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氣][중기]
本事曰, 凡人暴喜傷陽, 暴怒傷陰, 憂愁怫, 氣多厥逆, 便覺涎潮昏塞, 牙關緊急.

若槪作中風用藥, 多致殺人. 

若有此證, 急化蘇合香元灌之, 醒後隨證調治.

본사에서는 "사람이 갑자기 너무 즐거워하면 양(陽)을 상하고, 갑자기 몹시 화내면 음(陰)을 상하며, 걱정과 근심으로 마음이 답답하면 대개 기가 치밀어오르게 되니[厥逆], 갑자기 침을 흘리고 까무러치며 입을 악다물게[牙關緊急] 된다.

이를 만약 중풍으로 보고 약을 쓰면 흔히 사람을 죽이게 된다.

만약 이러한 증이 있으면 급히 소합향원을 개어 흘려먹이고 깨어나면 증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得效曰, 中風則脈浮身溫, 口多痰涎.

中氣則脈沈身凉, 口無痰涎.

中風而以中氣藥治之, 亦無所傷.

中氣而以中風藥投之, 禍不旋踵, 先用蘇合香元.

次用七氣湯加石菖蒲.

득효에서는 "중풍(中風)은 맥이 부(浮)하고 몸은 따뜻하며 입에 담연(痰涎)이 많다.

중기(中氣)는 맥이 침(沈)하고 몸이 차며 입에 담연이 없다.

중풍에 중기 약으로 치료하여서는 크게 손상됨이 없으나 중기에 중풍 약을 쓰면 곧 부작용이 난다"고 하였다.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뒤에 칠기탕에 석창포를 더 넣어 쓴다.

方氏曰, 中風多不能治, 中氣須曳便醒, 其故何歟.

夫中風中氣, 一源流也, 皆由忿怒所致.

人之五志, 惟怒爲甚, 所以爲病之暴也.

盖少壯之人, 氣血未虛, 眞水未竭, 火畏於水, 不能上升, 所以身凉無痰涎, 須曳便醒也.

老衰之人, 氣血俱虛, 眞水已竭, 火寡於畏, 得以上升, 所以身溫有痰涎, 多不能治也.
방광(方廣)은 "중풍은 대개 치료가 불가능한데,

중기는 잠시 있다 곧 깨어나니 무엇 때문에 그러한가.

중풍이나 중기의 근원은 하나로, 모두 분노로 인하여 생긴다.

사람의 오지(五志) 중에서 오직 화내는 것이 제일 심하여 갑자기 병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대개 소년이나 장년인 사람은 기혈이 아직 허하지 않고 진수(眞水)가 마르지 않아서 화(火)가 수(水)를 두려워하여 마음대로 올라가지 못하므로 몸이 서늘하고 담연이 없고 병이 생겨도 잠시 있다 곧 깨어난다.

그러나 노쇠한 사람은 기혈이 허하고 진수가 이미 말라 화가 두려움이 적어 마음대로 올라가므로 몸이 덥고 담연이 있으며 대개는 치료가 안 된다"고 하였다.


入門曰, 中氣虛者, 八味順氣散. 實者, 四七湯.

입문에서는 "중기의 허증에는 팔미순기산을 쓰고, 실증에는 사칠탕을 쓴다"고 하였다.


回春曰, 中氣者, 因與人相爭, 暴怒氣逆, 而暈倒也.

先用薑湯灌救, 甦後用木香順氣散.

회춘에서는 "중기는 다른 사람과 서로 싸워서 갑자기 크게 화냄으로써 기가 위로 거슬러올라가[上逆] 어지러우면서 실신하는 것이다.

먼저 생강 달인 물을 흘려먹여서 목숨을 구하고 깨어난 뒤에는 목향순기산을 쓴다"고 하였다.


醫鑑曰, 內經曰, 無故而瘖, 脈不至, 不治自已, 謂氣暴逆也.

氣復則已, 審如是, 雖不服藥亦可.
 의감에서는 "내경에서 '아무 이유 없이 말이 나오지 않고 맥이 뛰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가 갑자기 거슬러오른 경우[氣逆]이다.

그래서 기가 제자리로 다시 돌아가면 병이 낫는 것이다.

