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牡蠣][모려 / 굴 껍데기]


治鬼交泄精.

又治精滑不固.
火煅醋淬七次, 爲末, 醋糊和丸, 梧子大.
每五十丸, 空心, 鹽湯下.
名曰固眞丸[東垣].
꿈에 헛것과 성교하여 정을 배설하는 것과
정을 간직하지 못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모려를 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금질하기를 7번 반복한 다음 가루내어,
식초로 풀을 쑤어 오자대의 알약으로 만들어 매번 쉰 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이를 고진환이라 한다(동원).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原蠶蛾][원잠아]   (0) 2019.09.25
[桑螵蛸][상표초]   (0) 2019.09.25
[山茱萸][산수유]   (0) 2019.09.25
[金櫻子][금앵자]   (0) 2019.09.25
[枸杞子][구기자]   (0) 2019.09.25

[山茱萸][산수유]


添益精髓, 能秘精.
煎服, 丸服並佳[本草].
정과 골수를 북돋우며 정을 간직할 수 있게 한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桑螵蛸][상표초]   (0) 2019.09.25
[牡蠣][모려]   (0) 2019.09.25
[金櫻子][금앵자]   (0) 2019.09.25
[枸杞子][구기자]   (0) 2019.09.25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金櫻子][금앵자]


澁精氣, 止遺泄.
和雞頭實, 作水陸丹 方見正傳. 補眞秘精甚佳[本草].
정기를 간직하게 하여 정이 유설되는 것을 막는다.
계두실과 함께 수륙단(처방은 의학정전에 있다)을
만들어 먹으면 진기를 보하고 정을 간직하는 데 매우 좋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蠣][모려]   (0) 2019.09.25
[山茱萸][산수유]   (0) 2019.09.25
[枸杞子][구기자]   (0) 2019.09.25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枸杞子][구기자]


補益精氣.
作丸服. 或浸酒服皆佳[本草].
정기를 보한다.
알약을 만들어 복용하는데,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좋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山茱萸][산수유]   (0) 2019.09.25
[金櫻子][금앵자]   (0) 2019.09.25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白茯苓][백복령]


酒浸, 與光明砂同用, 能秘精[東垣湯液].
술에 담갔다가 주사와 함께 쓰면 정을 간직할 수 있게 된다(동원탕액).

治心虛夢泄.
白茯苓細末, 每四錢, 米飮調下, 日三[直指].
심(心)이 허약하여 몽설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복령을 곱게 가루내어 너 돈씩 미음으로 하루에 3번 먹는다(직지).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櫻子][금앵자]   (0) 2019.09.25
[枸杞子][구기자]   (0) 2019.09.25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益精髓.
取根, 米泔浸一宿, 竹刀刮去皮, 黑豆汁拌, 曝乾爲末.
和酒服, 或蜜丸服皆佳[入門].
정과 골수를 더해준다.
뿌리를 캐서 쌀뜨물에 하룻동안 담근 후, 대나무 칼로 껍질을 벗겨내고
흑두즙에 버무려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술로 먹거나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입문).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枸杞子][구기자]   (0) 2019.09.25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0) 2019.09.24
[兔絲子][토사자]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益男子精[本草].
남자의 정을 더해준다(본초).

[五味子膏][오미자고]
澁精氣, 治夢遺滑脫.
五味子一斤, 洗淨水浸一宿, 挼取汁去核,
以布濾過, 入鍋內, 入冬蜜二斤, 慢火熬成膏.
每取一二匙. 空心, 白湯調服[本草].
오미자고는 정기를 고삽(固澁)하게 하므로 몽정과 정이 새어나가는 것을 치료한다.
오미자 한 근을 깨끗하게 씻어 하룻동안 물에 담근 후 주물러서 즙을 내고 씨는 버린다.
삼베 보자기로 걸러 냄비에 넣은 다음, 겨울에 딴 꿀 두 근을 넣고 은은한 불로
달이면 고약처럼 된다. 한두 숟가락씩 빈속에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0) 2019.09.24
[兔絲子][토사자]   (0) 2019.09.24
[地黃][지황]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益精髓, 治男子泄精, 又治精敗面黑.
肉蓯蓉四兩, 水煮令爛, 細硏, 入精羊肉.
分爲四度和五味及米煮粥. 空心服[本草].
정과 골수를 더해주고 남자가 정을 흘리는 것을 치료하며,
정이 고갈되어 얼굴이 검어지는 것도 치료한다.
육종용 넉 냥을 물에 문드러질 정도로 달여서 곱게 간 다음,
양(羊)의 살코기를 넣는다.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兔絲子][토사자]   (0) 2019.09.24
[地黃][지황]   (0) 2019.09.24

[兔絲子][토사자]


添精益髓, 治莖中寒, 精自出.
亦治鬼交泄精.

爲末服, 作丸服皆佳[本草].
정을 늘리고 골수를 더해주며
음경 속이 차면서 정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꿈에 헛것과 성교하여 정을 배설하는 것도 치료할 수 있다.
가루내거나 알약으로 만들어 먹으면 좋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0) 2019.09.24
[地黃][지황]   (0) 2019.09.24

[地黃][지황]


浸汁洒酒, 九蒸九曝, 謂之熟地黃.
不蒸曝而陰乾者, 謂之生乾地黃.
熟者性溫, 能滋腎補血益髓塡精.
生乾者性平, 亦能補精血.

丸服, 酒浸服皆佳[本草].
생지황을 생지황즙에 담갔다가 술을 부어 9번 찌고,
9번 햇볕에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찌거나 햇볕에 말리지 않고 그늘에서 말린 것을 생건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따뜻한 성질이 있어, 신(腎)을 자양하고
혈을 보하며 골수를 더해주고 정을 채워준다.
생건지황은 평(平)한 성질이 있어, 정혈(精血)을 보할 수 있다.
알약으로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좋다(본초).

'[內景篇] > [精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茯苓][백복령]   (0) 2019.09.24
[何首烏][하수오]   (0) 2019.09.24
[五味子][오미자]   (0) 2019.09.24
[肉蓯蓉][육종용]   (0) 2019.09.24
[兔絲子][토사자]   (0) 2019.09.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