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治 不治證][난치 불치증]

 

大凡 陽瘧 易治, 陰瘧 難治(入門).

양학(陽 )은 쉽게 치료할 수 있고 음학(陰 )은 치료하기가 어렵다[입문].

 

久瘧而復作 虛浮不食者 未之有瘳(得效).

오랜 학질이 나았다가 도져서 맥이 허(虛)하고 부(浮)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瘧病 久腰脊薑急 瘈瘲者 不可治(醫鑒).

학질이 오래되어서 허리등뼈가 켕기고 뻣뻣하며 경련이 이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의감].

 

寒熱 脫形 而脈堅搏 是爲逆 死不治(靈樞).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몸이 여위면서 견(堅)맥이 나타나는 것은 역증(逆證)이므로 치료하지 못한다[영추].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法][부법]  (0) 2020.11.18
[截瘧法][절학법]  (0) 2020.11.18
[知瘧將差][지학장차]  (0) 2020.11.18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法][부법]

 

宜用神仙碧霞丹 斷瘧如聖丸 治一切瘧(諸方)

신선벽하단, 단학여성환을 쓰는데 일체 학질을 치료한다.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難治 不治證][난치 불치증]  (0) 2020.11.18
[截瘧法][절학법]  (0) 2020.11.18
[知瘧將差][지학장차]  (0) 2020.11.18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截瘧法][절학법]

 

凡瘧 數發之後 便宜截而除之 久則中氣虛弱 病邪已深而難治

世有砒丹等截藥 大毒 不可輕用(正傳).

학질이 자주 발작할 때에는 곧 세게 쳐서 낫게 해야 한다.

학질이 오래되면 중기가 허약해져서 사기가 속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치료하기 어렵다.

민간에서는 신석, 황단 같은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쓰고 있는데

그것들은 독이 많으므로 경솔하게 쓰지 말아야 한다[정전].

 

若用截藥 吐出黃膠水者 瘧 自愈也.

不可一二日早截 早則邪氣閉塞 而成壞證

又不可遲截 遲則元氣衰憊 而成虛怯 當在3~4日 就截爲好 須待熱退 身凉方可飮食也.

切不可滯 熱飮食 恐不消而成痞 痞散成鼓者 有之矣(回春).

만일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써서 누런 갖풀[黃膠] 같은 물을 토하게 되면 학질은 저절로 낫는다.

그러나 하루나 이틀 동안 발작하였을 때에는 일찍이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일찍이 쓰면 사기가 막히게 되며 괴증(壞證)이 생긴다.

또는 세게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을 너무 늦게도 쓰지 말아야 한다.

늦게 쓰면 원기가 약해져 몸이 허약해진다.

그리고 3-4일 발작한 다음에 반드시 세게 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열이 내리고 몸이 식은 다음에 음식을 먹게 해야 한다.

열이 있는 때에는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화되지 않아서 비기( 氣)가 생기는데 비기가 퍼지면 고창(鼓瘡)이 될 수도 있다[회춘].

 

凡瘧 須分利陰陽 柴苓湯方見寒門最效

甚者截而除之 不二飮 勝金丸之類 截之 不愈 乃氣大虛 要扶胃氣爲本 露薑養胃湯 養胃丹之類

又有經歲久瘧 汗 吐 下不愈 榮衛虧損 邪氣伏藏 脇間結爲癥痞 謂之瘧母 痎瘧飮 黃甲丸之類(醫鑒).

학질 때에는 반드시 음양이 갈라지게 해야 한다.

이런 데는 시령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제일 효과가 있다.

심하면 세게 쳐서 낫게 해야 하는데 불이음(不二飮), 승금환(勝金丸) 같은 것으로 세게 쳐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는 것은 기가 몹시 허한 것인데

이때에는 위기(胃氣)를 보하는 것이 기본이므로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양위단(처방은 위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

또 여러 해 동안 학질을 앓으면서 땀을 내기도 하고 토하게 하기도 하고 설사도 시켰으나 낫지 않아서 영위가 허약해지고 사기가 옆구리에 잠복되어 징비가 생긴 것을 학모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해학음( 飮), 황갑환(처방은 위에 있다) 같은 것을 쓴다[의감].

 

在陰分者 用藥 徹起陽分 方可用截方(丹心).

음분에 사기가 있을 때에는 약을 써서 양분으로 끌어낸 다음 금방 세게 치는 성질의 약을 써야 한다[단심].