살펴보아서 이런 경우라면 약을 쓰지 않아도 좋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氣][하기]   (0) 2019.09.30
[上氣][상기]   (0) 2019.09.30
[九氣][구기]   (0) 2019.09.30
[七氣][칠기]   (0) 2019.09.30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九氣][구기]
黃帝問曰, 余知百病生於氣也, 怒則氣上, 喜則氣緩, 悲則氣消,

恐則氣下, 寒則氣收, 炅則氣泄, 驚則氣亂, 勞則氣耗, 思則氣結.

九氣不同, 何病之生.

황제가 "나는 모든 병이 기에서 생긴다고 알고 있다.

지나치게 화를 내면 기가 올라가고[氣上] 너무 즐거워하면 기가 늘어지고[氣緩] 너무 슬퍼하면 기가 소모되고[氣消] 너무 두려워하면 기가 아래로 가라앉고[氣下] 너무 차가우면 기가 수렴만 되고[氣收] 너무 뜨거우면 기가 빠져나가고[氣泄] 너무 놀라면 기가 어지러워지고[氣亂] 너무 과로하면 기가 없어지고[氣耗] 이런저런 생각이 많으면 기가 맺힌다[氣結].

구기(九氣)가 서로 달리 병이 생기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물었다.


岐伯對曰, 怒則氣逆, 甚則嘔血及飱泄, 故氣上矣.

喜則氣和志達, 榮衛通利, 故氣緩矣.

悲則心系急, 肺布葉擧而上焦不通, 榮衛不散, 熱氣在中, 故氣消矣.

恐則精却, 却則上焦閉, 閉則氣還, 還則下焦脹, 故氣不行矣.

寒則腠理閉, 氣不行, 故氣收矣.

炅則腠理開, 榮衛通, 汗大泄, 故氣泄矣.

驚則心無所倚, 神無所歸, 慮無所定, 故氣亂矣.

勞則喘息汗出, 內外皆越, 故氣耗矣.

思則心有所存, 神有所歸, 正氣留而不行, 故氣結矣[內經]

기백이 대답하기를 "화를 내면 기가 거슬러오르는데[逆], 심하면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므로 기가 거슬러오르게 되는 것이다.

기뻐하면 기가 고르고 뜻이 두루 잘 통하며 영위(榮衛)가 잘 소통되므로 기가 느슨하게 된다.

슬퍼하면 심계(心系)가 당기고 폐엽(肺葉)이 들떠서 상초가 통하지 않고 영위가 잘 흩어지지 않으며 열이 안에 생기고 열이 기를 소모시키므로 기가 소모되게 된다.

두려워하면 정(精)이 물러나게 되고[却], 정이 물러나면 상초(上焦)가 막히고, 상초가 막히면 기가 하초(下焦)로 돌아가고, 기가 하초로 돌아가면 하초가 창만 해지므로 기가 돌지 않게 된다.

추우면 주리(腠理)가 막히고 기가 돌지 못하므로 기가 수렴된다.

뜨거우면 주리가 열려 영위가 소통되고 땀이 많이 나오므로 기가 빠져나간다.

놀라면 심(心)이 기댈 곳이 없고 신(神)이 돌아갈 곳이 없어지며 생각에 일정함이 없으므로 기가 어지럽다.

과로하면 숨이 차고 땀이 나서 안과 밖에서 모두 기를 흐트러뜨리니 기가 없어진다.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면 심(心)에 남아 있는 것이 있고 신(神)에 귀착되는 것이 있어서 정기(正氣)가 머물러 움직이지 않으므로 기가 맺히게 된다"고 하였다(내경).

又有九氣, 一曰膈氣, 二曰風氣, 三曰寒氣, 四曰熱氣,

五曰憂氣, 六曰喜氣, 七曰驚氣, 八曰怒氣, 九曰山嵐瘴氣.

積聚如盃, 心腹刺痛, 發則欲死. 宜神仙九氣湯, 正氣天香湯[得效].

또한 구기(九氣)가 있는데, 첫 번째는 격기(膈氣)이고, 둘째는 풍기(風氣), 셋째는 한기(寒氣), 넷째는 열기(熱氣), 다섯째는 우기(憂氣), 여섯째는 희기(喜氣), 일곱 번째는 경기(驚氣), 여덟 번째는 노기(怒氣), 아홉 번째는 산람장기(山嵐瘴氣)이다.

이런 것들이 모이고 쌓여서 마치 그릇을 엎어놓은 듯한 덩어리[積聚]가 되어 가슴과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프며, 이 증상이 생기면 곧 죽을 것만 같다.

