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內經, 皆以滑脈爲疝[入門].
내경에서는 활맥을 모두 산병으로 보았다(입문).
心脈搏滑急, 爲心疝, 肺脈沈搏, 爲肺疝, 腎脈肝脈, 大急沈, 皆爲疝[內經].
심맥이 활급하면서 세차게 뛰면 심산(心疝)이고,

폐맥이 침하면서 세차게 뛰면 폐산(肺疝)이며,

신맥과 간맥이 대(大)하면서 급침하면 모두 산병이다(내경).
肝脈滑甚爲疝, 心脈微滑爲心疝, 腎肝滑甚爲癃[內經].
간맥이 심하게 활하면 퇴산(疝)이고,

심맥이 조금 활하면 심산이며,

신맥이 심하게 활하면 융퇴이다(내경).
腎脈大甚爲陰痿[綱目].
신맥이 심하게 대하면 음위이다(강목).
脈急者, 曰疝瘕小腹痛[內經].
맥이 급하면 산가인데 아랫배가 아프다(내경).
三陽急爲瘕, 三陰急爲疝.
註曰, 太陽受寒血聚爲瘕, 太陰受寒氣聚爲疝[內經].
삼양맥이 급하면 가(瘕)이고, 삼음맥이 급하면 산병이다.
왕빙의 주에서는 "태양이 한기를 받아 피가 모이면 가가 되고,

태음이 한기를 받아 기가 모이면 산병이 된다"고 하였다(내경).
腎脈小急, 肝脈小急, 心脈小急不鼓, 皆爲瘕.
註曰, 小急爲寒甚, 不鼓則血不流, 故血內凝而爲瘕[內經].
신맥과 간맥이 세(細)하고 급하거나

심맥이 세하고 급하면서 고동치지 않는 것은 모두 가(瘕)이다.
왕빙의 주에서는 "세하고 급한 것은 한(寒)이 심한 것인데,

고동치지 않으면 피가 잘 흐르지 못하므로 피가 속에서 엉겨 가가 된다"고 하였다(내경).
疝脈弦急, 積聚在裏牢, 急者生, 弱急者死,

沈遲浮澁, 疝瘕寒痛, 痛甚則伏, 或細或動[脈訣].
산병의 맥은 현급하며 적취가 안에 있으면 뇌(牢)하다.

맥이 급하면 살 수 있으나 약하면서 급하면 죽는다.

침지부삽(沈遲浮澁)하면 산가인데, 이때는 차서 아픈 것이다.

아픔이 심하면 맥이 복(伏)한데, 세하거나 동(動)하기도 한다(맥결).
寸口脈, 弦而緊, 弦緊相搏, 則爲寒疝[正傳].
촌구맥이 현하면서 긴한데, 현맥과 긴맥이 함께 나타나면 한산이다(정전).
婦人少陰脈, 滑而數者, 陰中生瘡,

少陰脈, 浮而動, 浮則爲虛, 動則爲痛, 婦人則陰脫下[脈經].
부인의 소음맥이 활하면서 삭하면 음기(陰器)가 헌 것이고,

소음맥이 부하면서 동한 경우 부한 것은 허한 것이고,

동한 것은 아프기 때문인데 부인에게서는 음기가 아래로 빠져나온다[陰脫](맥경).
疝瘕積聚, 脈弦急者, 生, 虛弱小者, 死[脈經].
산가와 적취에서 맥이 현급하면 살고 허약하면서 세하면 죽는다(맥경).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疝病有七][산병유칠]   (0) 2020.03.25
[疝專主肝][산전주간]   (0) 2020.03.25
[疝病之因][산병지인]   (0) 2020.03.25
[前陰諸疾][전음제질]   (0) 2020.03.25
[前陰屬宗筋][전음속종근]  (0) 2017.07.15

[疝病之因][산병지인]
內經曰, 病在小腹, 腹痛, 不得大小便, 病名曰疝, 得之寒.

내경에서는 "병이 아랫배에 있어 배가 아프면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의 병명을 산병(疝病)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찬 기운 때문에 생긴 것이다"라고 하였다.

疝者, 寒氣結聚之所爲也[內經].

산병은 한기가 뭉쳐서 생기는 것이다(내경).

疝者, 睾丸連小腹急痛也 睾, 陰丸也,

有痛在睾丸者, 有在五樞穴邊者, 皆足厥陰之經也.

或有形, 或無形, 或有聲如蛙, 有形如瓜.

自素問以下, 皆以爲寒, 理固然也.

予思之, 此病始於濕熱在經, 鬱而至久, 又感寒氣外束, 所以作痛.

