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頭汗][두한]
頭者諸陽之會, 邪搏諸陽, 津液上湊, 則汗見於頭也[明理].

머리는 모든 양경(陽經)이 모이는 곳이다.

그러므로 사기가 모든 양경에 침입하여 진액이 위로 모이게 되면 머리에서 땀이 난다(명리).

頭者三陽之會, 盖三陰之脈至胸而還.

凡有頭汗出, 自是陽虛.

故曰, 汗出爲陽微, 是陰不得有汗也[本事].

머리는 삼양경(三陽經)이 모이는 곳이다.

삼음맥은 가슴에 다다랐다가 돌아간다.

머리에서 땀이 나는 것은 양이 허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땀이 나는 것은 양이 미약하기 때문에 나는 것이지

음증으로는 땀이 나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본사).

頭汗出, 劑頸而還, 血證也, 額上偏多.

盖首者六陽之所會, 故熱氣熏蒸而汗出也.

以部分言之, 則頣屬腎, 額屬心, 三焦之火涸其腎水, 溝渠之餘,

迫而上入於心之分, 故發爲頭汗, 而額上偏多也 治法詳見寒門[海藏].

머리에서 땀이 나고 목까지 돌아가며 땀이 나는 것은 혈증(血證)인데,

이마에서 땀이 더 많이 난다.

머리는 육양경(六陽經)이 모이는 곳이므로, 열기가 훈증하여 땀이 나는 것이다.

땀이 나는 부위를 나누어 말하자면 턱은 신(腎)에 속하고, 이마는 심(心)에 속한다.

삼초의 화(火)가 신수를 마르게 하면[腎의] 도랑[溝渠]에 남아 있던

나머지[腎水]가 내몰려 위로 심의 부분으로 들어가 머리에서 땀이 나게 되는데,

이마에서 땀이 더 많이 난다(치료법은 한문에 자세하게 있다)(해장).

濕家頭額出汗 詳見濕門.

습가(濕家)는 머리와 이마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습문에 있다).

陽明胃實, 亦頭汗出 詳見寒門.

양명병으로 위(胃)가 실하여도 머리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한문에 있다).

水結胸, 亦頭汗出 詳見胸部. 

수결흉(水結胸)에도 머리에서 땀이 난다(자세한 것은 흉문에 있다).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足汗][수족한]   (0) 2019.11.07
[心汗][심한]   (0) 2019.11.07
[童子盜汗][동자도한]   (0) 2019.11.06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童子盜汗][동자도한]
一童子, 自嬰至童, 盜汗七年, 諸藥不效.

用凉膈散, 三黃元 並見火門, 三日病已.

盖腎主五液, 化爲五濕.

相火逼腎, 腎水上行, 乘心之虛而入手少陰.

心火炎上而入肺, 欺其不勝己也.

皮毛以是而開, 玄府不閉而爲汗.

先以凉膈散瀉胸中相火, 次以三黃丸瀉心火以助陰分, 則腎水還本, 汗自止矣[海藏]. 
어떤 어린아이가 갓난아기 때부터 소년 때까지 7년 동안 도한을 흘려

여러 가지 약을 썼으나 효과가 없었는데,

양격산과 삼황원(처방은 모두 화문에 있다)을 3일 동안 쓰자 나았다.

대개 신은 오액(五液)을 주관하여 오습(五濕)으로 변화시키는데,

상화(相火)가 신(腎)을 핍박하면 신수(腎水)는 위로 올라가

심(心)이 허한 틈을 타서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심화(心火)가 타올라 폐로 들어간다.

이것은 자기를 이기지 못하는 것[所不勝]을 업신여긴 것이다.

피모(皮毛)는 이 때문에 열리고 땀구멍이 닫히지 않으므로 땀을 흘리게 된다.