신선구기탕, 정기천향탕을 쓴다(득효).


九氣治法, 高者抑之, 下者擧之, 寒者熱之, 熱者寒之,

驚者平之, 勞者溫之, 結者散之, 喜者以恐勝之, 悲者以喜勝之[心法].

구기의 치법은 기가 올라가 있으면 누르고 아래에 있으면 올리고 차가우면 덥게 하고 뜨거우면 식히고 놀란 것은 평안하게 하고 피곤하면 온화(溫和)하게 하고 맺힌 것은 풀어주고 너무 즐거워하면 두려워하게 하여 누르고 너무 슬퍼하면 기쁘게 하여서 누른다(심법).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상기]   (0) 2019.09.30
[中氣][중기]   (0) 2019.09.30
[七氣][칠기]   (0) 2019.09.30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七氣][칠기]
七氣者, 喜怒悲思憂驚恐.

或以爲寒熱恚怒喜憂愁, 皆通也[直指].
칠기는 즐겁고 노하고 슬프고 골똘히 생각하고 근심하고 놀라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혹은 차고 뜨겁고 원망하고 화내고 즐겁고 걱정하고 근심하는 것이라고도 하니

모두 같은 뜻이다(직지).

直指曰, 人有七情, 病生七氣.

氣結則生痰, 痰盛則氣愈結.

故調氣必先豁痰, 七氣湯, 以半夏主治, 而官桂佐之, 盖良法也.
직지에서는 "사람에게는 칠정(七情)이 있어서 이에 따라 병도 칠기(七氣)가 생긴다.

기가 뭉치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뭉친다.

따라서 조기(調氣)를 하되 반드시 먼저 담을 삭혀주어야 한다.

칠기탕같이 반하를 주약(主藥)으로 하면서 관계로 좌(佐)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又曰, 七氣相干, 痰涎凝結如絮如膜, 甚如梅核, 窒碍於咽喉之間, 喀不出嚥不下.

或中滿艱食, 或上氣喘急.

曰氣隔, 曰氣滯, 曰氣秘, 曰氣中, 以至五積六聚疝癖癥瘕, 心腹塊痛.

發則欲絶, 殆無往而不至矣.

宜服七氣湯, 四七湯, 分心氣飮, 香橘湯.
또 "칠기가 서로 간여하면 담연(痰涎)이 솜이나 엷은 막처럼 뭉치고 심하면 매실의 씨[梅核] 같은 것이 목구멍 사이에 막혀서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다.

배가 그득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혹은 기가 위로 올라[上氣] 숨이 몹시 차게 된다.

이를 기격(氣隔), 기체(氣滯), 기비(氣秘), 기중(氣中)이라 하며,

이는 오적(五積), 육취(六聚), 징가(癥瘕), 산벽(疝癖)을 일으켜

명치와 복부에 덩어리가 생겨서 아프다.

이런 증상이 발작하면 마치 죽을 것 같으며, 담연이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고 하였다.

칠기탕, 사칠탕, 분심기음, 향귤탕을 쓴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氣][중기]   (0) 2019.09.30
[九氣][구기]   (0) 2019.09.30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脈法][맥법]  (0) 2019.09.29

[氣逸則滯][기일칙체]
臞仙曰, 人之勞倦, 有生於無端, 不必持重執輕, 仡仡終日.

惟是閑人多生此病.

盖閑樂之人, 不多運動氣力, 飽食坐臥, 經絡不通, 血脈凝滯使然也.

是以貴人貌樂而心勞, 賤人心閑而貌苦.

貴人嗜慾不時, 或昧於忌犯, 飮食珍羞, 便乃寢臥.

故常須用力, 但不至疲極, 所責榮衛流通, 血脈調暢, 譬如流水不汚, 戶樞不蠧.
구선은 "노권(勞倦)한 증상은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무겁거나 가벼운 일을 하거나 하루 종일 날래게 일을 하여서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한가한 사람에게 이 병이 많이 생기는데,

한가하게 즐기는 사람은 거의 기력을 쓰지 않고 포식하고 나서

앉거나 누워 있으므로 경락이 통하지 않고 혈맥이 응체되어 그러한 것이다.

그러므로 귀한 사람은 몸은 즐거우나 마음이 괴롭고,

천한 사람은 마음은 한가하나 몸이 고달프다.

