리털 같고 둥글며 예리하고
침날의 가운데는 약간 굵다.
갑자기 생긴 사기[暴氣]를 없앤다[영추].
尖如毫且圓利 調陰陽 去暴氣(易老).
침 끝은 털끝같이 가늘고 둥글며 잘 돌므로 음양을 고르게 하고
갑자기 생긴 사기를 없앤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針][장침]  (0) 2018.02.11
[毫針][호침]  (0) 2018.02.11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鍉針][제침]  (0) 2018.02.11

五曰 [鈹針][피침]

     

四寸, 廣二分半, 末如劍鋒, 以取大膿(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4치이고 너비는 2푼 5리이며 끝은 칼날과 같다.
크게 곪은 것을 짼다[역로].
[一名] 破鍼, 用以破癰腫, 出膿血(易老).
일명 파침(破鍼)이라고도 하며 옹종(癰腫)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 쓴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毫針][호침]  (0) 2018.02.11
[圓利鍼][원리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鍉針][제침]  (0) 2018.02.11
[圓鍼][원침]  (0) 2018.02.11

四曰 [鋒針][봉침]

長一寸六分, 刃三隅以發痼疾(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날은 세모꼴이다.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瀉熱出血 發泄痼疾(易老).
열을 내리고 피를 빼어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圓利鍼][원리침]  (0) 2018.02.11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鍉針][제침]  (0) 2018.02.11
[圓鍼][원침]  (0) 2018.02.11
[鑱針][참침]  (0) 2018.02.11

三曰 [鍉針][제침]

   

長三寸半, 鋒如黍粟之銳,

主按脈勿陷, 以致其氣(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3치 5푼이고 침 끝이 기장이나 조의 가스랑이와 같이 뾰족하다.
경맥을 눌러 들어가지 않게 하고 찔러서 경맥의 기를 제대로 돌게 한다[역로].
脈氣虛少者宜此(易老).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圓鍼][원침]  (0) 2018.02.11
[鑱針][참침]  (0) 2018.02.11
[製九鍼法][제구침법]  (0) 2017.03.12

二曰 [圓鍼][원침]

長一寸六分,針如卵形, 揩摩分間, 不得傷肌肉, 以瀉分氣
(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다.
분육의 사이를 스치기만 하고 기육(肌肉)을 상하지 않게 하며
분육에 몰린 기를 사한다[영추].
鋒如卵形 肉分氣病宜用此(易老).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는데
분육의 기병(氣病)에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鍉針][제침]  (0) 2018.02.11
[鑱針][참침]  (0) 2018.02.11
[製九鍼法][제구침법]  (0) 2017.03.12

一曰 [鑱針][참침]

    

長一寸六分, 頭大末銳, 去瀉陽氣(靈樞九針十二原 第一(法天)).

길이는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양기를 사(瀉)한다[영추].
平半寸 長一寸六分 頭大末銳, 主熱迹分(易老).
너비는 5푼이고 길이가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머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鈹針][피침] [破鍼][파침]   (0) 2018.02.11
[鋒針][봉침]  (0) 2018.02.11
[鍉針][제침]  (0) 2018.02.11
[圓鍼][원침]  (0) 2018.02.11
[製九鍼法][제구침법]  (0) 2017.03.12

[鳩尾一穴][구미1혈]

一名, [?骬], [尾翳].
在臆前蔽骨下五分 人無蔽骨刺 從岐骨之際 量取一寸.

일명 갈우, 미예라고도 한다.
가슴 앞의 명치 끝에서 5푼 아래에 있다.
명치 끝이 잘 알리지 않는 사람은 갈라진 뼈 끝에서 1치 내려가 잡는다.
此穴灸之 則令人少心力
又健忘 且大難鍼大好手 方可下鍼

不然取氣多令人夭 故並鍼灸(銅人).
이 침혈에 뜸을 뜨면 심력이 적어지고 건망증이 생긴다.
또한 침 놓기가 어려우며 능숙한 사람이라야 침을 놓을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기를 많이 소모하여 오래 살지 못한다.
그러므로 침과 뜸을 다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鍼灸篇] > [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膻中穴][단중혈]  (0) 2018.07.30
[中庭穴][중정혈]   (0) 2018.07.30
[巨闕穴][거궐혈]   (0) 2018.02.02
[上脘穴][상완혈]   (0) 2018.02.02
[中脘穴][중완혈]  (0) 2018.02.02

[巨闕一穴][거궐1혈]

心之募也.
在鳩尾下一寸.
鳩尾拒者少 令强一寸 中人有鳩尾拒之
鍼入六分 留七呼 得氣卽瀉可 灸七壯至七七壯(銅人).

수소음심경의 모혈(募穴)이다.
구미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가슴뼈가 작은 사람은 1치 남짓하게 내려가 잡는다.
가슴뼈가 작은 사람도 있다.
침은 6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침감이 오면 곧 사한다.
뜸은 7-49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庭穴][중정혈]   (0) 2018.07.30
[鳩尾穴][구미혈]  (0) 2018.02.02
[上脘穴][상완혈]   (0) 2018.02.02
[中脘穴][중완혈]  (0) 2018.02.02
[建里穴][건리혈]  (0) 2018.02.02

[上脘一穴][상완1혈]

一名, [上管], [胃脘].
在巨闕下一寸五分, 去蔽骨三寸.

일명 상관(上管), 위완(胃脘)이라고도 한다.
거궐혈에서 아래로 1치 5푼 내려가거나 명치 끝에서 3치 내려가 있다.
鍼入八分 先補後瀉 可灸二七壯至百壯(銅人).
침은 8푼을 놓는데 먼저 보하고 다음에 사하며 뜸은 14-100장까지 뜬다[동인].

'[鍼灸篇] > [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鳩尾穴][구미혈]  (0) 2018.02.02
[巨闕穴][거궐혈]   (0) 2018.02.02
[中脘穴][중완혈]  (0) 2018.02.02
[建里穴][건리혈]  (0) 2018.02.02
[下脘穴][하완혈]  (0) 2018.02.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