먼저 양격산을 써서 가슴속의 상화를 덜고,

다음으로 삼황환을 써서 심화를 덜어 음분(陰分)을 도우면

신수가 제자리[腎]로 돌아가 땀이 저절로 멎는다(해장).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心汗][심한]   (0) 2019.11.07
[頭汗][두한]   (0) 2019.11.06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盜汗][도한]
內經曰, 腎病者, 寢汗出, 憎風.

註曰, 寢汗者, 盜汗也.

成無己曰, 盜汗者, 睡中汗出, 覺則止也.

내경에서는 "신(腎)이 병들면 침한(寢汗)이 나고 바람을 싫어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註)에서 "침한은 도한이다"라고 하였고,

성무기는 "도한이라는 것은 잠잘 때만 땀이 나고 깨어나면 그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盜汗者, 寐中通身如浴, 覺來方知,

屬陰虛榮血之所主也, 宜補陰降火[正傳].

도한은 잠자는 동안 온몸에 목욕한 것같이 땀이 나는데,

깨어나서야 땀이 난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음허증에 속하고 영혈(榮血)이 주관하는 것이므로, 음을 보하고 화(火)를 내려야 한다(정전).
盜汗乃陰虛, 血虛有火也.

當歸六黃湯甚妙.

又四物湯 方見血門 加知母黃柏.

兼氣虛, 加參朮黃芪[丹心].
도한은 음이 허하여 생기는 것으로, 혈이 허하고 화가 있는 것이다.

당귀육황탕을 쓰면 매우 잘 낫는다.

또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모, 황백을 더하여 쓰는데,

기가 허하면 인삼, 백출, 황기를 더하여 쓴다(단심).
盜汗, 腎火動甚, 宜正氣湯. 脾濕盛者, 宜四製白朮散.

肝熱者, 宜龍膽散.

欲眠目合則汗出者, 膽有熱也.

宜小柴胡湯 方見寒門.

通用當歸地黃湯, 牡蠣散, 參芪湯.
도한(盜汗)이 나는데 신화(腎火)가 몹시 요동하면 정기탕을 쓰고,

비(脾)에 습(濕)이 성하면 사제백출산을 쓰고, 간(肝)에 열이 있으면 용담산을 쓴다.

자려고 눈만 감으면 땀이 나는 것은 담(膽)에 열이 있기 때문인데,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당귀지황탕, 모려산, 삼기탕을 두루 쓴다.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頭汗][두한]   (0) 2019.11.06
[童子盜汗][동자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自汗][자한]
自汗者, 無時而濈濈然出, 動則爲甚, 屬陽虛, 胃氣之所司也.

治法宜補陽調胃[正傳].

자한이란 때없이 땀이 축축하게 나고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데,

양허에 속하고 이는 위기(胃氣)로 인한 것이다.

치료법은 양을 보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여야 한다(정전).

靈樞曰, 衛氣者, 所以肥腠理, 司開闔者.

衛氣虛則腠理疎, 開闔無司而汗多矣.

영추에서는 "위기는 주리(腠理)를 충실하게 하고,

땀구멍을 열고 닫게 하는 일을 맡고 있다"고 하였다.

위기가 허하면 주리가 성기게 되고, 땀구멍을 열고 닫지 못하여 땀이 나게 된다.

內經曰, 汗出偏沮, 使人偏枯.

내경에서는 "땀이 몸의 반쪽에서만 나면 반쪽을 쓰지 못하고 야위게 된다"고 하였다.

多汗身軟者, 濕也.

心主熱, 脾主濕, 濕熱相薄, 如地之蒸氣爲雲雨霧露, 宜調衛湯, 玉屛風散.

胃熱者, 二甘湯[入門].

땀을 많이 흘리고 몸이 늘어지는 것은 습증(濕證)이다.

심은 열(熱)을 주관하고, 비는 습(濕)을 주관하는데,

습과 열이 서로 부딪쳐 땀을 흘리는 것이

마치 땅의 증기가 구름, 비, 안개, 이슬이 되는 것과 같다.

조위탕과 옥병풍산을 쓴다.

