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疝痛劫藥][산통겁약]
寒疝入腹刺痛, 及小腸膀胱氣, 痛劇, 宜梔附湯.
한산(寒疝)이 배로 들어가 찌르듯이 아프고 소장기, 방광기로 심하게 아픈 데는 치부탕을 쓴다.
劫疝痛藥, 烏頭梔子, 並切炒, 擂細順流水, 入薑汁調服.

梔子以降濕熱, 烏頭以破寒鬱, 皆下焦之藥, 而烏頭爲梔子所引,

其性急速, 不容胃中停留也[正傳].
산통을 빨리 없애는 약으로는 오두와 치자를 함께 썰어 볶아서

순류수에 곱게 갈아 생강즙을 넣어 먹는다.

치자는 습열을 내리고 오두는 찬 기운이 뭉친 것을 깨뜨리는데 둘 다 하초의 약으로,

오두는 치자에 끌려서 그 성질이 급하고 빨라져 위(胃) 속에 머물러 있지 않게 된다(정전).
又方
桂枝, 山梔 炒, 川烏 細切炒.
右爲末, 薑汁糊和丸, 薑湯下三四十丸, 大能劫痛[綱目].
또 다른 처방
계지, 산치자(볶은 것), 천오(잘게 썰어 볶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서른에서 마흔 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

통증을 매우 빨리 없애준다(강목).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疝病危證][산병위증]   (0) 2020.03.28
[諸疝通治][제산통치]  (0) 2020.03.28
[陰囊濕痒][음낭습양]  (0) 2020.03.28
[囊癰][낭옹]  (0) 2020.03.28
[陰腫][음종]   (0) 2020.03.27

[陰囊濕痒][음낭습양]
陰囊濕痒, 謂之腎藏風.

人之精血不足, 內爲嗜慾所耗, 外爲風冷所乘, 風濕毒氣, 從虛而入,

囊下濕痒, 或生瘡皮脫. 下注則兩脚生瘡癬, 或耳鳴眼昏.

宜活血驅風散, 蒺藜散, 四生散, 乳香龍骨散, 烏頭丸, 椒粉散[直指].
고환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을 신장풍(腎藏風)이라고 한다.

정혈이 부족한데다가 안으로는 내키는 대로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소모하고

밖으로는 풍사와 냉기가 침범하여 풍과 습의 독기가 허한 곳을 따라 들어와

고환 아래가 축축하고 가렵거나 헐어서 살갗이 벗겨지게 된다.

아래로 내려가면 두 다리에 헌데나 부스럼이 생기고 또는 귀가 울고 눈이 침침해진다.

활혈구풍산, 질려산, 사생산, 유향용골산, 오두환, 초분산 등을 쓴다(직지).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疝通治][제산통치]  (0) 2020.03.28
[疝痛劫藥][산통겁약]   (0) 2020.03.28
[囊癰][낭옹]  (0) 2020.03.28
[陰腫][음종]   (0) 2020.03.27
[陰冷][음랭]  (0) 2020.03.27

[囊癰][낭옹]
詳見癰疽.
옹저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疝痛劫藥][산통겁약]   (0) 2020.03.28
[陰囊濕痒][음낭습양]  (0) 2020.03.28
[陰腫][음종]   (0) 2020.03.27
[陰冷][음랭]  (0) 2020.03.27
[陰痿][음위]  (0) 2020.03.27

[陰腫][음종]
陰囊腫大或不痛, 卽水之類.

新發者, 宜三白散, 橘核散, 久者, 宜橘核丸 三方見上.
고환이 크게 부었지만 아프지 않은 것은 수퇴 종류이다.