 

截瘧 宜截瘧常山飮 截瘧七寶飮 截瘧飮子 人參截瘧飮 鬼哭丹 勝金丹 參歸養榮湯(諸方)

학질을 세게 치는 데는 절학상산음(截 常山飮), 절학칠보음(截 七寶飮), 절학음자(截 飮子),

인삼절학음(人蔘截 飮), 귀곡단(鬼哭丹), 승금단(勝金丹),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을 쓴다[저방].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難治 不治證][난치 불치증]  (0) 2020.11.18
[?法][부법]  (0) 2020.11.18
[知瘧將差][지학장차]  (0) 2020.11.18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知瘧將差][지학장차]

 

少陽證 知可解者 寒熱日 不移時而作 邪未退也.

若用柴胡而移其時 早移之于晏 晏移之于早 氣移之于血 血移之于氣 是邪無可容之地 知可解也(海藏).

소양증(少陽證)이 낫겠는가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날짜와 시간이 변동되지 않는 것은 사기(邪氣)가 없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때에 시호를 써 보아 그 시간이 변동되어 빨리 발작하던 것이 늦어지거나 늦게 발작하던 것이

빨라지면 그것은 기(氣)에 있던 병이 혈(血)로 넘어가고 혈에 있던 병이 기로 넘어간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사기가 있을 곳이 없어지므로 병이 나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해장].

 

若移時 或早 或晩 是邪無容地 瘧將差也(醫鑒).

만일 발작하는 시간이 변동되어 혹 빨라지거나 늦어지는 것은

사기가 있을 곳이 없어진 것이므로 학질이 장차 나을 수 있다[의감].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法][부법]  (0) 2020.11.18
[截瘧法][절학법]  (0) 2020.11.18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寒熱似瘧][한열사학]  (0) 2020.11.18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瘧疾者 陰陽交爭 寒熱互作 用藥

須半生半熟 半冷半熱 乃收十全之功.

학질 때에는 음기와 양기가 부딪치기 때문에 오한과 열이 번갈아 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약은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쓰되 절반은 성질이 찬 약을

절반은 성질이 더운 약을 써서 치료해야 완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諺云 無痰不成瘧 盖半生半熟 所以分陰陽 解寒熱也(得效).

속담에 담(痰)이 없으면 학질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약을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쓰는 것은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고 오한과 열을 풀기 위해서이다[득효].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截瘧法][절학법]  (0) 2020.11.18
[知瘧將差][지학장차]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寒熱似瘧][한열사학]  (0) 2020.11.18
[瘧寒熱不歇有根][학한열불헐유근]  (0) 2020.11.17

[瘧疾治法][학질치법]

 

內經 主於暑風 局方主於傷食 丹溪主於痰 雖三因雜至 錯亂氣血 然捷徑 以祛暑消痰爲要

通用二陳湯 無汗加葛根 柴胡, 氣虛 加參朮, 熱甚 加芩連, 寒多 加草果, 口渴 加烏梅(入門).

내경에는 서사(暑邪)와 풍사(風邪)를 학질의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고

국방에는 음식에 상한 것을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으며

단계(丹溪)는 담(痰)을 주되는 원인으로 보았지만,

이 3가지 원인이 복잡하게 얽히어 기혈(氣血)을 혼란시켜서 생긴다.

그렇지만 빨리 낫게 하려면 서사를 몰아내고 담을 삭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데는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두루 쓰는데

땀이 나지 않으면 칡뿌리(갈근)와 시호를 넣어 쓰고

기가 허하면 인삼과 흰삽주(백출)를 넣어 쓰며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과 황련을 넣어 쓰고

오한이 심하면 초과를 넣어 쓰며 갈증이 있으면 오매를 넣어 쓴다[입문].

 

無汗者 要有汗 散邪爲主 帶補

有汗者 要無汗 扶正氣爲主 帶散邪 宜散邪湯 正氣湯(丹心).

땀이 나지 않을 때에는 땀을 내서 사기(邪氣)를 발산시키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겸해 보해야 한다.

땀이 날 때에는 땀이 나지 않게 하여 정기(正氣)를 보존하면서 겸해 사기를 발산시켜야 한다.

이런 데는 산사탕(散邪湯), 정기탕(正氣湯) 등을 쓴다[단심].

 

寒瘧 非草果 厚朴 不能溫散,

熱瘧 非柴胡 黃芩 不能淸解 陽瘧無汗 須用 柴胡 蒼朮 乾葛,

陰瘧無汗 須用 柴胡 升麻 川芎, 汗多 須用白朮 烏梅以斂之(入門).

한학(寒 )에 초과와 후박을 쓰지 않으면 덥게 하여 발산시킬 수 없고 

열학(熱 )에 시호와 속썩은풀(황금)을 쓰지 않으면 서늘하게 하여 풀리게 할 수 없다. 