귀한 사람은 즐기고자 하는 욕심이 때도 없이 생기고

혹은 범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탐하고 진수성찬을 먹고 마신 후 곧 잠자리에 눕는다.

따라서 늘 힘을 써야 하지만 지나치게 피로하지 않게 하여 영위(榮衛)를 소통시키고

혈맥이 고르게 잘 통하도록 힘써야 하니,

이는 마치 흐르는 물이 더러워지지 않고 문의 지도리에는 좀이 슬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入門曰, 逸則氣滯, 亦令氣結. 輕者, 行動卽愈, 重者, [橘皮一物湯].
입문에서는 "너무 편안하면 기가 막히고 또한 기를 뭉치게 하니,

증상이 가벼울 때는 운동을 하면 곧 낫지만 심할 때는 귤피일물탕을 쓴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九氣][구기]   (0) 2019.09.30
[七氣][칠기]   (0) 2019.09.30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脈法][맥법]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丹溪曰, 周流乎一身以爲生者, 氣也.

苟內無所傷, 外無所感, 何氣病之有哉.

今者, 冷氣滯氣逆氣上氣, 皆是肺受火邪, 氣得炎上之化,

有升無降, 熏蒸淸道, 甚而轉成劇病,

局方例用辛香燥熱之劑, 是以火濟火也.
단계는 "온몸을 돌아서 사람을 살리는 것이 기(氣)이다.

진실로 칠정(七情)으로 속을 상하지 않고 밖으로부터 외사(外邪)를 받지 않는다면

어찌 기병(氣病)이 있을 수 있겠는가.

냉기(冷氣), 체기(滯氣), 역기(逆氣), 상기(上氣)는

모두 폐가 화사(火邪)를 받고 기가 타올라서 변화한 증상으로,

기가 오르기만 하고 내려가지 않고 청도(淸道)를 훈증(熏蒸)하여 심하면 극(劇)한 병이 된다.

국방에서 신향조열(辛香燥熱)한 약을 사용한 것은

화(火)로써 화(火)를 다스린 것이다"라고 하였다.

張子和曰, 諸病皆生於氣, 諸痛皆因於氣.
回春曰, 風傷氣者, 爲疼痛.

寒傷氣者, 爲戰慄, 暑傷氣者, 爲熱悶, 濕傷氣者, 爲腫滿, 燥傷氣者, 爲閉結.

장자화는 "모든 병은 기에서 생기며 모든 통증은 기로 말미암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회춘에서는 "풍(風)으로 기를 상하면 동통(疼痛)이 생기고,

한(寒)으로 기를 상하면 전율(戰慄)이 생기고,

서(暑)로 기를 상하면 열민(熱悶)이 생기며,

습(濕)으로 기를 상하면 종만(腫滿)이 생기며,

조(燥)로 기를 상하면 폐결(閉結)이 생긴다"고 하였다.


序例曰, 人生氣中, 如魚在水, 水濁則魚瘦, 氣昏則人病.

邪氣之傷人, 最爲深重.

經絡旣受此氣, 傳入藏府, 隨其虛實冷熱, 結以成病, 病又相生, 故流變遂廣矣.

서례에서는 "물고기는 물에서 살듯이 사람은 기 속에서 살며,

물이 탁하면 물고기가 마르듯이 기가 혼란스러우면 사람은 병이 생긴다.

사기가 사람을 손상시키는 것은 매우 심중하다.

경락이 이미 이 사기를 받아 장부에 전하여 들어가게 되면

그 장부의 허실과 한열에 따라 병이 형성되며,

병은 또한 서로 변화를 미쳐 다른 병을 만드니 그 변화가 매우 광범위하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氣][칠기]   (0) 2019.09.30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脈法][맥법]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脈法][맥법]
仲景曰, 脈浮而汗出如流珠者, 衛氣衰也.
又曰, 寸口脈微而澁, 微者衛氣衰, 澁者榮氣不足.
장기(張機)는 "맥이 부(浮)하면서 구슬이 흐르듯이 땀이 나는 것은

위기(衛氣)가 쇠약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촌구맥(寸口脈)이 미(微)하고 삽(澁)한 경우에 맥이 미한 것은 위기가 쇠약해진 것이며,

