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膺腧部寸][응수부촌] [가슴치수]

兩乳橫折作八寸 並用此法取之,
自天突至膻中直折作六寸八分, 下行一寸六分爲中庭上
取天突下至中庭, 共折作八寸四分[神應]
두 젖꼭지 사이를 8치로 하여 다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
천돌혈(天突穴)에서 단중혈( 中穴)까지의 사이가 6치 8푼이고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면 중정혈(中庭穴)이며
천돌혈로부터 중정혈까지는 모두 8치 4푼이다[신응].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部寸][복부촌]  (0) 2018.06.04
[背部寸][배부촌]  (0) 2018.06.04
[頭部寸][두부촌]  (0) 2018.06.04
[量分寸法][양분촌법]  (0) 2018.06.04
[點穴法][점혈법]  (0) 2018.06.04

[頭部寸][두부촌]   [머리치수]

前髮際至後髮際 折作12節爲一尺二寸.
앞이마의 머리털이 돋은 데로부터 뒷머리털이 돋은 끝까지 12등분하여 1자 2치로 한다.
前髮際不明者 取眉心上行三寸,
後髮際不明者 取大隹頁上行三寸,
前後髮際不明者共折作一尺八寸(神應)
앞이마의 털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에는 양쪽 눈썹의 가운뎃점으로부터
위로 3치 올라가서 그곳을 경계로 보고
뒷머리털이 돋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에는 대추혈(大椎穴)로부터
위로 3치 올라가서 그곳을 경계로 본다.
앞뒤의 경계가 다 똑똑하지 않을 때에는 양쪽 눈썹의 가운뎃점으로부터
대추혈까지를 1자 8치로 계산한다[신응].
頭部橫寸 以眼內眥角至外眥角爲一寸, 並用此法.
머리의 가로치수[橫寸]는 눈구석에서 눈귀까지를 1치로 하여 다 이 방법을 쓴다.
神庭至曲差, 曲差至本神, 本神至頭維, 各一寸半.
自神庭至頭維, 共四寸半(神應).
신정혈(神庭穴)에서 곡차혈(曲差穴), 곡차혈에서 본신혈(本神穴), 본신혈에서
두유혈(頭維穴)까지 각각 1치 5푼이므로 신정에서 두유까지 모두 4치 5푼이다[신응].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背部寸][배부촌]  (0) 2018.06.04
[膺腧部寸][응수부촌]  (0) 2018.06.04
[量分寸法][양분촌법]  (0) 2018.06.04
[點穴法][점혈법]  (0) 2018.06.04
[火鍼法][화침법]  (0) 2018.02.27

[量分寸法][양분촌법]   [치수를 재는 법]
取病人 男左女右 中指第二節內度 兩橫紋相去爲一寸
應取穴 及作炷 分寸並依此法(局方).
환자가 남자이면 왼손, 여자이면 오른손 가운뎃손가락 두번째 마디의
두 가로금 사이를 한치로 한다.
침혈을 잡는 데와 뜸을 놓을 때 쓴다[국방].
取男左女右 手中指第二節 內庭兩橫文相去爲一寸 是謂同身寸,
療病多愈 今以準
[銅人]曰 取中指內文爲一寸. [內經]曰[同身寸]是也(資生).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 가운뎃손가락 두번째 마디의 두 가로금 사이를
한치로 하는데 이것을 동신촌법(同身寸法)이라고 한다.
이것에 기초해서 혈을 잡아 치료하면 잘 낫기 때문에 지금은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
동인에는 가운뎃손가락 안쪽 금 사이를 1치로 잡는다고 하였는데
내경에는 동신촌법이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자생].
[竇漢卿], 同身寸法 以中指 大指相屈如環 取內側交兩角爲一寸.
두한경의 동신촌법에는 가운뎃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맞대어 가락지처럼
됐을 때 가운뎃손가락 안쪽에 나타나는 두 금 사이를 1치로 하였다.
取中指內側爲同身寸者 大法也.
若取頭部 膺腧部 背部 腹部 同身寸外,
又各有活法 不可執一也(綱目).
가운뎃손가락 안쪽 두 금 사이를 동신촌법으로 한 것은 대략적으로 쓰는 방법이다.
만일 머리와 가슴, 잔등과 배의 침혈을 잡는 데는 동신촌법 밖에도 다른 방법이
있으므로 한 가지 방법만 고집하여서는 안된다[강목].
手足部 並用 同身寸 取之(神應).
손과 발도 동신촌법으로 잡는다[신응].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膺腧部寸][응수부촌]  (0) 2018.06.04
[頭部寸][두부촌]  (0) 2018.06.04
[點穴法][점혈법]  (0) 2018.06.04
[火鍼法][화침법]  (0) 2018.02.27
[鍼刺淺深法][침자천심법]  (0) 2018.02.25

[點穴法][점혈법]  [침혈을 잡는 법]