若只作寒論, 恐爲未備.

人有踼氷涉水, 終身不病此者, 無熱故也.

盖大怒則火起於肝, 醉飽則火起于胃, 房勞則火起于腎.

火積之久, 母能生子虛, 濕氣便盛.

厥陰屬木, 係於肝, 爲將軍之官, 其性急速, 火性又暴, 爲寒所束, 宜其痛之太暴也.

有以烏頭梔子作湯服之, 其效亦敏.

然濕熱, 又須分多少而治. 濕者腫多, 病是也[丹心].

산병은 고환에서 아랫배까지 땅기면서 아픈 것이다('고(睾)'는 음환, 곧 불알이다).

통증이 고환에 있거나 오추혈 주위에 있기도 하는데, 모두 족궐음간경에 속한다.

형체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며, 개구리 소리 같은 소리가 나기도 하고

오이 모양 같은 것도 있다.

소문이래로 모두 찬 기운이 원인이라고 보았는데 이치가 참으로 그러하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 병은 경맥에 있는 습열에서 비롯되는데,

뭉친 것이 오래된데다가 또 찬 기운이 밖에서 속박하였기 때문에 아픈 것이다.

찬 기운만으로 생긴다고 하면 아마도 설명으로 부족할 것이다.

오랫동안 얼음 위에서 뒹굴거나 물을 건너다닌다고 하여도

평생 이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이 있는데,

그 이유는 속에 열이 없기 때문이다.

크게 성을 내면 화가 간(肝)에서 일어나고,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으면 화가 위(胃)에서 일어나며,

지나치게 성생활을 하면 화가 신(腎)에서 일어난다.

화가 쌓여 오래되면 어미[火]가 자식[土]을 허하게 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습기가 바로 왕성해진다.

궐음은 목(木)에 속하고 간과 연관되어 있으며,

장군과 같은 기관이기 때문에 성질이 급하며 빠른데다가 화(火)의 성질도 사나워서

찬 기운의 속박을 받게 되면 그 아픔은 당연히 아주 갑작스럽고 세차다.

오두와 치자를 끓여 먹어도 효과가 빠르지만 습열이

또한 많고 적음에 따라 구분해서 치료하여야 한다.

습이 있을 때 붓는 경우가 많은데 퇴산(疝)이 바로 이것이다(단심).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疝病有七][산병유칠]   (0) 2020.03.25
[疝專主肝][산전주간]   (0) 2020.03.25
[脈法][맥법]   (0) 2020.03.25
[前陰諸疾][전음제질]   (0) 2020.03.25
[前陰屬宗筋][전음속종근]  (0) 2017.07.15

[前陰諸疾][전음제질]
前陰諸疾, 皆由足厥陰, 與督脈.

經曰, 足厥陰之脈, 入毛中, 過陰器, 抵小腹, 是肝脈所過也.

又曰, 督脈者, 起於小腹以下骨中央, 女子, 入繫挺孔, 循陰器,

男子, 循莖下, 至簒, 與女子等, 是督脈所過也.
전음의 여러 가지 병은 모두 족궐음맥과 독맥(督脈)에서 비롯된다.

영추에서 "족궐음맥은 음모 속으로 들어가서

음기(陰器)를 지나 아랫배로 거슬러간다"고 하였는데,

이는 간맥(肝脈)이 지나는 곳이다.

또 "독맥은 아랫배 밑의 뼈 한가운데에서 시작하는데,

여자는 음문으로 들어가 음기를 감싸 돌고

남자는 음경 아래를 감싸 돌아 회음까지 이르는 것이 여자와 같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독맥이 지나는 곳이다.
足厥陰之脈病, 爲丈夫, 疝狐疝, 婦人, 小腹腫[靈樞].
족궐음맥이 병들면 남자는 퇴산이나 호산이 되고, 여자는 아랫배가 붓는다(영추).
督脈, 起於下極之兪, 並於脊裏, 上至風府.

任脈, 起於中極之下, 以上毛際, 循腹裏, 至咽喉.

任脈爲病, 男子, 內結七疝, 女子, 帶下瘕聚[靈樞].
독맥은 맨 아래 수혈에서 시작하여 척추 속을 따라 위로 올라가 풍부혈에 이르고,

임맥은 중극혈의 아래에서 시작하여 털이 난 경계선으로 올라가

뱃속을 감싸 돌아서 인후에까지 이른다.