삽한 것은 영기(榮氣)가 부족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脈經曰, 寸口脈, 瞥瞥如羹上肌者, 陽氣微. 縈縈如蜘蛛絲者, 陰氣衰也.
又曰, 代者氣衰, 細者氣少, 浮而絶者, 氣欲絶.
又曰, 趺陽脈浮而澁, 澁則衛氣虛, 虛則短氣.
맥경에서는 "촌구맥이 끓는 국 속의 고기처럼 언뜻언뜻 나타나는 것은

양기가 미약해진 것이며, 거미줄처럼 얽힌 것은 음기가 쇠약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대맥(代脈)은 기가 쇠약해진 것이며, 세맥(細脈)은 기소(氣少)한 것이며,

부(浮)하면서 절(絶)한 맥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부양맥(趺陽脈)이 부하고 삽한 경우, 삽한 것은 위기가 허한 것이며,

위기가 허하면 단기(短氣)한 증상이다"라고 하였다.

脈訣曰, 下手脈沈, 便知是氣. 沈極則伏, 濇弱難治, 其或沈滑, 氣兼痰飮.
又曰, 沈弦細動, 皆氣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 脈象顯然.
仲景曰, 趺陽脈微而緊, 緊則爲寒, 微則爲虛, 微緊相搏則爲短氣.
맥결에서는 "손으로 눌러 맥이 침하면 곧 기병(氣病)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침맥(沈脈)이 심하면 복맥(伏脈)이 나타나고 맥이 색하고 약(弱)하면 고치기 어렵다.

혹 그 맥이 침활(沈滑)한 것은 기병에 담음이 겹친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침현세동(沈弦細動)한 맥은 모두 기통증(氣痛證)이며 심통(心痛)은 촌부(寸部)에서,

복통은 관부(關部)에서, 하부의 통증은 척부(尺部)에서 맥상이 뚜렷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중경에서 장기는 "부양맥이 미하고 긴(緊)한 경우 긴맥은 한증(寒證)이고,

미맥은 허증(虛證)이며, 미하고 긴한 맥이 뒤섞여 나타나면 단기한 증상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內經曰, 肺主氣.

又曰, 諸氣者, 皆屬於肺.

註曰, 肺有六葉兩耳, 葉中有二十四孔行列, 分布陰陽淸濁之氣.
내경에서는 "폐는 기(氣)를 주관한다"고 하였고,

또 "모든 기는 다 폐에 속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注)에서는 "폐에는 6개의 엽(葉)과 2개의 이(耳)가 있으며,

엽 속에는 24개의 구멍이 나란히 나 있어 모든 장기에 음양의 맑고 탁한 기를 나누어 펼쳐준다"고 하였다.

又曰, 肺藏氣, 氣有餘則喘咳上氣, 不足則息4)利少氣.
또 "폐는 기를 저장하므로 기가 너무 많으면 숨이 가쁘고 기침을 하며[喘咳]

기가 치받아오르고[上氣], 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술술 빠지고[利],

그 말소리에 힘이 없다"고 하였다.

靈樞曰, 膻中爲氣之海 膻中者, 肺室也, 有餘則胸面俱赤, 不足則少氣力不多言.
영추에서는 "전중(膻中)은 기의 바다이다(전중은 폐가 기거하는 방이다).

기가 너무 많으면 가슴과 얼굴이 모두 붉어지고,

부족하면 힘이 없고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脈法][맥법]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調氣訣][조기결]
彭祖曰, 和神導氣之道, 當得密室閉戶, 安床煖席.

枕高二寸半, 正身偃臥, 瞑目閉氣於胸膈中.

以鴻毛着鼻上而不動, 經三百息, 耳無所聞, 目無所見, 心無所思,

如此則寒暑不能侵, 蜂蠆不能毒, 壽三百六十歲.

此隣於眞人也.
팽조는 "신(神)을 고르게 하고 기(氣)를 이끄는 방법은

마땅히 밀실에서 문을 닫고 침대에 편안하게 눕는데,

자리를 따뜻하게 하며 베개를 2촌 반 높이로 베고 몸을 바르게 하고 누워

눈을 감고 들이마신 숨을 가슴에 가둔다.

그리고 숨을 내쉬는데 코끝에 기러기 털을 붙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호흡을 3백 번 하게 되면, 귀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눈에는 보이는 것이 없고 마음에는 생각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한서(寒暑)가 침범하지 못하고

벌이나 전갈의 독이 들어오지 못하여 380세를 살게 되니

이렇게 되면 진인에 가깝게 간 것이다"라고 하였다.