위(胃)에 열이 있으면 이감탕을 쓴다(입문).

自汗屬氣虛屬濕與痰.

氣虛用人蔘黃芪少加桂枝.

眞陽虛則少用附子, 童便煮 [丹溪].

자한은 기허(氣虛), 습(濕), 담(痰)에 속한다.

기허에는 인삼, 황기에 계지를 조금 더하여 쓰고,

진양(眞陽)이 허하면 부자를 조금 넣어 동변(童便)에 달인다(단심).
凡內傷及一切虛損之證, 自汗不止者, 總用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少加附子麻黃根浮小麥, 其效如神. 但升柴俱用蜜水製炒, 以殺其升發勇悍之性,

又欲引其參芪等藥至肌表也[東垣].

무릇 내상증(內傷證)이나 모든 허손증(虛損證)으로 자한이 그치지 않는 경우에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부자, 마황근, 부소맥을 조금 더하여서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

그런데 승마와 시호를 모두 꿀물에 축여 볶아 쓰는 것은 지나치게 끌어올려

발산시키는 성질을 누그러뜨리고,

또 인삼·황기 등의 약 기운을 끌어올려 기표(肌表)까지 이르게 하기 위해서이다(동원).

仲景桂枝湯, 治外感風邪, 自汗之聖藥也.

黃芪建中湯, 治外感氣虛, 自汗之神劑也.

補中益氣湯, 治內傷氣虛, 自汗之妙方也[東垣].

중경의 계지탕은 풍사(風邪)에 감촉되어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

황기건중탕은 외감으로 기허하여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

보중익기탕은 내상으로 기허하여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동원).

傷寒自汗有九證 詳見寒門.

상한으로 자한이 나는 데는 아홉 가지 증이 있다(자세한 것은 한문에 있다).

自汗, 通用黃芪湯, 黃芪六一湯 方見癰疽, 參歸腰子, 牡蠣散,

小建中湯 方見虛門, 參芪湯, 雙和湯 方見虛門,

桂附湯, 朮苓湯, 鎭液丹, 參附湯, 芪附湯.

자한에는 황기탕, 황기육일탕(처방은 소갈문에 있다), 삼귀요자, 모려산,

소건중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삼기탕, 쌍화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계부탕, 출령탕, 진액단, 삼부탕, 기부탕을 두루 쓴다.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童子盜汗][동자도한]   (0) 2019.11.06
[盜汗][도한]   (0) 2019.11.06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汗因濕熱][한인습열]
內經曰, 心爲汗.

又曰, 陽加於陰, 謂之汗.

내경에서는 "진액은 심(心)에서는 땀이 된다"고 하였고,

또 "양이 음에 더해진 것을 땀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釋曰, 陽氣上薄, 陰能固之, 則蒸而爲汗.

又曰, 陽之汗, 而天地之雨名之.

왕빙은 주석에서 "양기가 위로 치받는데, 음이 이를 막으면 쪄서 땀이 난다"고 하였다.

또 "양의 땀은 천지의 비[雨]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難經曰, 腎邪入心爲汗.

난경에서는 "신(腎)의 사기가 심(心)에 침입하면 땀이 난다"고 하였다.

汗者心之液, 心動則惕然而汗出[醫鑑].

땀은 심이 주관하는 액이므로 심이 동(動)하면 두려워하면서 땀이 난다(의감).

心爲君火, 脾胃屬土, 此濕熱相薄7)爲汗明矣.

又如甑中燒酒, 若非湯火熏蒸, 則不能成汗液也[正傳].

심은 군화(君火)이고, 비위(脾胃)는 토(土)에 속하므로

습(濕)과 열(熱)이 서로 부딪쳐 땀이 나는 것이 분명하다.

이는 시루에서 소주를 내리는 것과 같으니,

불로 훈증하지 않는다면 땀이 생길 수 없다(정전). 
內經曰, 飮食飽甚, 汗出於胃.

