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瘧晝發夜發宜分治][학주발야발의분치]

 

氣虛 晝發 宜六君子湯方見痰飮

補中益氣湯方見內傷 加半夏 黃芩.

기(氣)가 허(虛)하여 낮에 발작하는 데는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을 넣어서 쓴다.

 

血虛 夜發 宜柴胡四物湯方見上

桃仁承氣湯方見寒門 麻黃黃芩湯 柴胡芎歸湯(諸方).

혈이 허하여 밤에 발작하는 데는 시호사물탕(처방은 위에 있다),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마황황금탕, 시호궁귀탕을 쓴다[저방].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瘧][풍학]  (0) 2020.11.17
[諸瘧證治][제학증치]  (0) 2020.11.17
[六經瘧][육경학]  (0) 2020.11.16
[瘧發有晝夜早晏之異][학발유주야조안지이]  (0) 2020.11.16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六經瘧][육경학]

 

夏傷於暑 秋必病瘧 初不知何經受病 隨其受而取之

有中三陽者 有中三陰者.

大抵 經中邪氣 其證各殊

在太陽經者 謂之寒瘧 治多汗之 在陽明經者 謂之熱瘧 治多下之

在少陽經者 謂之風瘧 治多和之 此三陽受病 皆謂暴瘧

發在夏至後 處暑前 此乃傷之淺者 近而暴也.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반드시 학질에 걸린다.

그러나 처음에는 어느 경(經)에 병이 생겼는지 알 수 없다.

병이 생긴 경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3양경(三陽經)에 병이 생긴 것도 있고 3음경(三陰經)에 병이 생긴 것도 있는데

사기를 받은 경에 따라 그 증상이 각기 다르다.

태양경(太陽經)에 병이 생긴 것을 한학(寒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땀을 내야 한다.

양명경(陽明經)에 병이 생긴 것을 열학(熱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소양경(少陽經)에 병이 생긴 것을 풍학(風 )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화해시켜야 한다.

이것은 3양경에 병이 생긴 것이므로 모두 폭학(暴 )이라고 한다.

이것은 하지 후부터 처서 전에 발작하는데 약간 상해도 금방 심하게 앓는다.

 

在陰經者 則不分三陰 皆謂之溫瘧

其發在處暑後冬至前 此乃傷之重者 遠而深也.

痎瘧者 老瘧也 故謂之 久瘧(保命).

음경(陰經)에 병이 생겼을 때에는 3음(三陰)을 갈라보지 않고 다 온학(溫 )이라고 한다. 

이것은 처서 후 동지 전에 발작하는데 몹시 상해도 오래 있다가 서서히 앓는다. 

해학이란 노학(老 )을 말한다. 

즉 오래된 학질이다[보명]. 

 

傷寒餘熱未淨 重感於寒而變瘧 名曰溫瘧 亦曰風瘧.

此爲傷寒壞病 其證 先熱後寒(入門).

상한(傷寒)으로 아직 열이 남아 있는데 

이때에 또 찬 기운에 감촉되어 학질이 된 것을 온학 또는 풍학이라고 한다. 

이것을 상한괴병(傷寒壞病)이라고 하는데 증상은 먼저 열이 나고 후에 오한이 나는 것이다[입문]. 

 

瘧屬三陽 宜汗宜和宜溫(正傳).

학질이 3양경과 관련된 것이면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하는 것이 좋고

3음경과 관련된 것이면 설사시키거나 화해시키거나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정전].

 

太陽瘧 宜桂枝羗活湯 麻黃羗活湯.

태양학(太陽 )에는 계지강활탕(桂枝羌活湯)이나 마황강활탕(麻黃羌活湯)을 쓴다. 

 

陽明瘧 宜人參白虎湯 柴苓湯二方並見寒門.

양명학에는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이나 시령탕(이 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少陽瘧 宜柴胡桂枝湯 柴胡加桂湯.

소양학에는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이나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을 쓴다. 

 

三陰溫瘧 宜白虎桂枝湯 麻黃白朮湯 或小柴胡合四物湯 名曰 柴胡四物湯.

3음경 온학에는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이나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이나 

소시호탕(小柴胡湯)에 사물탕(四物湯)을 섞은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을 쓴다. 

 

太陽陽明合病 桂枝芍藥湯 桂枝石膏湯. 三陽合病 宜桂枝黃芩湯 以和之(保命).