양학 때 땀이 나지 않으면 반드시 시호, 삽주(창출), 칡뿌리(갈근)를 써야 하고 

음학(陰 ) 때 땀이 나지 않으면 시호, 승마, 궁궁이(천궁)를 써야 하며 

땀이 많이 나면 흰삽주(백출)와 오매를 써서 수렴시켜야 한다[입문]. 

 

先熱後寒 宜小柴胡湯, 先寒後熱 宜柴胡加桂湯,

多熱但熱 宜白虎桂枝湯, 多寒但寒 宜柴胡桂薑湯(綱目).

먼저 열이 나고 후에 오한이 나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이 좋고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데는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이 좋으며 

열이 심하거나 열만 나는 데는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이 좋고 

오한이 심하거나 오한만 나는 데는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이 좋다[강목]. 

 

痎瘧 熱多者 投以半冷半熱解散 分陰陽減寒熱之劑 度其所作之日

先一時進 以抵截之藥 去其痰水則收效矣.

寒多者 投以半生半熟 壯脾進食之劑 次以抵截之藥 則痰癖 去而疾愈矣.

須令 愼飮食 謹寄居 則無復攻之患矣(得效).

해학으로 열이 많이 날 때에는 절반은 성질이 찬 약을 쓰고 절반은 더운 약을 써서 발산시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한 다음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발작하기 2시간 전에 치는 성질이 있는 약으로 담수(痰水)를 없어지게 해야 효과가 있다. 

오한이 심한 데는 약을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써야 하는데 

비(脾)를 든든하게 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 다음 치는 성질의 약을 쓰면 담벽(痰癖)이 없어지고 병이 낫는다. 

그 다음 반드시 음식을 주의하고 일상생활에 조심해야 다시 앓지 않는다[득효]. 

 

桂枝湯 治太陽 白虎湯 治陽明 小柴胡湯 治少陽 意甚明顯 挾痰 合二陳湯 食積 合平胃散,

尿澁 合五苓散 便閉 合大柴胡湯 無汗 加乾葛 蒼朮 有汗 加黃芪 白朮 夜發 加桃仁 赤芍藥,

日久 加常山 檳榔吐之. 治瘧之法 盡矣(入門).

계지탕(桂枝湯)으로 태양증(太陽證)을 치료하며,

백호탕(白虎湯)으로 양명증(陽明證)을 치료하며

소시호탕(小柴胡湯)으로 소양증(少陽證)을 치료하는 것은

뚜렷한 협담(挾痰)이 있으면 이진탕(二陳湯)과 섞어서 쓰고

식적(食積)이 있으면 평위산(平胃散)과 섞어서 쓰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 오령산(五 散)과 섞어서 쓰고

변비가 있으면 대시호탕(大柴胡湯)과 섞어서 쓰며

땀이 나지 않으면 칡뿌리(갈근)와 삽주(창출)를 넣어서 쓰고

땀이 나면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를 넣어서 쓰며

밤에 발작하면 복숭아씨(도인), 함박꽃뿌리(적작약)을 넣어 쓰고

병이 오래되었으면 상산과 빈랑을 넣어 써서 토하게 하는 것이 학질 치료법의 전부이다[입문].

 

[寒熱似瘧][한열사학]

 

帝曰 火熱復 惡寒發熱 有如瘧狀 或一日發 或間數日發 其故何也?

황제가 “몹시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고 또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면서

매일 발작하거나 하루 건너서 발작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岐伯曰 勝復之氣 會遇之時 有多少也.

陰氣多而陽氣少 則氣發日遠 陽氣多而陰氣少 則氣發日近.

此勝復相薄 盛衰之節 瘧亦同法(內經 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그러자 기백(岐伯)이 “이기는[勝] 것과 보복하려는[復] 기운이 부딪칠 때에

어느 것이 센가 약한가에 따라서 그렇게 된다.

음기(陰氣)가 세고 양기(陽氣)가 약하면 발작하는 날짜가 길고

양기가 세고 음기가 약하면 발작하는 날짜가 짧다.

이것이 이기는 것과 보복하려는 기운이 부딪칠 때에 어느 것이 성한가 약한가에 따라 생기는 것이다.

학질도 이와 마찬가지이다”[내경].

 

感冒之人 忽覺毛寒股慄

百骸鼓撼 嘔不能食 末幾轉而發熱 皆似瘧證

不必脈弦

但隨證施治

熱多 小柴胡湯 寒多 人蔘養胃湯 和解之

內傷虛者 補中益氣湯 加山査 麥芽 白荳蔲 扶脾自止矣(入門).