驚而奪精, 汗出於心.

持重遠行, 汗出於腎.

疾走恐懼, 汗出於肝.

搖體勞苦, 汗出於脾.

내경에서는 "음식을 지나치게 배불리 먹으면 땀이 위(胃)에서 나오고,

놀라서 정기(精氣)를 잃으면 땀이 심(心)에서 나오고,

무거운 것을 지니고 먼 길을 가면 땀이 신(腎)에서 나오고,

빨리 달리거나 두려워하면 땀이 간에서 나오고,

몸을 움직여 지나치게 일하면 땀이 비(脾)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衛氣虛則汗多, 榮血虛則無汗[綱目].

위기(衛氣)가 허하면 땀을 많이 흘리고, 영혈(榮血)이 허하면 땀이 나지 않는다(강목).

風病多汗, 風散氣故也 詳見風門.

痰證亦有汗, 頭眩嘔逆, 宜芎夏湯方見痰飮.

火氣上蒸胃中之濕, 亦能作汗, 凉膈散 方見火門 主之[丹溪].

풍병(風病)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풍이 기를 흩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풍문에 있다).

담증(痰證)에도 역시 땀이 나고 머리가 어지럽고 구역이 나는 데는

궁하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

화기(火氣)가 위로 위(胃) 속의 습을 훈증하여도 땀이 나는데,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이 주치한다(단심).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身中津液][신중진액]  (0) 2017.05.14

[脈法][맥법]
內經曰, 尺澁脈滑, 謂之多汗.
釋曰, 尺膚澁而尺脈滑也.
此自汗多, 而血涸津脫也.
내경에서는 "척부(尺膚)가 껄끄럽고,

척맥(尺脈)이 활(滑)한 것을 '다한(多汗)'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왕빙은 주석(註釋)에서 "척부가 껄끄럽고

척맥이 활(滑)한 것은 자한(自汗)이 많이 나서

혈(血)이 마르고 진(津)이 없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脈大而虛浮而濡者, 汗[正傳].
맥이 대(大)하면서 허(虛)하거나 부(浮)하면서 유(濡)한 것은 한증(汗證)이다(정전).
脈訣曰, 汗脈浮虛, 或澁或濡, 軟散洪大, 渴飮無餘.
맥결에서는 "한증의 맥은 부(浮), 허(虛)하거나 삽(澁)하거나

유(濡), 연(軟), 산(散), 홍(洪), 대(大)한데,
목이 말라 물을 있는 대로 다 마신다"고 하였다.
肝脈浮虛, 或濡或澁, 自汗在寸, 盜汗在尺[回春].
간맥(肝脈)은 부(浮)하며 허(虛)하거나 유(濡)하거나 삽(澁)하다.
자한의 맥상은 촌부(寸部)에 나타나고, 도한(盜汗)의 맥상은 척부(尺部)에 나타난다(회춘).
脈經曰, 男子平人, 脈虛弱微細者, 喜盜汗出也.
맥경에서는 "보통 남자의 맥이 허(虛), 약(弱), 미(微), 세(細)하면 도한이 잘 난다"고 하였다.
寸口脈微, 尺脈緊, 其人虛損多汗, 知陰常在, 絶不見陽也[仲景].
촌구맥[촌맥]이 미(微)하고 척맥이 긴(緊)하며 환자가 몸이 매우 허약하고 땀을 많이 흘리면,
음은 항상 있으나 [양이] 끊어져 양이 드러나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다(중경).
傷寒脈浮而遲, 面熱赤而戰惕者, 當汗出解也.
脈遲者爲無陽, 不能作汗, 其身必痒[仲景].
상한으로 맥이 부(浮)하며 지(遲)하고 얼굴이 달아올라 붉게 되고

몸이 떨리면 땀을 내서 풀어야 낫는다.
맥이 지(遲)한 것을 양(陽)이 없는 것으로 보아

땀을 내지 않으면 몸이 반드시 가렵게 된다(중경).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身中津液][신중진액]  (0) 2017.05.14