태양학과 양명학이 겹친 데는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이나 계지석고탕(桂枝石膏湯)을 쓰고

3양학이 겹친 데는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보명].

 

 

 

[瘧發有晝夜早晏之異][학발유주야조안지이]

 

帝曰 其作日晏 與其日早者 何氣使然?

岐伯曰 邪氣客於風府 循膂而下 衛氣一日一夜 大會於風府 其明日 日下一節 故其作也

晏 此先客於脊背也 每至於風府 則腠理開 腠理開 則邪氣入 邪氣入 則病作 以此日作梢益晏也.

其出於風府 日下一節 二十五日下至骶骨 二十六日入於脊內 注於伏膂之脈

其氣上行 九日出於缺盆之中 其氣日高 故作日益早也(內經 瘧論篇 第三).

황제가 “학질이 발작하는 것이 늦기도 하고 빠르기도 한데

이것은 어떤 기운이 그렇게 되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사기(邪氣)는 풍부(風府)에 침범하여 등골을 따라 내려간다.

그리고 위기(衛氣)는 하루 낮과 밤이 지나야 풍부에 모인다.

그런데 사기가 침범하면 그 이튿날부터 하루에 1마디씩 내려가기 때문에 늦게 발작하게 된다.

이것은 사기가 먼저 등골에 침범하여 생기는 것이다.

사기가 풍부에 이르면 항상 주리( 理)가 열리고 주리가 열리면

사기가 침범하고 사기가 침범하면 병이 발작하므로 발작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게 되는 것이다.

사기가 풍부에서부터 하루 1마디씩 내려가기 때문에 25일 만에 꽁무니뼈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26일 만에 등뼈 속으로 들어가 복려(伏 )의 맥에 몰리면

그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데 9일 만에 결분(缺盆) 가운데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그 기운이 날마다 높아지므로 더 빨리 발작하게 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陰爲晝發 邪淺 榮衛晝行 背與脊故也.

사기가 양에 있으면 낮에 발작하는데 

그것은 사기가 얕은 곳에 있고 영위가 낮에는 잔등과 등뼈 속으로 돌기 때문이다. 

사기가 음에 있으면 밤에 발작하는데 

그것은 사기가 깊은 곳에 있고 영위가 밤에는 가슴과 배 속으로 돌기 때문이다. 

 

陽爲子時至已 陰爲午時至亥 如發寅卯而退於未申

或發未申而退於子丑 皆謂之陰陽不分 須用藥趲早

或移時分定陰陽 然後陽瘧截住 陰瘧升散(入門).

양학(陽 )은 밤 1시부터 오전 11시경에 발작하고 음학(陰 )은 오전 11시부터 밤 11시경에 발작한다. 

만일 새벽 3시부터 7시경에 발작했다가 오후 1시부터 5시 사이에 멎는 것과 

오후 1시부터 5시 사이에 발작했다가 밤 11시부터 새벽 3시 사이에 멎는 것은 

다 음학인지 양학인지 가를 수 없는 것들이다. 

약은 발작하기 전에 쓰거나 발작한 다음에 음학인가 양학인가를 갈라내고 써야 하는데 

양학이면 세게 눌러주어야 하고 음학이면 끌어 올려 발산시켜야 한다[입문]. 

 

從卯至午發者 邪在外也

從午至酉發者 邪在內也

從酉至子發 或至寅發者 知邪在血分也(保命).

새벽 5시부터 오후 1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겉에 있는 것이고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이고

오후 5시부터 새벽 1시 사이, 또는 새벽 5시까지 사이에 발작하는 것은

사기가 혈분(血分)에 있는 것이다[보명].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晝發夜發宜分治][학주발야발의분치]  (0) 2020.11.17
[六經瘧][육경학]  (0) 2020.11.16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夏傷於暑 熱氣盛 藏於皮膚之內 腸胃之外

因秋遇痋及得之 以浴水氣 舍於皮膚之內 與衛氣

幷居衛氣者 晝日行於陽 夜行於陰 此氣得陽 而外出得陰 而內薄 內外相薄 是以日作(內經 瘧論篇 第三).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열기가 피부 속과 장위(腸胃)의 밖에 머물러 있다.

