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氣][구기]
黃帝問曰, 余知百病生於氣也, 怒則氣上, 喜則氣緩, 悲則氣消,

恐則氣下, 寒則氣收, 炅則氣泄, 驚則氣亂, 勞則氣耗, 思則氣結.

九氣不同, 何病之生.

황제가 "나는 모든 병이 기에서 생긴다고 알고 있다.

지나치게 화를 내면 기가 올라가고[氣上] 너무 즐거워하면 기가 늘어지고[氣緩] 너무 슬퍼하면 기가 소모되고[氣消] 너무 두려워하면 기가 아래로 가라앉고[氣下] 너무 차가우면 기가 수렴만 되고[氣收] 너무 뜨거우면 기가 빠져나가고[氣泄] 너무 놀라면 기가 어지러워지고[氣亂] 너무 과로하면 기가 없어지고[氣耗] 이런저런 생각이 많으면 기가 맺힌다[氣結].

구기(九氣)가 서로 달리 병이 생기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물었다.


岐伯對曰, 怒則氣逆, 甚則嘔血及飱泄, 故氣上矣.

喜則氣和志達, 榮衛通利, 故氣緩矣.

悲則心系急, 肺布葉擧而上焦不通, 榮衛不散, 熱氣在中, 故氣消矣.

恐則精却, 却則上焦閉, 閉則氣還, 還則下焦脹, 故氣不行矣.

寒則腠理閉, 氣不行, 故氣收矣.

炅則腠理開, 榮衛通, 汗大泄, 故氣泄矣.

驚則心無所倚, 神無所歸, 慮無所定, 故氣亂矣.

勞則喘息汗出, 內外皆越, 故氣耗矣.

思則心有所存, 神有所歸, 正氣留而不行, 故氣結矣[內經]

기백이 대답하기를 "화를 내면 기가 거슬러오르는데[逆], 심하면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므로 기가 거슬러오르게 되는 것이다.

기뻐하면 기가 고르고 뜻이 두루 잘 통하며 영위(榮衛)가 잘 소통되므로 기가 느슨하게 된다.

슬퍼하면 심계(心系)가 당기고 폐엽(肺葉)이 들떠서 상초가 통하지 않고 영위가 잘 흩어지지 않으며 열이 안에 생기고 열이 기를 소모시키므로 기가 소모되게 된다.

두려워하면 정(精)이 물러나게 되고[却], 정이 물러나면 상초(上焦)가 막히고, 상초가 막히면 기가 하초(下焦)로 돌아가고, 기가 하초로 돌아가면 하초가 창만 해지므로 기가 돌지 않게 된다.

추우면 주리(腠理)가 막히고 기가 돌지 못하므로 기가 수렴된다.

뜨거우면 주리가 열려 영위가 소통되고 땀이 많이 나오므로 기가 빠져나간다.

놀라면 심(心)이 기댈 곳이 없고 신(神)이 돌아갈 곳이 없어지며 생각에 일정함이 없으므로 기가 어지럽다.

과로하면 숨이 차고 땀이 나서 안과 밖에서 모두 기를 흐트러뜨리니 기가 없어진다.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면 심(心)에 남아 있는 것이 있고 신(神)에 귀착되는 것이 있어서 정기(正氣)가 머물러 움직이지 않으므로 기가 맺히게 된다"고 하였다(내경).

又有九氣, 一曰膈氣, 二曰風氣, 三曰寒氣, 四曰熱氣,

五曰憂氣, 六曰喜氣, 七曰驚氣, 八曰怒氣, 九曰山嵐瘴氣.

積聚如盃, 心腹刺痛, 發則欲死. 宜神仙九氣湯, 正氣天香湯[得效].

또한 구기(九氣)가 있는데, 첫 번째는 격기(膈氣)이고, 둘째는 풍기(風氣), 셋째는 한기(寒氣), 넷째는 열기(熱氣), 다섯째는 우기(憂氣), 여섯째는 희기(喜氣), 일곱 번째는 경기(驚氣), 여덟 번째는 노기(怒氣), 아홉 번째는 산람장기(山嵐瘴氣)이다.

이런 것들이 모이고 쌓여서 마치 그릇을 엎어놓은 듯한 덩어리[積聚]가 되어 가슴과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프며, 이 증상이 생기면 곧 죽을 것만 같다.

신선구기탕, 정기천향탕을 쓴다(득효).


九氣治法, 高者抑之, 下者擧之, 寒者熱之, 熱者寒之,

驚者平之, 勞者溫之, 結者散之, 喜者以恐勝之, 悲者以喜勝之[心法].

구기의 치법은 기가 올라가 있으면 누르고 아래에 있으면 올리고 차가우면 덥게 하고 뜨거우면 식히고 놀란 것은 평안하게 하고 피곤하면 온화(溫和)하게 하고 맺힌 것은 풀어주고 너무 즐거워하면 두려워하게 하여 누르고 너무 슬퍼하면 기쁘게 하여서 누른다(심법).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상기]   (0) 2019.09.30
[中氣][중기]   (0) 2019.09.30
[七氣][칠기]   (0) 2019.09.30
[氣逸則滯][기일칙체]   (0) 2019.09.29
[氣爲諸病][기위제병]   (0) 2019.09.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