감모(感冒)에 걸리면 갑자기 추우면서 솜털이 일어서고 허벅지가 떨리며

온몸의 뼈가 후들후들하고 구역이 나서 먹지 못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열이 나는데

마치 학질과 비슷하다.

이때에 맥이 반드시 현하지는 않다.

이런 때에는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열이 심한 데는 소시호탕을 쓰고 오한이 심한 데는 인삼양위탕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

내상(內傷)으로 허해진 데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찔광이(산사),

보리길금(맥아), 백두구를 넣어 써서 비(脾)를 보해야 저절로 낫는다[입문].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瘧須用分陰陽之藥][치학수용분음양지학]  (0) 2020.11.18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瘧寒熱不歇有根][학한열불헐유근]  (0) 2020.11.17
[痎瘧][해학]  (0) 2020.11.17
[瘴瘧][장학]  (0) 2020.11.17

[瘧寒熱不歇有根][학한열불헐유근]

 

瘧之寒熱 不歇者 有根在也. 根者何?

曰飮 曰水 曰敗血 是爾

惟癖爲瘧之母 惟敗血爲暑熱之毒.

惟飮與水 皆生寒熱 故治法 挾水飮者 爲之逐水消飮

結癖者 脇必痛 爲之攻癖敗血暑毒 隨證而踈利之則寒熱自除矣.

학질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뿌리란 무엇인가.

그것은 음(飮)과 수(水)와 궂은 피[敗血]이다.

벽(癖)은 학모로 생기고 궂은 피는 더위독[暑熱之毒]으로 생긴다.

음과 수는 다 오한과 열이 나게 한다.

때문에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수와 음이 같이 있으면 수를 몰아내고 음을 삭게 해야 한다.

벽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옆구리가 아픈데 이때에는 벽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

더위독으로 생긴 궂은 피가 있을 때에는 증상에 따라 잘 나가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한이나 열이 나던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凡 瘧 皆因停蓄黃水 或於脇間結癖 惟癖爲能生寒熱

若取下毒水去 其病根則寒熱自解 所以瘧劑 多用常山

盖水在上則吐之 水在中 下則亦能破 其癖而下 其水故也(直指).

모든 학질 때 누런 물이 차거나 옆구리에 벽이 생기면 그것으로 인하여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한다.

그러나 그 독물을 빼내면 병뿌리가 없어지면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

때문에 학질을 치료하는 데는 흔히 상산(常山)을 쓴다.

그것은 상산이 물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중초(中焦)나 하초(下焦)에 있으면 벽을 헤쳐서 물을 잘 나가게 하기 때문이다[직지].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疾治法][학질치법]  (0) 2020.11.18
[寒熱似瘧][한열사학]  (0) 2020.11.18
[痎瘧][해학]  (0) 2020.11.17
[瘴瘧][장학]  (0) 2020.11.17
[疫瘧][역학]  (0) 2020.11.17

[痎瘧][해학]

 

老瘧也

以其隔三日一發 纏綿不去也(綱目).

해학이란 오랜 학질을 말하는데 3일 간격으로 1번씩 발작하면서 오랫 동안 낫지 않는다[강목].

 

三日一作者 邪入於三陰經也

作於子午 卯酉日者 少陰經瘧也.

作於寅申 巳亥日者 厥陰經瘧也.

作於辰戌丑未日者 太陰經瘧也.

瘧得於暑 當以汗解. 夫感冒與風 皆外邪也.

故非汗多不解 必先與參朮等補劑爲君 加柴葛等 發散藥 漸而收汗 得汗而虛.

又行補養 下體屬陰 最難得汗 補藥力到汗出 至足 方是佳兆(丹心).

3일에 1번씩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음경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자일(子日), 오일(午日), 무일(戊日), 유일(酉日)에 발작하는 것은 소음경(少陰經) 학질이고

인일(寅日), 신일(申日), 사일(巳日), 해일(亥日)에 발작하는 것은 궐음경(厥陰經) 학질이며

진일(辰日), 술일(戌日), 축일(丑日), 미일(未日)에 발작하는 것은 태음경(太陰經) 학질이다.

더위로 생긴 학질 때에는 땀을 내야 한다.

감모(感冒)나 풍증(風證)은 다 밖으로부터 사기를 받아서 생긴 것이므로 땀을 내지 않으면 풀리지 않는다. 이런 데는 먼저 인삼, 흰삽주(백출) 등 보하는 약을 주약으로 하고

시호, 칡뿌리(갈근) 등 발산시키는 약을 넣어 써서 점차 땀이 나게 해야 한다.