그러다가 가을에 가서 바람을 맞거나 목욕을 하면

피부 속에 머물러 있던 열기가 위기(衛氣)와 함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위기가 낮에는 양분으로 돌고 밤에는 음분으로 도는데

위기가 양분으로 돌 때 열기는 겉으로 나오고 음분으로 돌 때는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겉과 속이 서로 부딪치게 되므로 날마다 발작하게 된다[내경].

 

胃氣與邪相幷 則病作與邪相雜 則病休

其幷於陰則寒 病於陽則熱 離於陰則寒 已裏於陽則熱 已至次日 又集而幷合 則復病也(綱目).

위기와 사기가 뒤섞이면 병이 발작하고 사기와 갈라지면 병이 발작하지 않는다. 

위기가 음과 뒤섞이면 오한이 나고 양과 뒤섞이면 열이 나며 

음에서 갈라지면 오한이 멎고 양에서 갈라지면 열이 내린다. 

다음날에 다시 몰려 뒤섞이면 병이 또 발작한다[강목]. 

 

其間日發者 由邪氣內薄於五藏 橫連募原也.

其道遠 其行遲 不能與衛氣俱行 不得皆出 故間日乃作也(內經 瘧論篇 第三).

하루 건너 발작하는 것은 사기(邪氣)가 5장(五藏)에 침범하여 모원(募原)과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기가 깊은 곳에 있고 더디게 돌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함께 돌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루 건너 발작하게 된다[내경]. 

 

時有間二日 或至數日發 或渴或不渴 其故何也?

曰其間日者 邪氣與衛氣 客於六腑 而有時相失 不能相得 故休數日 乃作也.

瘧者 陰陽更勝也

或甚 或不甚 故或渴 或不渴(內經 瘧論篇 第三)

때로는 이틀 사이를 두고 혹은 며칠 사이를 두고 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혹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하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며칠 건너서 발작하는 것은 사기와 위기가 6부(六府)에 들어갔다가

때로 갈라져서 만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멎었다가는 며칠이 지나서 발작하게 된다.

학질은 음양이 서로 엇바꾸어 이기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어느 하나가 심한가 심하지 않은가 하는 차이에 따라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한다[내경].

 

三日一發者 受病一年 間日一發者 受病半年 連日發者 受病一月

二日連發 住一日者 氣血俱受病也. 又曰 三一一發 陰經受病也 最重(丹心).

3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년 정도 된 것이고 

하루 건너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반 년 정도 된 것이며 

매일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달 정도 된 것이고 

이틀 동안 계속 발작하다가 하루씩 멎는 것은 기혈(氣血)에 다 병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3일에 1번씩 발작하는 것은 음경(陰經)이 병든 것이므로 제일 중하다㈜[단심]. 

 

陽爲府 邪淺 與榮衛並行一日一發.

양(陽)이란 부(府)를 말하는데 사기가 얕은 곳에 있어서 

영위와 함께 돌게 되면 하루에 1번씩 발작하게 된다. 

 

陰爲藏 邪深橫連募原 不能與正氣並行

故間日蓄積乃發 或三四日一發 久則必爲瘧母(入門).

음(陰)이란 장(藏)을 말하는데 사기가 깊은 곳에 있어서

모원(募原)과 연결되게 되어 정기(正氣)와 함께 돌아가지 못하면

하루 건너 발작하거나 3∼4일에 1번씩 발작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반드시 학모( 母)가 생긴다[입문].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經瘧][육경학]  (0) 2020.11.16
[瘧發有晝夜早晏之異][학발유주야조안지이]  (0) 2020.11.16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病有洒淅惡寒 而復發熱者 何也?

曰 “陰脈不足 陽往從之 陽脈不足 陰往乘之”

何謂陽不足?

假令寸脈微 名曰 陽不足 陰氣上入 陽中則洒淅惡寒.

何謂陰不足?

假令尺脈弱 名曰 陰不足 陽氣下陷 入陰中則發熱也(仲景).

병으로 오싹오싹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음맥(陰脈)이 부족하면 양기가 뒤따르고

양맥(陽脈)이 부족하면 음기가 뒤따라와서 억누르기 때문이다.

양이 부족하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가령 촌맥(寸脈)이 미(微)하면 양기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음기가 올라와 양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오싹오싹 오한이 난다.