養性曰, 人身虛無, 但有遊氣, 氣息得理, 卽百病不生.

故善攝養者, 須知調氣方焉. 調氣之法, 夜半後日中前氣生,

得調. 日中後夜半前氣死, 不得調.

調氣之時, 則仰臥, 床鋪厚軟, 枕高下共身平, 舒手展脚. 兩手握固, 去身四五寸,

兩脚相去四五寸. 數數叩齒, 飮玉漿, 引氣從鼻入腹, 足則停止, 有力更取, 久住氣悶,

從口細細吐出盡, 遠以鼻細細引入, 出氣一准前法, 閉口以心中數數, 令耳不聞,

能至千則去仙不遠矣.

若天陰風雨大寒暑, 勿取氣, 但閉之.
양성서에서는 "사람의 몸은 허무한 것이지만 떠다니는 기[遊氣]가 있으니

이 기를 호흡하는 이치를 알면 아무 병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몸을 잘 기르는 사람은 모름지기 조기(調氣)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조기하는 방법은 한밤중에서부터 정오까지는 기가 생겨나므로 조기하고,

정오 이후 한밤중까지는 기가 죽으므로 조기하지 않는다.

조기하는 시간에는 침상을 두텁고 부드럽게 하여 똑바로 위를 보고 눕고,

베개의 높이는 낮게 하여 몸과 수평이 되도록 하며, 팔은 펴고 다리는 쭉 뻗고,

양손은 주먹을 꼭 쥐되 몸으로부터 4, 5촌 떨어지게 하고,

양 다리 사이는 거리가 4, 5촌이 되도록 벌린다.

이렇게 한 후 이를 여러 번 부딪치고[叩齒],

고인 침을 삼키고 코로 공기를 들이마시어 배로 들어가게 한다.

충분하면 멈추고 남은 힘이 있으면 다시 이 방법을 쓰는데,

기를 마시고 오래 머물러 가슴이 답답하면 입으로 아주 조금씩 가늘게 숨을 다 토해내며,

한참 있다가 코로 가늘게 서서히 공기를 마시고 앞의 방법대로 기를 내보낸다.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는데 귀에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게 하고

천(千)까지 셀 수 있다면 신선에 가까워진 것이다.

만약 날씨가 흐리고 바람과 비, 큰 추위나 더위가 있으면

조기를 하지 말고 닫아야 한다"고 하였다.

又曰, 凡吐者, 出故氣, 亦名死氣. 納者, 取新氣, 亦名生氣.

故老子云, 玄牝之門 鼻曰玄門, 口曰牝戶, 天地之根, 綿綿若存7), 用之不勤.

言口鼻天地之間, 可以出納陰陽死生之氣也.

또 "내쉬는 숨은 오래 묵은 기를 내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사기(死氣)라고도 하며,

들이마시는 숨은 새로운 기를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생기(生氣)라고도 한다.

따라서 노자가 '현빈(玄牝)의 문은(코를 현문(玄門)이라 하고, 입을 빈호(牝戶)라 한다)

천지의 근본으로, 숨을 쉴 때는 끊어지듯 이어지듯 하게 하며,

숨을 쉬되 고생되게 하지 마라'라고 하였으니,

이는 사람의 입과 코가 천지의 문과 같아서

음양과 삶과 죽음의 기를 들이고 내보낼 수 있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正理曰, 守氣之妙, 在乎全精, 尤當防其睡眠.

夫人遇行走, 則氣急而嗄, 甚睡則氣麄而齁.

惟坐靜, 則氣平而緩.

정리에서는 "기를 지키는 오묘함은 정을 온전히 하고[全精],

나아가 잠드는 것을 막는 데 있다.

사람이 걷거나 뛰게 되면 숨이 급하여 목이 쉬고

너무 많이 자면 숨이 거칠어지고 코를 골게 되므로

오직 좌정(坐靜)하여 수련하면 숨이 고르고 부드러워진다"고 하였다.

醫鑑曰, 人自十六歲, 精氣漸減, 不但男女之慾足以損敗, 一與事應, 則視聽言動, 皆耗散精氣之原.