갓 생긴 데에는 삼백산이나 귤핵산을 쓰고,

오래된 데에는 귤핵환을 쓴다(세 처방 모두 앞에 있다).
陰腫, 宜五苓散 方見寒門, 合三疝湯 方見上, 加靑皮檳榔木通, 空心煎服[入門].
고환이 부은 데에는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삼산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합하고,

청피, 빈랑, 목통을 더 넣고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陰腫偏大或痛, 牡蠣煅粉, 乾薑炮末一兩, 水調如糊, 塗病處, 卽愈[本草].
고환 한쪽이 부어서 커지고 아프기도 한 데에는 모려(불에 달구어 가루낸 것),

건강(싸서 구워 가루낸 것) 한 냥을 물에 풀처럼 개어서 아픈 곳에 바르면 바로 낫는다(본초).  
陰腫, 宜用蟬退散.
고환이 부은 데에는 선퇴산을 쓴다.
小兒外腎腫大, 莖物通明, 牡蠣粉津唾調塗.

又地龍糞薄荷汁, 調塗.

葱白汁甘草汁, 皆可[本草].
아이의 고환[外腎]이 부어서 커지고 음낭이 말갛게 비치는 데는 모려분을 침에 개어 바른다.

또 지룡분을 박하즙에 개어 바른다.

총백즙이나 감초즙에 개어 발라도 된다(본초).
大人小兒, 陰腫硬痛, 地龍不去土爲末,

蚯蚓糞等分, 以雞子淸, 調付患處, 綿巾包裹, 登時縮上.

卽洗去, 如神[種杏].
어른이나 아이의 고환이 부어 딴딴하고 아픈 데에는

지룡(흙을 털지 않고 가루낸 것)과 구인분을 같은 양으로 하여

달걀 흰자위로 개어 아픈 곳에 붙이고 무명 수건으로 감싸면 바로 오므라든다.

오므라들면 바로 씻어내는데 아주 잘 낫는다(종행).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囊濕痒][음낭습양]  (0) 2020.03.28
[囊癰][낭옹]  (0) 2020.03.28
[陰冷][음랭]  (0) 2020.03.27
[陰痿][음위]  (0) 2020.03.27
[脫陽證][탈양증]   (0) 2020.03.27

[陰冷][음랭]
下部陽虛, 陰冷如氷, 宜八味丸 方見五藏,

加减內固丸, 十補丸, 吳茱萸湯, 淸魂湯, 回春散, 助陽散.
하초의 양기가 허하여 음부가 얼음같이 차가운 데에

팔미환(처방은 오장문), 가감내고환, 십보환, 오수유탕, 청혼탕, 회춘산, 조양산 등을 쓴다.
一僧病疝, 冷氣上貫齒, 下貫腎, 緊若繩挽, 兩睪時腫而冷.

戴人診兩手脈細而弱, 斷之曰, 秋脈也.

此因金氣在上, 下伐肝木, 木畏金, 抑而不伸, 故病如是.

肝氣盤礴, 不能下榮於睾丸, 故其寒實非寒也.

木受金制, 傳之胃土, 胃爲陽明, 故上貫齒.

肝木者, 心火之母也, 母旣不伸, 子亦屈伏.

故下冷而水化乘之. 經曰, 木鬱則達之, 土鬱則泄之.

令涌泄四次, 果覺氣和, 睪丸痒而煖.

戴人曰, 氣已入睪中矣. 以茴香蓬朮之藥, 使服之, 一月而愈[子和]. 
어떤 중이 산병을 앓아 냉기가 위로 이[齒]를 관통하고 아래로 신(腎)을 관통하여

마치 줄이 당기듯이 팽팽하고, 양쪽 고환이 때때로 붓고 싸늘하였다.

장종정이 두 손의 맥을 짚으니 세(細)하고 약(弱)하였다.

이에 판단하여 말하기를 "이것은 추맥(秋脈)이다.

이는 금기가 위에 있어서 아래로 오행의 목(木)에 해당하는 간(肝)을 치므로

목이 금(金)을 어려워하여 억눌려 펴지 못하게 되어 병이 이렇게 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간기는 가득 차 있으나 아래로 고환을 성하게 하지 못하는 까닭에

그 찬 기운은 실은 찬 기운이 아니다.