임맥에 병이 생기면 남자는 안으로 뭉쳐서 일곱 가지 산병이 되고,

여자는 대하나 징가, 적취가 된다(영추).
陰腫, 陰痿, 陰痒, 陰挺, 陰縮, 木腎, 陰蝕瘡, 腎藏風, 皆前陰之疾也.
음종, 음위, 음양, 음정, 음축, 목신, 음식창, 신장풍은 모두 전음의 병이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疝病有七][산병유칠]   (0) 2020.03.25
[疝專主肝][산전주간]   (0) 2020.03.25
[脈法][맥법]   (0) 2020.03.25
[疝病之因][산병지인]   (0) 2020.03.25
[前陰屬宗筋][전음속종근]  (0) 2017.07.15

[猪鬐膏][저기고 / 돼지 목덜미 기름] 

 
主髮落.
取臘月者, 火上烊化塗之, 卽生.
髮薄不生, 亦宜[本草].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주치한다.
음력 12월에 기름을 불 위에서 녹여 바르면 곧 머리카락이 난다.
드문드문 나거나 생기지 않는 데에도 좋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糞][양분]  (0) 2020.03.25
[白鴿糞][백합분]   (0) 2020.03.25
[熊脂][웅지]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羊糞][양분] 

 
治髮落.
燒灰, 淋汁沐頭, 令易生而黑.
又髮鬚落, 糞和鴈膏, 付三宿卽生[本草].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양의 똥을 태운 재에서 잿물을 받아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쉽게 나고 검어지게 된다.
또 머리카락이나 수염이 빠지면 똥을 기러기기름과 섞어 3일 밤을 붙여두면 바로 난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鬐膏][저기고]   (0) 2020.03.25
[白鴿糞][백합분]   (0) 2020.03.25
[熊脂][웅지]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白鴿糞][백합분 / 흰 비둘기의 똥] 


治頭上白禿瘡.
取糞爲末, 以酸泔洗了, 香油調付[本草].
머리의 백독창을 다스린다.
똥을 가루내어 머리를 신 쌀뜨물에 씻은 다음 참기름에 개어 붙인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鬐膏][저기고]   (0) 2020.03.25
[羊糞][양분]  (0) 2020.03.25
[熊脂][웅지]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熊脂][웅지] 

 
主頭痒生白禿瘡髮落.

常常塗之, 令生髮且長黑.
머리가 가렵거나 백독창이 생겨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주치한다.
늘 바르면 머리카락을 나게 하고 또 길고 검어지게 한다.
髮落, 熊腦髓作油, 塗之.
머리카락이 빠지면 곰의 골수로 기름을 내어 바른다.
髮黃落, 熊脂亦常塗之[本草].
머리카락이 누렇게 되면서 빠지는 데에도 곰의 기름을 늘 바른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糞][양분]  (0) 2020.03.25
[白鴿糞][백합분]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胡桃][호도]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 순무씨] 

 
壓取油, 塗頭, 能變蒜髮.
今人呼斑髮, 爲蒜髮[本草]. 
순무의 씨를 눌러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파뿌리처럼 흰머리를 검게 할 수 있다.
요즘 사람들이 '반발[센 머리]'이라고 하는 것은 '산발[파뿌리처럼 흰머리]'을 말한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鴿糞][백합분]   (0) 2020.03.25
[熊脂][웅지]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胡桃][호도]   (0) 2020.03.25
[母丁香][모정향]   (0) 2020.03.25

[胡麻][호마 / 참깨] 

 
生取油, 塗頭生禿髮.
又烏麻, 九蒸九暴爲末, 棗膏丸服, 令白髮還黑.
又取葉煎湯沐頭, 長髮[本草].
참깨를 날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바르면 머리카락이 난다.
또 검은깨를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려 가루를 내고,

대조육으로 만든 고약에 섞어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흰 머리를 다시 검게 만든다.
또 잎을 달여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길어진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熊脂][웅지]   (0) 2020.03.25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桃][호도]   (0) 2020.03.25
[母丁香][모정향]   (0) 2020.03.25
[黑桑椹][흑상심]   (0) 2020.03.25

[胡桃][호도] 



外靑皮, 和科斗爲泥, 染白鬚令黑.
又胡桃仁取油, 塗鬚髮, 令黑潤有光[本草].
호도의 푸른 겉껍질을 올챙이와 같이 진흙처럼 되게 반죽하여 흰 수염에 바르면 검어진다.
또 호도인에서 짜낸 기름을 수염이나 머리카락에 바르면 검어지고 윤기가 난다(본초).

'[外形篇] > [毛髮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蔓菁子][만청자]   (0) 2020.03.25
[胡麻][호마]   (0) 2020.03.25
[母丁香][모정향]   (0) 2020.03.25
[黑桑椹][흑상심]   (0) 2020.03.25
[槐實][괴실]   (0) 2020.03.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