음기가 부족하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그것은 가령 척맥(尺脈)이 약하면 음기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이때에는 양기가 아래로 처져 내려가 음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열이 나게 된다[중경].

 

陽微則惡寒 陰微則發熱

大抵 陰不足 陽往從之 故內陷而發熱

陽不足 陰往乘之 故陰氣上入陽中 則惡寒(仲景).

양이 약하면 오한이 나고 음이 약하면 열이 난다.

대체로 음이 부족하면 양이 뒤따라가 속으로 들어가므로 열이 나게 된다.

양이 부족하면 음이 뒤따라와서 억누르기 때문에 음기가 위로 올라가 양 속으로 들어간다.

때문에 오한이 나게 된다[중경].

 

陽不足 則陰邪出表而與陽爭 乃陰勝而爲寒也

陰不足 則陽邪入裏而與陰爭 乃陽勝而爲熱也.

若邪入而正氣不與之爭 則但熱而無寒矣, 陽不足 則先寒陰不足 則先熱,

表邪多 則寒多 裏邪多 則熱多 半表半裏 則寒熱相等 乍往乍來而間作也(入門).

양이 부족하면 음사(陰邪)가 겉으로 나와 양과 싸워서 이기므로 오한이 나게 되고

음이 부족하면 양사(陽邪)가 속으로 들어가 음과 싸워서 이기므로 열이 나게 된다.

만일 사기(邪氣)가 들어와 정기(正氣)와 싸우지 않으면 열만 나지 오한은 나지 않는다.

양이 부족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음이 부족하면 먼저 열이 난다.

표(表)에 사기가 많으면 오한이 심하고 이(裏)에 사기가 많으면 열이 몹시 나며

사기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 오한과 열이 꼭 같이 번갈아 났다 멎었다 한다[입문].

 

瘧者 少陽也.

少陽者 東方之氣也

逆行則發寒 順行則發熱 故分之氣異 往來之不定也(東垣).

학질은 소양병(少陽病)인데 소양은 동쪽의 기운이다.

이것이 거꾸로 돌면 오한이 나고 제대로 돌면 열이 난다.

이와 같이 도는 것이 바뀌는데 따라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나는데 일정하지는 않다[동원].

 

身後爲太陽 太陽爲者 膀胱水 寒也.

身前爲陽明 陽明者 大腸金 燥也.

少陽之邪 在其中 近後膀胱水

則惡寒 近前陽明燥 則發熱 故爲往來寒熱也(東垣).

몸의 뒷면은 태양경(太陽經)에 속하는데 태양은 방광수(膀胱水)이므로 찬 것이고

몸의 앞면은 양명경에 속하는데 양명은 대장금(大腸金)이므로 조(燥)한 것이다.

소양(小陽)의 사기가 그 속에 있어서 몸의 뒷면인 방광수에 가깝게 있으면

오한이 나고 앞면인 양명의 조(燥)한 기운에 가깝게 있으면 열이 나게 된다.

그러므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한다[동원].

 

甚者 內外失守 眞邪不分陰陽 迭勝寒熱互起 則休作 無定時矣(直指).

이것이 심하면 안팎이 위치를 지키지 못하게 되고 진기(眞氣)와 사기(邪氣)가 갈라지지 않으며

음양이 엇바꾸어 이기기 때문에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이 일정한 시간이 없이 발작했다 멎었다 하게 된다[직지].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發有晝夜早晏之異][학발유주야조안지이]  (0) 2020.11.16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瘧疾形證][학질형증]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瘧先寒而後熱者

由夏傷於大暑 其汗大出 腠理開發

因遇夏氣 凄滄之水寒 藏於腠理皮膚之中

秋傷於風 則病成矣.

夫寒者 陰氣也, 風者 陽氣也,

先傷於寒而後成於風 故先寒而後熱也.

病以時作 名曰寒瘧(內經 瘧論篇 第三).

학질 때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것은

여름에 심한 더위에 상하여 땀이 많이 나고 주리( 理)가 열렸을 때

금방 찬물에 씻어서 찬 기운이 주리를 통하여 피부 속에 들어가 있는데

가을에 또 풍에 상하여 생긴 것이다.

찬 기운은 음기(陰氣)이고 풍은 양기(陽氣)이다.