凡點穴時 須得身體平直 四肢無令拳縮,
坐點無令俛仰, 立點無令傾側若孔穴
不正則徒燒肌肉 虛忍痛楚無益於事(千金).
침혈(鍼穴)을 잡을 때에는 몸가짐을 똑바로 하여야 한다.
팔다리를 구부리지 말아야 한다.
앉아서 침혈을 잡을 때에는 몸을 숙이거나 젖히지 말며 서서 침혈을 잡을 때에는
몸을 한쪽으로 기울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일 침혈을 바로잡지 못하면 살만 찌르거나 태워 아프기만 하고
아무런 효과도 보지 못한다[천금].
凡點穴 坐點則坐灸, 立點則立灸, 臥點則臥灸,
坐立皆宜端直, 若一動則不得眞穴(入門).
대체로 침혈을 앉아서 잡은 것은 앉아서 놓고 서서 잡은 것은 서서 놓아야 하며
누워서 잡은 것은 누워서 놓아야 한다.
앉거나 설 때에는 몸가짐을 똑바로 하여야 하며 침혈을 잡은 뒤에 조금만 움직여도
침혈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입문].
古者 用繩度量 繩多出縮取穴不準,
今以薄竹片點量分寸, 療病準的亦有用蠟紙 條量者,
但薄篾易折蠟紙亦粘手 惟取稻稈心量 却易尤勝於用紙之伸縮也(資生).
옛날에는 노끈으로 치수를 쟀는데 노끈은 늘었다 줄었다 하여 정확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지금은 얇은 참대자로 치수를 재기 때문에 침혈을 정확히 잡을 수 있다.
또한 밀 먹인 종이조각[蠟紙]으로 재기도 한다.
그런데 얇은 참대자는 부러지기 쉽고 밀 먹인 종이는 손에 붙기 때문에
볏짚 속으로 하면 재기도 쉽고 더욱이 종이로 잴 때처럼 늘었다 줄었다
하는 일이 없으므로 좋다[자생].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頭部寸][두부촌]  (0) 2018.06.04
[量分寸法][양분촌법]  (0) 2018.06.04
[火鍼法][화침법]  (0) 2018.02.27
[鍼刺淺深法][침자천심법]  (0) 2018.02.25
[四時鍼法][사시침법]  (0) 2018.02.23

[迎香二穴][영향2혈]

[一名][衝陽],
在禾髎上一寸 鼻孔傍五分,
鍼入三分, 留三呼, 禁不可灸(銅人).
일명 충양이라고도 하며
화료혈에서 위로 1치 올라가 콧구멍 옆으로 5푼 나가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3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禾髎穴][화료혈]   (0) 2018.06.02
[扶突穴][부돌혈]   (0) 2018.06.02
[天鼎穴][천정혈]   (0) 2018.06.02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禾髎二穴][화료2혈]

[一名][長頻]
直鼻孔下挾水溝傍五分, 鍼入二分, 禁不可灸[銅人]
일명 장빈(長頻)이라고도 하는데
콧구멍 아래 수구혈(水溝穴) 옆 5푼 되는 곳에 있다.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迎香穴][영향혈]   (0) 2018.06.02
[扶突穴][부돌혈]   (0) 2018.06.02
[天鼎穴][천정혈]   (0) 2018.06.02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扶突二穴][부돌2혈]

[一名][水穴],
在人迎後一寸五分.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일명 수혈(水穴)이라고도 하는데
인영혈에서도 1치 5푼 뒤에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在氣舍後一寸五分[綱目]
또는 기사혈에서 1치 5푼 뒤에 있다[강목].
在曲頰下一寸 仰而取之(入門).
턱자개미에서 1치 아래에 있으며 목을 뒤로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迎香穴][영향혈]   (0) 2018.06.02
[禾髎穴][화료혈]   (0) 2018.06.02
[天鼎穴][천정혈]   (0) 2018.06.02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天鼎二穴][천정2혈]

在側頸缺盆直扶突後一寸,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목의 옆 결분에서 곧추 올라가 부돌혈에서 1치 뒤에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在頸缺盆 氣舍後一寸五分(綱目).
목 결분 기사혈에서 1치 5푼 뒤에 있다[강목].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禾髎穴][화료혈]   (0) 2018.06.02
[扶突穴][부돌혈]   (0) 2018.06.02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臂臑穴][비노혈]  (0) 2018.06.01

[巨骨二穴][거골2혈]

在肩端上行兩叉骨鏬肝陷中,
鍼入一寸半, 可灸五壯(銅人).
어깨 끝에서 위로 올라가 뼈가 갈라진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1치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扶突穴][부돌혈]   (0) 2018.06.02
[天鼎穴][천정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臂臑穴][비노혈]  (0) 2018.06.01
[手五里穴][수오리혈]   (0) 2018.06.01

[肩髃二穴][견우2혈]

[一名][中肩井], [一名][扁骨].
在肩端兩骨間陷刺 宛宛中去臂取之(銅人).
일명 중견정, 또는 편골이라고도 한다.
어깨끝 두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팔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동인].
在膊骨頭肩端兩骨間(資生).
팔죽지뼈 윗끝과 어깨끝 두 뼈 사이에 있다[자생].
鍼入六分, 留六呼,
침은 6푼을 놓으며 6번 숨쉴 동안 꽂아둔다.
刺則泄肩臂熱氣, 可灸七壯至二七壯.
침을 놓으면 어깨와 팔의 열기를 내린다.
若灸偏風不遂 至七七壯止.
뜸은 7-14장까지 뜨며 만일 반신불수 때에는 49장까지 뜬다.
唐[庫狄欽] 患風痹, 手不得伸, [甄權] 鍼此穴 立愈(銅人).
당나라의 고적흠(庫狄欽)이 풍비로 팔을 펴지 못하는 것을
진권(甄權)이 이 침혈에 침을 놓아 곧 낫게 하였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鼎穴][천정혈]   (0) 2018.06.02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臂臑穴][비노혈]  (0) 2018.06.01
[手五里穴][수오리혈]   (0) 2018.06.01
[肘髎穴][주료혈]   (0) 2018.06.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