땀을 내서 허해지면 다시 보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아랫도리는 음에 속하는데 여기에 땀이 나게 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보약을 써서 그 기운으로 땀이 발끝까지 나게 해야 좋다[단심].

 

老瘧 係風暑之邪 入在陰分 宜用血藥 引出陽分而散

古方 多用峻劑 恐非所宜(丹心).

노학은 풍사와 서사가 음분에 들어가서 생긴 것이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혈병에 쓰는 약을 써서 사기를 양분으로 끌어내어 발산시켜야 한다.

옛날 처방에 약 기운이 센 약을 많이 넣어서 쓴 것은 그리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다[단심].

 

若感病極深 雖得大汗 所感之邪 必自藏傳出至府 其發無時 必亂而失期

若發於午之後 寅之前者 血受病也

爲難愈 須漸趲早 亦是佳兆 故治此病 春夏爲易 秋冬爲難 非有他也

以汗之 難易 爲優劣也(丹心).

만일 병사가 깊이 들어갔으면 땀을 많이 낸다고 하여도 들어온 사기는

반드시 5장(五藏)에서 6부(六府)로 옮겨가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시간이 없이 발작하게 된다.

만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이후나 새벽 3시부터 5시 전에 발작하는 것은

혈(血)에 병이 생긴 것으로서 낫기 어렵다. 점차로 일찍이 발작하는 것은 좋은 징조이다.

이런 병은 치료하기가 봄과 여름에는 쉽고 가을과 겨울에는 어렵다.

그것은 다른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땀내기 어려운가 쉬운가에 따라 치료가 잘 되거나 안되기 때문이다[단심].

 

凡瘧經年不差 謂之老瘧 必有痰水 瘀血 結成痞塊 藏於腹脇 作脹此痛 乃瘧母也.

雖內虛 非常山 檳榔 決不能除 但須製熟則不損胃 老瘧丸 是也.

血虛者 宜鱉甲丸 有水癖者 暫用 消癖元 以補脾化痰湯藥輔之 且量虛實 用老瘧飮(入門).

모든 학질이 여러 해가 지나도록 낫지 않는 것을 노학(老 )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담수(痰水)나 어혈(瘀血)이 뭉쳐서 덩어리가 배나 옆구리에 생기므로 배가 불러 오르고 또 아프다. 이것이 바로 학모( 母)이다.

속이 허(虛)한 것은 상산(常山)과 빈랑(檳 )이 아니면 결코 낫게 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 약을 잘 법제하여 쓰면 위가 상하지 않는다.

노학환(老 丸)이 바로 그런 것이다.

혈(血)이 허(虛)한 데는 별갑환(鱉甲丸)이 좋고

수벽이 있는 데는 얼마간 소벽원을 써서 비(脾)를 보한 다음 담을 풀리게 하는 약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허한가 실한가를 보아서 노학음(老 飮)을 써야 한다[입문]

 

老瘧 宜七棗湯 鱉甲飮子 參歸鱉甲散 秘方淸脾丸 經效瘧丹 黃甲丸.

노학에는 칠조탕(七棗湯), 별갑음자(鱉甲飮子), 삼귀별갑산(蔘歸鱉甲散),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경효학단(經效 丹), 황갑환(黃甲丸)을 쓴다.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熱似瘧][한열사학]  (0) 2020.11.18
[瘧寒熱不歇有根][학한열불헐유근]  (0) 2020.11.17
[瘴瘧][장학]  (0) 2020.11.17
[疫瘧][역학]  (0) 2020.11.17
[鬼瘧][귀학]  (0) 2020.11.17

[瘴瘧][장학]

 

挾山溪嵐瘴 蒸毒之氣 令人迷困發狂 或啞 乍寒乍熱 乍有乍無

南方多病 此宜雙解飮子 地龍飮 羗活蒼朮湯 瘴疸丸方見疸門 觀音元(諸方).

산골 시냇가에서 생긴 산람장기의 독[嵐 蒸毒]을 받아 생긴 것인데

이때에는 정신이 흐릿하거나 미치고 혹 말을 못하며

잠깐 오한이 나다가 잠깐 열이 나며 병이 나았다 도졌다 한다.

이런 병은 남쪽 지방에 많다.

이런 데는 쌍해음자, 지룡음, 강활창출탕, 장달환(처방은 황달문에 있다), 관음원을 쓴다[저방].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寒熱不歇有根][학한열불헐유근]  (0) 2020.11.17
[痎瘧][해학]  (0) 2020.11.17
[疫瘧][역학]  (0) 2020.11.17
[鬼瘧][귀학]  (0) 2020.11.17
[勞瘧][노학]  (0) 2020.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