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瘧發日數多少][학발일수다소]

 

夏傷於暑 熱氣盛 藏於皮膚之內 腸胃之外

因秋遇痋及得之 以浴水氣 舍於皮膚之內 與衛氣

幷居衛氣者 晝日行於陽 夜行於陰 此氣得陽 而外出得陰 而內薄 內外相薄 是以日作(內經 瘧論篇 第三).

여름에 더위에 상하면 열기가 피부 속과 장위(腸胃)의 밖에 머물러 있다.

그러다가 가을에 가서 바람을 맞거나 목욕을 하면

피부 속에 머물러 있던 열기가 위기(衛氣)와 함께 있게 된다.

그런데 이 위기가 낮에는 양분으로 돌고 밤에는 음분으로 도는데

위기가 양분으로 돌 때 열기는 겉으로 나오고 음분으로 돌 때는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겉과 속이 서로 부딪치게 되므로 날마다 발작하게 된다[내경].

 

胃氣與邪相幷 則病作與邪相雜 則病休

其幷於陰則寒 病於陽則熱 離於陰則寒 已裏於陽則熱 已至次日 又集而幷合 則復病也(綱目).

위기와 사기가 뒤섞이면 병이 발작하고 사기와 갈라지면 병이 발작하지 않는다. 

위기가 음과 뒤섞이면 오한이 나고 양과 뒤섞이면 열이 나며 

음에서 갈라지면 오한이 멎고 양에서 갈라지면 열이 내린다. 

다음날에 다시 몰려 뒤섞이면 병이 또 발작한다[강목]. 

 

其間日發者 由邪氣內薄於五藏 橫連募原也.

其道遠 其行遲 不能與衛氣俱行 不得皆出 故間日乃作也(內經 瘧論篇 第三).

하루 건너 발작하는 것은 사기(邪氣)가 5장(五藏)에 침범하여 모원(募原)과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기가 깊은 곳에 있고 더디게 돌기 때문에 위기(衛氣)가 함께 돌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루 건너 발작하게 된다[내경]. 

 

時有間二日 或至數日發 或渴或不渴 其故何也?

曰其間日者 邪氣與衛氣 客於六腑 而有時相失 不能相得 故休數日 乃作也.

瘧者 陰陽更勝也

或甚 或不甚 故或渴 或不渴(內經 瘧論篇 第三)

때로는 이틀 사이를 두고 혹은 며칠 사이를 두고 발작하기도 한다.

그리고 혹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하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며칠 건너서 발작하는 것은 사기와 위기가 6부(六府)에 들어갔다가

때로 갈라져서 만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멎었다가는 며칠이 지나서 발작하게 된다.

학질은 음양이 서로 엇바꾸어 이기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어느 하나가 심한가 심하지 않은가 하는 차이에 따라 갈증이 나기도 하고 갈증이 나지 않기도 한다[내경].

 

三日一發者 受病一年 間日一發者 受病半年 連日發者 受病一月

二日連發 住一日者 氣血俱受病也. 又曰 三一一發 陰經受病也 最重(丹心).

3일에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년 정도 된 것이고 

하루 건너 한번씩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반 년 정도 된 것이며 

매일 발작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1달 정도 된 것이고 

이틀 동안 계속 발작하다가 하루씩 멎는 것은 기혈(氣血)에 다 병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3일에 1번씩 발작하는 것은 음경(陰經)이 병든 것이므로 제일 중하다㈜[단심]. 

 

陽爲府 邪淺 與榮衛並行一日一發.

양(陽)이란 부(府)를 말하는데 사기가 얕은 곳에 있어서 

영위와 함께 돌게 되면 하루에 1번씩 발작하게 된다. 

 

陰爲藏 邪深橫連募原 不能與正氣並行

故間日蓄積乃發 或三四日一發 久則必爲瘧母(入門).

음(陰)이란 장(藏)을 말하는데 사기가 깊은 곳에 있어서

모원(募原)과 연결되게 되어 정기(正氣)와 함께 돌아가지 못하면

하루 건너 발작하거나 3∼4일에 1번씩 발작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반드시 학모( 母)가 생긴다[입문].

 

 

'[雜病篇] > [穡秇]'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經瘧][육경학]  (0) 2020.11.16
[瘧發有晝夜早晏之異][학발유주야조안지이]  (0) 2020.11.16
[寒熱往來][한열왕래]  (0) 2020.11.15
[寒熱先後][한열선후]  (0) 2020.11.15
[脈法][맥법]  (0) 2020.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