먼저 찬 기운에 상하고 다음에 풍에 상하였기 때문에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것이며

이런 것이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발작하는 것을 한학(寒 )이라고 한다[내경].

 

先熱而後寒者 由先傷於風而後傷於寒

故先熱而後寒也.

亦以時作 名曰溫瘧(內經 瘧論篇 第三)

먼저 열이 난 다음에 오한이 나는 것은 먼저 풍에 상한 다음 찬 기운에 상한 것이다. 

때문에 먼저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는 것이다. 

이런 것이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발작하는 것을 온학(溫 )이라고 한다[내경]. 

 

其但熱而不寒者 陰氣先絶 陽氣獨發 則少氣煩寃 手足熱而欲嘔

名曰癉瘧 癉謂熱也(內經 瘧論篇 第三).

오직 열만 나고 오한이 나지 않는 것은 음기가 먼저 끊어져서 양기만 발작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기운에 약해지고 답답하며 손발이 달면서 구역이 나려고 한다.

이것을 단학이라고 한다.

단이란 달아오른다는 말이다[내경].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瘧疾形證][학질형증]  (0) 2020.11.15
[瘧病之源][학병지원]   (0) 2017.07.15

[脈法][맥법] 

 

瘧脈自弦 弦數多熱 弦遲多寒 弦小緊者宜下之.

弦遲者可溫之 弦緊者可發汗 浮大者可吐之

弦數者風發也 以飮食消息止之(要略).

학질 때의 맥(脈)은 현(弦)한데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이고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다.

현소(弦小)하면서 긴(緊)하면 설사시키는 것이 좋고 현지(弦遲)하면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현긴(弦緊)하면 땀을 나게 하고 부대(浮大)하면 토하게 해야 한다.

현삭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음식을 조절해서 멈추게 해야 한다[요략].

 

瘧脈 自弦微則爲虛代 散則死(脈經).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미(微)한 것은 허한 것이고 대산(代散)하면 위험하다[맥경]. 

 

瘧脈 自弦 弦遲多寒 弦數多熱 隨時變遷(脈訣).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고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인데 때때로 변한다[맥결]. 

 

瘧脈 多弦 但熱則弦而帶數 寒則弦而帶遲

亦有病久而脈極虛 微而無力似乎不弦 然而必於虛數之中見弦

但不搏手耳 細察可也(丹心).

학질 때의 맥은 흔히 현(弦)한데 열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삭(數)하고

오한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지(遲)하다.

또한 병이 오래되면 맥이 몹시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어져서 마치 현맥(弦脈)이 아닌 것같이 된다.

그렇지만 허삭(虛數)한 가운데서도 반드시 현맥이 나타난다.

다만 손에 잘 알리지 않을 뿐이다.

이런 때에는 맥을 세밀하게 짚어 보아야 한다[단심].

 

弦短者 傷食, 弦滑者 多痰, 虛微無力 爲久瘧(醫鑒).

맥이 현(弦)하면서 단(短)한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고 

현(弦)하면서 활(滑)한 것은 담(淡)이 많은 것이며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는 것은 학질이 오래된 것이다[의감]. 

 

瘧脈 遲緩者 病自愈(回春).

학질 때 맥이 지(遲)하고 완(緩)해지면 병이 저절로 낫는다[회춘].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瘧疾形證][학질형증]  (0) 2020.11.15
[瘧病之源][학병지원]   (0) 2017.07.15

[瘧疾形證][학질형증]

 

瘧之始發也 先起於毫毛伸欠 乃作寒慄鼓頷 腰脊俱痛

寒去則內外皆熱 頭痛如破 渴欲飮冷(內經 瘧論篇 第三).

학질이 처음 발작할 때에는 먼저 솜털이 일어나고 하품이 나고 춥고 떨리면서

턱이 맞쪼이고 허리와 잔등이 다 아프다.

춥던 것이 멎으면 겉과 속으로 다 열이 나면서 머리가 터지는 것 같이 아프고

갈증이 나서 찬물만 마시려고 한다[내경].

 

夫陰陽上下交爭 虛實更作 陰陽相移也.

陽並於陰 則陰實而陽虛

陽明虛 則寒慄鼓頷 巨陽虛 則腰背頭項痛 三陽俱虛 則陰氣勝

陰氣勝 則骨寒而痛 寒生於內 故中外皆寒

陽盛則外熱 陰虛 則內熱 外內皆熱 則喘而渴 故欲冷飮也(內經 瘧論篇 第三).