故釋氏面壁, 仙家坐關, 皆築基煉己, 苦行以防耗此神氣, 便是長生之術.
의감에서는 "사람은 16세부터 정기가 점점 줄어드는데,

이는 남녀의 정욕이 정기(精氣)를 해칠 뿐만 아니라

어떤 일에 대하여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모든 것이 정기의 근원을 소모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가(佛家)에서 면벽(面壁)하고 선가(仙家)에서 좌관(坐關)하는 것은

모두 기본적으로 자기 수련의 토대를 쌓고 고행(苦行)하여

이 신기(神氣)가 소모됨을 막고자 함이니, 바로 이것이 장생(長生)의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脈法][맥법]  (0) 2019.09.29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胎息法][태식법]  
眞詮曰, 人在胎中, 不以口鼻呼吸, 惟臍帶繫于母之任脈,

任脈通于肺, 肺通于鼻, 故母呼亦呼, 母吸亦吸, 其氣皆于臍上往來.

天台謂識神托生之始, 與精血合根在於臍, 是以人生時, 惟臍相連.

初學調息, 須想其氣出, 從臍出入 從臍滅.

調得極細, 然後不用口鼻, 但以臍呼吸, 如在胞胎中.

故曰胎息. 初閉氣一口, 以臍呼吸, 數之至八十一,

或一百二十, 乃以口吐氣, 出之當令極細, 以鴻毛着于口鼻之上, 吐氣而鴻毛不動爲度.

漸習漸增, 數之久可至千, 則老者更少, 日還一日矣.

葛仙翁每盛暑, 輒入深淵之底, 十日許乃出, 以其能閉氣胎息耳.

但知閉氣, 不知胎息, 無益也.
진전에서는 "사람이 태중에 있을 때는 입과 코로 호흡하지 않고,

탯줄이 어머니의 임맥(任脈)에 연결되어 있어 그 임맥이 폐와 통하고

폐는 코와 통하므로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呼] 태아도 내쉬며,

어머니가 들이마시면[吸] 태아도 따라서 들이마시게 되는데,

그 기는 모두 배꼽으로 드나드는 것이다.

코는 식신(識神)과 탁생(托生)의 시초로, 정과 혈과 함께 합해지는데 그 근본은 배꼽에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을 때는 오직 어머니와 탯줄로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조식(調息)을 처음 배울 때는 모름지기 그 기가 배꼽에서 나오고

배꼽으로 들어가 없어진다는 것을 생각하여 극히 세밀히 조정하여야 한다.

그 후 입과 코를 사용하지 않고 뱃속의 태아처럼 배꼽으로만 호흡하기 때문에

이것을 태식이라 한다.

처음에 태식은 숨을 한 모금 마시고 배꼽으로 호흡을 하면서 81 혹은 120까지

숫자를 센 다음 입으로 숨을 토하는데,

극히 가늘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붙이고 숨을 내쉬어도

털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것을 더욱더 연습하고 헤아리는 숫자를 늘려서 천(千)이 되면,

노인이 다시 젊어지고 하루가 지나면 하루만큼 더 젊어진다.

갈홍은 매년 한여름철에 깊은 물 밑에 들어가 열흘이 되면 다시 나왔다 하니

이는 코로 쉬는 숨을 막아 태식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숨을 막는 것만 알고 태식을 모른다면 아무런 이득이 없다"고 하였다.

養性曰, 胎息者, 如嬰兒在母胎中, 氣息自在, 上至氣關, 下至氣海,

不假口鼻之氣, 故能閉氣不息, 能入深泉, 旬日不出也.

손진인양성서에서는 "태식이란 영아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처럼

호흡[氣]이 자유로워서 위로는 기관(氣關)에, 아래로는 기해(氣海)에 이르지만

코와 입의 기를 빌리지 않기 때문에 숨을 막아 호흡하지 않고도

깊은 물속에 들어가 열흘이 되어도 나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又曰, 內觀之要, 靜神定心, 亂想不起, 邪妄不侵.

氣歸臍爲息, 神入氣爲胎, 胎息相合, 混而爲一, 名曰太乙.

또 "내관(內關)의 요점은 신(神)을 고요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서

어지러운 생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니 사기가 제멋대로 침범하지 못한다.

기는 배꼽으로 돌아가 호흡[息]이 되고, 신은 기에 들어가 태(胎)가 되므로

태와 식이 서로 합하고 섞여 하나가 된 것을 태을(太乙)이라 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主氣][폐주기]   (0) 2019.09.29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0) 2019.09.28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氣爲呼吸之根][기위호흡지근]
正理曰, 人受生之初, 在胞胎之內, 隨母呼吸.

