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臂臑二穴][비노2혈]

在肘上七寸 䐃肉端平手取之.
手陽明絡,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팔굽에서 위로 7치 올라가 두드러진 살 끝에 있으며 팔을 펴고 침혈을 잡는다.
수양명경의 낙맥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在肩髃一夫兩筋兩骨鏬陷宛中 平手取之.
不得拏手令急其穴卽閉 宜灸, 不宜鍼刺(資生).
견우혈 아래 두 힘줄과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팔을 펴고 침혈을 잡으며 팔에 힘을 주지 말아야 한다.
힘을 주면 침혈이 막힌다.
뜸을 뜨는 것이 좋으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자생].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巨骨穴][거골혈]   (0) 2018.06.02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手五里穴][수오리혈]   (0) 2018.06.01
[肘髎穴][주료혈]   (0) 2018.06.01
[曲池穴][곡지혈]   (0) 2018.05.30

[手五里二穴][수오리2혈]

在肘上三寸 行向裏大脈中央.
可灸十壯. 禁不可鍼(銅人).
팔굽에서 3치위 안으로 뻗은 큰 경맥의 가운데에 있다.
뜸은 10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內經曰“大禁二十五 在天府下五寸” 

 註云“五里穴也”.
大禁刺 禁不可刺也.
내경에 대금25는 천부혈에서 5치 아래에 있다고 하였으며
주해에는 오리혈이라고 하였다.
대금이라는 것은 침놓는 것을 절대로 금한다는 것이다.
迎之五里中道而止,五至而已,往而藏之氣盡矣.
故五五 二十五而竭其輸矣. 此所謂奪其天氣也,
故曰 關門而刺之者死於家中
入門而刺之者死於堂上 傅之後世以爲刺禁(靈樞).
오리혈에 사침하면 5장의 기가 도중에서 멎는다.
그것은 1개 장의 기가 대개 5번 오는데
5번 찔러 사하면 5장의 기운이 다 없어지는 것으로 된다.
즉 25번 사하면 5장의 유혈 기운이 다 없어진다.
이것이 그 원기를 빼앗는다는 것이다.
얕게 찌르면 집안에 들어가자 죽고 깊이 찌르면 문 앞에서 죽는다.
이것을 후세에까지 전하여 침을 놓지 말게 하여야 한다[영추].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肩髃穴][견우혈]   (0) 2018.06.01
[臂臑穴][비노혈]  (0) 2018.06.01
[肘髎穴][주료혈]   (0) 2018.06.01
[曲池穴][곡지혈]   (0) 2018.05.30
[手三理][수삼리]  (0) 2018.05.30

[肘髎二穴][주료2혈]

在肘大骨外廉 近大筋陷中,
可灸三壯, 鍼入三分(銅人).
팔굽의 대골(大骨) 밖에 큰 힘줄 가까이 우묵한 곳에 있다.
뜸은 3장을 뜨며 침은 3푼을 놓는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臂臑穴][비노혈]  (0) 2018.06.01
[手五里穴][수오리혈]   (0) 2018.06.01
[曲池穴][곡지혈]   (0) 2018.05.30
[手三理][수삼리]  (0) 2018.05.30
[上廉穴][상념혈]  (0) 2018.05.30

[曲池二穴][곡지2혈]

在肘外輔骨 屈肘曲骨之中(銅人).
팔굽 바깥쪽 보골에서 팔굽을 구부리면 두 뼈가 구부러지는 가운데에 있다[동인].
在肘外輔屈肘兩骨中文頭盡處 以手拱胸取之(入門).
팔굽 바깥쪽 보골에서 팔굽을 구부리면 두 뼈 사이에 가로 생기는 금의 끝에 있다.
침혈을 잡을 때에는 손을 가슴에 대고 잡는다[입문].
手陽明脈之所入爲合.


鍼入五分,留七呼,可灸三壯(靈樞).
수양명경의 합혈(合穴)이다.
침은 5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영추].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五里穴][수오리혈]   (0) 2018.06.01
[肘髎穴][주료혈]   (0) 2018.06.01
[手三理][수삼리]  (0) 2018.05.30
[上廉穴][상념혈]  (0) 2018.05.30
[下廉穴][하렴혈]   (0) 2018.05.30

[手三理二穴][수삼리이혈]

在曲池下二寸(銅人).
곡지혈에서 2치 아래에 있다[동인].
按之肉起銳肉之端(綱目).
누르면 두드러지는 살에 있다[강목].
鍼入二分,可灸三壯(銅人).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肘髎穴][주료혈]   (0) 2018.06.01
[曲池穴][곡지혈]   (0) 2018.05.30
[上廉穴][상념혈]  (0) 2018.05.30
[下廉穴][하렴혈]   (0) 2018.05.30
[溫留穴][온유혈]   (0) 2018.05.30