목이 금의 제약을 받아 오행의 토(土)에 해당하는 위(胃)로 전해주는데,

위는 양명이므로 위[上]로 치아를 관통한 것이다.

오행의 목에 해당하는 간은 화(火)에 해당하는 심(心)의 어미인데,

어미가 이미 [자신의 기를] 펴지 못하여 자식 또한 굴복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가 서늘해지고 수가 화를 올라타게 되는 것이다.

소문에서는 "목기가 뭉치면 뚫어주고 토기가 뭉치면 설사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네 차례 토하게 하고 설사시키니 기가 고르게 되고

고환이 가렵고 따뜻해지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장종정이 "기가 이미 고환 속으로 들어갔다"고 하였다.

회향과 봉출 같은 약을 한 달 먹이니 나았다(자화).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囊癰][낭옹]  (0) 2020.03.28
[陰腫][음종]   (0) 2020.03.27
[陰痿][음위]  (0) 2020.03.27
[脫陽證][탈양증]   (0) 2020.03.27
[陰縱陰縮][음종음축]   (0) 2020.03.27

[陰痿][음위]
陰痿皆耗散過度, 傷于肝筋所致.

經云, 足厥陰之經, 其病傷于內, 則不起, 是也[綱目].
음경이 시드는 것은 모두 지나치게 소모하여 간(肝)의 경근이 상하였기 때문이다.
영추에서 "족궐음경맥의 병은 안[성생활]으로 상하면

음경이 일어서지 않는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강목).
陰痿乃七傷之疾, 虛勞門參考.
음경이 시든 것은 칠상의 병이니 허로문을 참고하라.
陰痿, 宜還少丹, 五精丸, 上丹, 膃肭補天丸, 固本健陽丹 方見婦人, 九仙靈應散.
음위(陰痿)에는 환소단, 오정환, 상단, 올눌보천환, 고본건양단(처방은 부인문),

구선영응산등을 쓴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腫][음종]   (0) 2020.03.27
[陰冷][음랭]  (0) 2020.03.27
[脫陽證][탈양증]   (0) 2020.03.27
[陰縱陰縮][음종음축]   (0) 2020.03.27
[奔豚疝氣][분돈산기]   (0) 2020.03.27

[脫陽證][탈양증]
詳見救急.
구급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冷][음랭]  (0) 2020.03.27
[陰痿][음위]  (0) 2020.03.27
[陰縱陰縮][음종음축]   (0) 2020.03.27
[奔豚疝氣][분돈산기]   (0) 2020.03.27
[木腎][목신]   (0) 2020.03.27

[陰縱陰縮][음종음축]
靈樞曰, 莖垂者, 身中之機, 陰精之候, 津液之道也.
영추에서는 "음경과 고환은 몸의 기틀이요,

음정(陰精)의 상태가 드러나는 곳이며 진액의 길이다"라고 하였다.
陰縱謂前陰受熱, 挺長不收也.

陰縮謂前陰受寒, 入腹內也.

經曰, 足厥陰之筋, 傷於內, 則不起, 傷於寒, 則陰縮入, 傷於熱, 則縱挺不收, 是也[綱目].
음종(陰縱)은 음경이 열을 받아 길게 늘어져 다시 줄어들지 않는 것이다. 음

축(陰縮)은 음경이 찬 기운을 받아 뱃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영추에서 "족궐음의 근이 안[성생활]으로 상하면

음경이 일어서질 않고, 찬 기운에 상하면 오므라들어 들어가고,

열에 상하면 늘어져 다시 줄어들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강목).
陰囊垂縮, 有寒有熱.

夫熱在外, 寒在內, 則囊垂, 此九夏之氣也.

寒在外, 熱在內, 則囊縮, 此三冬之氣也.

以不病人論之, 夏暑大熱, 囊卵累垂, 冬天大寒, 急縮收上.

盖冬天, 陽氣在內, 陰氣在外, 故寒在外, 則皮急, 皮急, 則囊縮.