及乎生下, 剪去臍帶, 則一點眞靈之氣, 聚于臍下.

凡人唯氣最先, 莫先于呼吸.

眼耳鼻舌意 是謂六慾, 皆由是氣, 非是氣, 則聲色香味觸法, 都不知覺.

氣之呼接于天根. 氣之吸接於地根.

氣之在人身, 一日周行八百一十丈.
정리에서는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아 태어날 때,

자궁 안에서는 어머니의 호흡을 따라 호흡하다가 이윽고 태어나 탯줄을 자르면

한 점의 참으로 신령한 기(氣)가 배꼽 밑에 모인다.

사람은 기가 가장 우선하니 호흡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눈, 귀, 코, 혀, 몸뚱이, 뜻[意](이것을 육욕(六慾)이라 한다)은 모두 기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기가 아니라면 소리, 빛깔, 냄새, 맛, 감촉, 법(法)을 모두 알 수 없을 것이다.

내쉬는 기는 하늘의 근원과 사귀고, 들이마시는 기는 땅의 근원과 사귄다.

사람의 몸에서 기는 하루에 180장(丈)을 돈다"고 하였다.

易曰, 一闔一闢, 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程伊川曰, 涵養之道, 出入之息者, 闔闢之機而已.

又曰, 闔闢往來, 見之鼻息.

張橫渠曰, 人之有息, 盖剛柔相摩, 乾坤闔闢之象也.

朱紫陽調息箴曰, 氤氳開闔, 其妙無窮, 誰其屍之, 不宰之功.
주역에서는 "한 번 닫히고 한 번 열리는 것을 변(變)이라 하고,

오고 감이 끝이 없음을 통(通)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정이(程頣)는 "몸을 기르는 도(道)와 내쉬고 들이마시는 호흡은

열고 닫히는[闔闢] 기틀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열고 닫히는 것과 오고 가는 것[變化]은 코의 호흡에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장재(張載)는 "사람의 호흡은 대개 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갈마들고 건(乾)과 곤(坤)이

합벽(闔闢)하는 형상이다"라고 하였다.

주희(朱喜)는 조식잠에서 "기가 왕성히 어리어 열고 닫히는 그 오묘함이 끝이 없는데,

그 누가 맡아 다스리는 것이겠는가.

아무도 맡아 다스리지 않아도 자연히 공(功)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參同契曰, 二用無爻位, 周流行六虛.

六虛, 卽卦之六畵也.

以喩一呼一吸, 往來上下, 久之則神凝息定, 所以成變化也.

呼則氣出, 陽之闢也.

吸則氣入, 陰之闔也.

盖人身之陰陽, 與天地陰陽相似, 若能御呼吸於上下,

使之周流不息, 則闔闢往來之妙, 盡在吾身中.

元和子曰, 人身大抵同天地, 是也.
참동계에서는 "용구(用九)와 용육(用六)은 효(爻)에 정해진 자리 없이

두루 육허(六虛)를 흐르니, 육허는 곧 괘의 여섯 획을 가리킨다.

한 번 내쉬고 한 번 들이쉬며 위아래로 왔다갔다하는 것을 깨닫고,

이 과정이 오래되면 신(神)이 모이고 호흡이 정해져서 변화를 이루게 된다.

숨을 내쉬면 기가 나가니 양(陽)이 열리는 것이며,

들이쉬면 기가 들어오니 음이 닫히는 것이다.

대개 사람의 음양은 천지의 음양과 서로 비슷하다.

만약 호흡의 상하 운동을 잘 다스려서 그것이 몸을 돌아 쉼없이 돌 수 있게 하면

합벽(闔闢)과 왕래의 오묘함이 진실로 나의 몸속에 있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원화자가 "사람의 몸은 무릇 천지와 같다"고 한 말이 바로 이것이다.

莊周曰, 眞人之息, 息之以踵. 衆人之息, 息之以喉.

盖氣在下焦, 其息遠. 氣在上焦, 其息促. 義亦類比.
장주는 "진인은 발뒤꿈치로 호흡하고, 보통 사람은 목구멍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대개 기가 하초(下焦)에 있으면 그 호흡이 깊고 멀며,

기가 상초(上焦)에 있으면 그 호흡은 촉급하니, 의미가 비슷하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氣訣][조기결]   (0) 2019.09.29
[胎息法][태식법]   (0) 2019.09.29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