[腎主液][신은 액을 주관한다]
[難經]曰 腎主五液 分化五臟
入肝爲淚 入心爲汗 入脾爲涎 入肺爲涕 自入爲唾
난경에는 “신이 5액(五液)을 주관하면서 5장에 나누어주며 변화시킨다.
이 액은 간(肝)에서 눈물로 되고 심(心)에서 땀으로 되며
비(脾)에서 멀건 침으로 되고 폐에서 콧물로 되며 신에서 느침으로 된다”고 씌어 있다.
[靈樞](宣明五氣篇 第二十三)曰
五臟化液 心爲汗 肺爲涕 肝爲淚 脾爲涎 腎爲唾 是爲五液.
영추에는 “5장에서 액이 변화하는데 심에서는 땀으로 되고 

폐에서는 콧물로 되며 간에서는 눈물로 되고 비에서는 멀건 침으로 되며 

신에서는 느침[唾]으로 되는데 이것이 5액이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身中津液][신중진액]  (0) 2017.05.14

[身中津液][몸 안에 있는 진액]
[靈樞](決氣 第三十)曰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中略~ 津脫者 腠理開 汗大泄.
영추에는
“주리( 理)가 열려 땀이 축축하게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많이 빠지면 주리가 열려서 땀이 많이 흐른다”고 씌어 있다.
穀入氣滿 淖澤注於骨 骨屬屈伸洩澤 補益腦髓 皮膚潤澤 是謂液 液脫者
骨屬屈伸不利 色夭腦髓 消脛痠 耳數鳴(資生).
음식물을 먹으면 기운이 충만해지고 윤택해지며 뼈에 잦아들어서 뼈들을 구부렸다
폈다 하게 하고 수분을 내보내며 뇌수(腦髓)를 좋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데
이것을 액(液)이라고 한다.
액이 많이 빠지면 뼈를 마음대로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없고 얼굴이 마르며 뇌수가
줄어들고 다리가 시글며 귀에서 소리가 자주 난다[자생].
水穀入口 輸于腸胃 其液別爲五 天寒衣薄則爲尿與氣
天熱衣厚則爲汗 悲哀氣幷則爲泣 中熱胃緩則爲唾 邪氣內逆
則氣爲之閉塞 而不行 不行則爲水脹(資生).
음식물이 입을 통해 위(胃)에 들어가서 5가지 액으로 갈라지는데
이때에 날씨가 차거나 옷을 얇게 입었으면 액이 오줌과 기로 되고
날씨가 덥거나 옷을 두텁게 입었으면 땀으로 된다.
그리고 슬퍼하는 기운이 겹치면 눈물이 되고 열을 받아 위(胃)가 늘어지면
침[唾]이 되며 사기(邪氣)가 속에 들어가서 치밀면 기가 막혀 잘 돌아가지 못한다.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면 수창증(水脹證)이 된다[자생].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津之滲於孔竅 留而不行者 爲液(內經註).
주리( 理)가 열려 땀이 축축히 나는 것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구멍으로 스며들어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면 액(液)이 된다[내경주].
大腸主津 小腸主液 大腸小腸 受胃之榮氣
乃能行津液於上焦 灌漑皮毛 充實腠理.
若飮食不節 胃氣不足 大腸小腸 無所稟受 故津液凅竭焉(東垣).
대장(大腸)은 진(津)을 주관하고 소장(小腸)은 액(液)을 주관한다.
대장과 소장은 위의 영기(榮氣)를 받아서 진액을 상초로 올라가게도 하고
피모(皮毛)에 고루 보내기도 하며 주리를 든든하게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서 위기(胃氣)가 부족해지면
대장과 소장이 받아들이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진액이 말라 줄어든다[동원].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盜汗][도한]   (0) 2019.11.06
[自汗][자한]   (0) 2019.11.05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