음양이 위와 아래에서 서로 부딪쳐서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이 번갈아 나타나고 

음과 양이 뒤섞이게 되는데 양이 음에 가서 뒤섞이면 음은 실해지고 양은 허해진다. 

양명경(陽明經)이 허하면 추워서 턱까지 떨리고 

태양경이 허하면 허리, 잔등, 머리, 목이 아프고 3양경이 다 허하면 음기가 성해진다. 

음기(陰氣)가 성[勝]하면 뼈까지 시리면서 아프고 속에 찬 기운이 생긴다. 

그러므로 겉과 속이 다 차진다. 

양이 성하면 겉이 달고 음이 허하면 속이 달며 

속과 겉이 다 달면 숨이 차고 목이 말라 찬물을 마시려고 한다[내경]. 

 

夫瘧之始發也 陽氣並於陰 當是之時 陽虛而陰盛 外無氣故先寒慄也.

陰氣逆極則復出之陽 陽與陰復並於外 則陰虛而陽實 故先熱而渴.

夫瘧氣者 並於陽則陽勝 並於陰則陰勝 陰勝則寒 陽勝則熱(內經 瘧論篇 第三).

대체로 학질이 처음 발작할 때에는 양기가 음기에 뒤섞인다. 

이렇게 되면 양이 허해지고 음은 성해지면서 겉에 기가 약해지므로 먼저 추워하면서 떨게 된다. 

그리고 음기가 성해져 극도에 이르면 그것이 양분으로 나가서 양과 겉에서 또 뒤섞이게 된다. 

그러면 음은 허해지고 양은 성해지기 때문에 열이 나고 갈증이 난다. 

학질 기운이 양분에서 뒤섞이면 양기가 성해지고 음분에서 뒤섞이면 음기가 성해진다. 

음기가 성해지면 오한이 나고 양기가 성해지면 열이 난다[내경]. 

 

衛虛則先寒 榮虛則先熱 表邪多則寒多裏 裏邪多則熱多表 相半寒熱相等也(入門).

위기(衛氣)가 허하면 먼저 오한이 나고 영기(榮氣)가 허하면 먼저 열이 나며 

사기(邪氣)가 표(表)에 많으면 오한이 심하고 사기가 이(裏)에 많으면 열이 심하며 

사기가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으면 오한이 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같다[입문]. 

 

人之榮衛 晝行於陽(陽則表也) 夜行於陰(陰則裏也).

榮衛行到 病所不通 乃作寒戰 鼓振頭頷 中外皆寒 腰脊俱痛 此邪氣入於內也.

寒戰俱已 內外皆熱 頭痛如破 渴欲飮冷 煩滿欲吐自汗 此邪氣 發於外也(丹心).

영위(榮衛)가 낮에는 양(陽)분(양분이란 바로 표(表)이다)으로 돌고 

밤에는 음(陰)분(음분이란 바로 이(裏)이다)으로 돈다. 

영위가 돌다가 병든 곳에 이르면 돌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곧 오한이 나면서 머리와 턱이 떨린다. 

속과 겉이 다 차고 허리와 잔등 뼈가 다 아픈 것은 사기가 속에 들어간 것이다. 

오한과 떨리는 것이 멎는 것은 속과 겉에 다 열이 있는 것이다. 

머리가 터지는 것 같이 아프고 갈증이 나서 찬물을 마시려고 하며 

답답하고 그득하며 토하려 하고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사기가 겉으로 나오는 것이다[단심]. 

 

暑瘧 單熱, 濕瘧 多寒, 寒瘧 先寒後熱, 風瘧 先熱後寒 餘皆先寒後熱(入門).

서학(暑 ) 때는 열만 나고 습학(濕 ) 때는 오한이 난다.

한학(寒 ) 때에는 먼저 오한이 난 다음에 열이 나고 풍학(風 ) 때에는 먼저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난다.