夏月陰氣在內, 陽氣在外, 故熱在外, 則皮緩, 皮緩, 則囊垂.

此疝之象.

至於傷寒, 及熱病, 熱入厥陰, 則囊卵縮者, 熱傷筋, 筋急故也.

凡火灼則筋急, 亦其類也[綱目].
고환이 늘어지거나 오므라드는 것은 찬 기운이 있거나 열 기운이 있기 때문이다.

열이 바깥에 있고 찬 기운이 안에 있으면 고환이 늘어지는데, 이는 여름 기운 때문이다.

찬 기운이 바깥에 있고 열이 안에 있으면 고환이 오므라드는데 이는 겨울 기운 때문이다.

병이 없는 사람을 예로 들어보면 여름에 더울 때 고환이 늘어지고,

겨울에 날이 추울 때는 금방 쪼그라들어 위로 올라붙는다.

겨울에는 양기가 안에 있고 음기가 바깥에 있는 까닭에

찬 기운이 밖에 있으면 피부가 당겨지고 피부가 당겨지면 고환이 오므라든다.

여름에는 음기가 안에 있고 양기가 바깥에 있는 까닭에

열이 바깥에 있으면 피부가 느슨해지고 피부가 느슨해지면 고환이 늘어진다.

이것이 퇴산이 생기는 모양새이다.

상한이나 열병에서 열이 궐음경으로 들어가 고환이 오므라드는 것은

열이 근(筋)을 상하여 근이 당기기 때문이다.

화(火)가 세지면 근이 당기는데 이것도 같은 이유이다(강목).
陰縮在女子, 則陰戶急痛, 引小腹疼[入門].
음축이 여자에게서는 음문이 당기고 아프면서 아랫배까지 당기며 아픈 것이다(입문).
男子陰挺腫脹, 陰莖諸疾, 通用龍膽瀉肝湯 方見上.
남자가 음정으로 붓고 팽팽해지는 것과

음경의 여러 병에는 용담사간탕을 두루 쓴다(처방은 앞에 있다).
陰囊縮, 詳見傷寒門, 及霍亂門, 可參考.
고환이 오므라드는 것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한문을 보거나 곽란문을 참고하라.
一少年, 玉莖挺長腫而痿, 皮塌常潤, 磨股難行, 兩脇氣逆上, 手足倦弱,

先以小柴胡湯 方見寒門, 加黃連大劑, 行其濕熱, 少加黃柏, 降其逆上之氣, 腫漸收,

外以絲瓜汁, 調五倍子末, 付之而愈[丹心].
어떤 청년이 음경이 길게 늘어져 붓고 힘이 없어 거죽이 처져서 늘 축축해져 사타구니에

쓸려서 걷기가 어렵고, 양 옆구리의 기가 거꾸로 치밀어올라 팔다리에 힘이 없었는데,

먼저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황련을 많이 넣어 습열을 풀고 황백을 조금 넣어

거꾸로 치미는 기운을 내려주니 부기가 점점 줄어들었다.

외용으로 수세미[絲瓜]즙에 오배자가루를 타서 붙이니 나았다(단심).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痿][음위]  (0) 2020.03.27
[脫陽證][탈양증]   (0) 2020.03.27
[奔豚疝氣][분돈산기]   (0) 2020.03.27
[木腎][목신]   (0) 2020.03.27
[陰卵偏墜][음란편추]   (0) 2020.03.26

[奔豚疝氣][분돈산기]
臍下有動氣, 名曰腎氣, 亦曰奔豚.

奔豚, 腎之積名也.
五積中, 惟臍下奔豚衝心, 最急.

其人素有腎積, 因傷寒之邪, 衝突下焦, 致其發動, 如江豚之奔衝也.
大抵眞氣內虛, 水結不散, 氣與之搏, 卽發奔豚.