[上廉二穴][상념2혈]

在三里下一寸(銅人).
수삼리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동인].
在曲池前四寸(入門).
곡지혈에서 앞으로 4치 되는 곳에 있다[입문].
其分毒抵陽明之會 外斜(綱目).
양명경의 회혈(會穴)에 이르러 밖으로 비스듬히 나가 있다[강목].
鍼入五分,可灸五壯(銅人).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曲池穴][곡지혈]   (0) 2018.05.30
[手三理][수삼리]  (0) 2018.05.30
[下廉穴][하렴혈]   (0) 2018.05.30
[溫留穴][온유혈]   (0) 2018.05.30
[偏歷穴][편역혈]   (0) 2018.05.30

[下廉二穴][하렴2혈]


在輔骨下一寸(銅人).
보골(輔骨) 아래의 상렴혈부터 1치 내려와서 있다[동인].
在曲池前五寸,兌肉分外斜(入門).
또는 곡지혈에서 앞으로 5치 되는 곳에 살이 두드러진 곳의 옆에 있다[입문].
鍼入五分 留五呼,可灸三壯(銅人).
침은 5푼을 놓으며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三理][수삼리]  (0) 2018.05.30
[上廉穴][상념혈]  (0) 2018.05.30
[溫留穴][온유혈]   (0) 2018.05.30
[偏歷穴][편역혈]   (0) 2018.05.30
[陽谿穴][양계혈] [中魁穴][중괴혈]   (0) 2018.05.30

[溫留二穴][온유2혈]


[一名][逆注], [一名][池頭].
在腕後小士五寸,大士六寸(銅人).
일명 역주(逆注)라고도 하며 또는 지두(池頭)라고도 한다.
손목 뒤에서 작은 사람은 5치, 큰 사람은 6치 올라가서 있다[동인].
在腕後五寸六寸間(資生).
손목에서 뒤로 5치와 6치 사이에 있다고도 했다[자생].
手陽明郄, 鍼入三分. 可灸三壯(銅人).
수양명경의 극혈( 穴)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大士 小士,卽戴人 小兒也(綱目).
큰 사람, 작은 사람이란 어른과 어린이를 말한다[강목].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廉穴][상념혈]  (0) 2018.05.30
[下廉穴][하렴혈]   (0) 2018.05.30
[偏歷穴][편역혈]   (0) 2018.05.30
[陽谿穴][양계혈] [中魁穴][중괴혈]   (0) 2018.05.30
[合谷穴][합곡혈] [虎口穴][호구혈]  (0) 2018.05.29

[偏歷二穴][편역2혈]

在腕中後三寸 手陽明絡別走太陰
鍼入三分 留七呼 可灸三壯(銅人).
손목에서 위로 3치 올라가서 있다.
수양명경의 낙혈(絡穴)이다.
수태음경맥으로 갈라지는 곳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手陽明之別 名曰偏歷][수양명지별 명왈편력]
在腕後三寸 別走太陰 其別者 上循臂
繞肩髃 上曲頰偏齒 其別者 入耳 合於宗脈.
實則齲聾 虛則齒寒痺膈.
取之所別也(靈樞 經脈 第十).
손목에서 3치 뒤에 있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음폐경으로 갔으며
다른 한 가지는 팔을 따라 위로 올라가
견우혈을 돌아서 턱자개미와 한쪽 이빨로 올라갔다.
여기서 갈라진 것은 귀로 들어가 종맥(宗脈)과 합하였다.
병이 실하면 충치가 생기고 귀가 먹으며 허하면 이빨이 시리고 가슴이 저리다.
이 때에는 이 침혈을 잡아서 놓는다[영추].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廉穴][하렴혈]   (0) 2018.05.30
[溫留穴][온유혈]   (0) 2018.05.30
[陽谿穴][양계혈] [中魁穴][중괴혈]   (0) 2018.05.30
[合谷穴][합곡혈] [虎口穴][호구혈]  (0) 2018.05.29
[三間穴][삼간혈]  (0) 2018.05.29

[陽谿二穴][양계2혈]

一名 [中魁],
在手腕中上側 兩筋間陷刺中 手陽明脈之所行爲經
鍼入三分 留七呼, 可灸三壯(銅人).
일명 중괴(中魁)라고도 하는데 손목 윗쪽 두 힘줄 사이 우묵한 곳에 있으며
수양명경의 경혈(經穴)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鍼灸篇] > [手陽明大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留穴][온유혈]   (0) 2018.05.30
[偏歷穴][편역혈]   (0) 2018.05.30
[合谷穴][합곡혈] [虎口穴][호구혈]  (0) 2018.05.29
[三間穴][삼간혈]  (0) 2018.05.29
[二間穴][이간혈]   (0) 2018.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