그밖의 학질 때에는 다 먼저 오한이 나다가 열이 난다[입문].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瘧病之源][학병지원]   (0) 2017.07.15

[瘧病之源][학병지원] 

『內經』 (生氣通天論篇 第三)曰 夏傷於暑 秋爲痎瘧.
내경에는 “여름철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학질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夏暑 汗不出者 秋成風瘧(內經 金匱眞言論篇 第四 ).
여름철 더운 때에 땀이 나지 않으면 가을에 가서 풍학(風 )이 생긴다[내경].
秋善病 風瘧
又曰 “魄汗未盡 形弱而氣爍 穴兪以閉 發爲風瘧(內經 生氣通天論篇 第三).
가을에는 풍학에 잘 걸린다.
또 백한(魄汗)이 다 나오지 않고 몸이 약해지면서 기(氣)가 소모되고
수혈이 막히면 풍학이 생긴다[내경].
風成爲寒熱(脈要精微論篇 第十七).
[又]曰 因於露風 乃生寒熱(內經生氣通天論 第三).
풍사가 침범하면 추워하다가 열이 난다.
또한 바람과 이슬에 상해도 추워하다가 열이 난다[내경].
風氣盛於皮膚之內 內不得通外不得泄 腠理開則洒然 寒閉則熱而悶
名曰寒熱(內經 風論篇 第四十二)
풍기(風氣)가 피부 속에서 성하면 속으로도 통하지 못하고
밖으로도 나가지 못하다가 주리( 理)가 열리면 오싹오싹 춥고 막히면
열이 나면서 답답한데 이것을 한열(寒熱)이라고 한다.
夏傷於暑 秋必病瘧 盖傷之淺者 近而暴 傷之重者 遠而深. 痎瘧者 久瘧也.
是知夏傷於暑濕熱 閉藏而不能發泄于外 邪氣內行至秋而發爲瘧也.(保命).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가을에 가서 반드시 학질이 생기는데
대체로 약간 상하였으면 금방 심하게 발작하고 몹시 상하였으면
병이 오래 있다가 천천히 발작한다.
해학이란 학질이 오래된 것을 말한다.
여름에 더위에 상하여 습열(濕熱)이 속에 몰려서 밖으로 배설되지 못하면
사기가 속에서 돌아다니다가 가을에 가서 학질이 생기게 한다[보명].
瘧之爲病 以暑舍于榮衛之間 得秋之風寒所傷而後發 亦有非暑因風寒感冒
而得之者 在於陽 則發熱 在於陰則發寒 幷則病 作離則病止 作止故有時
在氣則發早 在血則發晏 淺則日作 深則間日 或在頭項 或在背中 或在腰脊.
雖上下遠近之不同. 在太陽則一也(東垣).
학질은 영위 속에 서사가 들어와 있는데 가을에 풍한(風寒)에 상하면 생긴다.
그러나 서사가 들어와 있을 때 풍한에 상해도 생기지 않는 것도 있다.
사기가 양에 있으면 열이 나고 음에 있으면 오한이 난다.
정기와 사기가 뒤섞이면 병이 발작하고 갈라지면 멎으므로 발작했다 멎었다 하는
일정한 시간이 있게 된다.
사기가 기(氣)분에 있으면 빨리 발작하고 혈(血)분에 있으면 늦게 발작한다.
사기가 얕은 곳에 있으면 날마다 발작하고 깊은 곳에 있으면 하루 건너 발작한다.
그리고 사기가 머리나 목에 있거나 잔등의 한가운데 있거나 허리뼈에 있어서
위아래와 멀고 가까운 것이 같지 않지만 태양경에 있는 것은
하나와 같이 발작한다[동원].
大法風暑 當發汗 夏月多在風 凉處歇遂 閉其汗而不泄 故也(丹心).
대체로 풍사나 서사가 침범했을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하는데 여름에
바람이 불고 서늘한 곳에만 있으면서 땀을 흘리지 않으면 학질이 생긴다[단심].
病氣 如凌虐人之狀
[又]曰 瘧有凌虐之狀 在傷寒久則爲壞證 在內傷久則爲勞瘵 然則豈美疾哉(入門).
앓는 증상이 사람을 견디지 못하게 포악스럽다고 하여 학질이라고 한다.
또는 견디지 못하게 포악한 증상이 있기 때문에 학질이라고도 한다.
상한(傷寒)이 오래되면 괴증(壞證)이 되고 내상(內傷)이 오래되면
노채(勞 )가 되는데 이것들도 다 좋지 못한 병이다[입문].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0) 2020.11.15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瘧疾形證][학질형증]  (0) 2020.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