雖有發表攻裏之證, 汗之下之, 皆不可也.
理中湯 方見寒門 加肉桂及赤茯苓去白朮主之.
盖桂能泄奔豚, 茯苓能伐腎邪故也.
白朮助土剋水, 燥腎閉氣, 是以去之[丹心].
배꼽 아래가 툭툭 뛰는 것을 신기(腎氣)라고도 하고, 분돈(奔豚)이라고도 한다.

분돈이란 신(腎)과 연관된 적(積)의 이름이다.

다섯 가지 적 가운데 배꼽 아래의 분돈이 심(心)으로 치받는 것이 가장 위급하다.

평소 신적(腎積)이 있는 사람에게 상한의 사기가 들어와 하초에 부딪치기 때문에

마치 상괭이가 물을 차고 뛰어오르듯이 분돈이 발동하게 된다.

이 병은 대개 진기가 속으로 허한데 수기가 맺혀 흩어지지 않아

기가 이것과 맞부딪치게 되면 분돈이 나타난다. 

비록 겉으로 발산시키고 속을 훑어내야 할 병증이 있더라도

땀을 내거나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육계·적복령을 더하고,

백출을 뺀 약으로 주치한다.

육계는 분돈을 풀어 내릴 수 있고, 복령은 신의 사기를 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백출은 토(土)를 도와 수(水)를 제약[克]하여 신을 마르게 하고

기를 막기 때문에 뺀 것이다(단심).
奔豚氣衝心, 宜奪命丹, 胡蘆巴元, 一揑金散.
분돈의 기가 심을 치받으면 탈명단, 호로파원, 일날금산 등을 쓴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脫陽證][탈양증]   (0) 2020.03.27
[陰縱陰縮][음종음축]   (0) 2020.03.27
[木腎][목신]   (0) 2020.03.27
[陰卵偏墜][음란편추]   (0) 2020.03.26
[狐疝藥][호산약]   (0) 2020.03.26

[木腎][목신]
木腎之證, 脹大作痛, 頑痺結硬.

治法當溫散溫利, 以內消之.

又有墜墮跌傷, 驚氣與敗血交攻, 亦有木强脹痛之證.

治法更爲之消瘀, 宜川練散[直指].
목신의 병증은 음경이 팽팽하게 커져서 아프고 우리하게 저리면서 딴딴하게 뭉친 것이다.

치료 방법은 따뜻하게 하여 흩어주고 소변으로 잘 나가게 하여[溫散溫利]

안에서 삭혀주어야 한다.

또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져 다쳐서 놀란 기운과 어혈이 번갈아

음경을 치면 역시 나무처럼 뻣뻣하고[木强] 팽팽하게 아픈 병증이 생긴다.

치료 방법은 무엇보다도 어혈을 풀어주어야 하는데 천련산을 쓴다(직지).
木腎者, 陰莖堅硬, 頑痺不痛, 乃心火不降, 腎水不溫.

宜四製茱萸丸, 四炒川練丸 二方見下, 敗血攻入者, 當消瘀血[入門].
목신은 음경이 딴딴해져 우리하게 저리면서도 아프지는 않은데,

이것은 심화가 내려오지 못하여 신수가 따뜻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사제수유환이나 사초천련환(두 처방 모두 뒤에 있다)을 쓰고,

어혈이 속으로 침입하면 어혈을 풀어주어야 한다(입문).
木腎不痛, 宜活腎丸[入門].
목신에 아프지는 않은 데는 활신환을 쓴다(입문).
消渴木腎, 一名强中, 無治法 詳見消渴.
소갈병으로 생긴 목신을 강중(强中)이라고 하는데,

치료 방법이 없다(소갈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外形篇] > [前陰]'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縱陰縮][음종음축]   (0) 2020.03.27
[奔豚疝氣][분돈산기]   (0) 2020.03.27
[陰卵偏墜][음란편추]   (0) 2020.03.26
[狐疝藥][호산약]   (0) 2020.03.26
[氣疝藥][기산약]   (0) 2020.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