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肉積][육적]

 

食肉過多 成積 宜用阿魏元 小阿魏丸 三菱煎元(入門).

육적이란 고기를 지나치게 먹어서 생긴 적이다.

이런 데는 아위원, 소아위환, 삼릉전원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果菜積][과채적]  (0) 2020.10.11
[魚蟹積][어해적]  (0) 2020.10.11
[麵積][면적]  (0) 2020.10.11
[酒積][주적]  (0) 2020.10.09
[食積][식적]  (0) 2020.10.08

[麵積][면적]

 

食麪過多 成積 取阿魏元 以濃煎蘿覆子湯呑下(得效)

면적이란 밀가루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생긴 적(積)인데 이때에는

아위원을 무씨(나복자)를 진하게 달인[濃煎] 물로 먹는다.

 

粢糕傷 成積 曖酸 心腹作痛 百藥不效, 取靑木香元方見前陰 300粒 丁香10粒 神麴8g

同爲末 入巴豆肉3粒 更硏和勻 蒸餠爲丸 綠豆大 以生薑橘皮湯下20~30丸 滯去自安.

경단에 상해서 적이 생겨 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오며 명치 아래가 아픈 것이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는 데는 청목향원(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3백알, 백정향 10알, 

약누룩(신국) 8g을 함께 넣고 가루내어 파두 3알의 살과 함께 다시 고루 섞어 갈아 쓰는데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20-30알씩 생강과 귤껍질(陳皮)을 넣고 달인 물로 먹는다. 

그러면 체한 것이 없어지고 저절로 낫는다. 

 

素粉積 以紫蘇濃煎湯 加杏仁泥服 卽安.

평소에 가루음식을 먹어서 생긴 적은 차조기(자소)를 진하게 달인 물에

살구씨(행인)를 짓찧어 넣어서 먹으면 곧 없어진다[득효].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蟹積][어해적]  (0) 2020.10.11
[肉積][육적]  (0) 2020.10.11
[酒積][주적]  (0) 2020.10.09
[食積][식적]  (0) 2020.10.08
[諸物傷成積][제물상성적]  (0) 2020.10.08

[酒積][주적]

 

酒傷成積者 面黃黑 腹脹時嘔痰水

宜用對金飮子方見內傷 加葛根 赤茯苓 砂仁 神麴煎服(局方).

주적이란 술에 상하여 생긴 적인데 이때에는

얼굴빛이 누러면서 거멓게 되고 배가 불러 오르며 때때로 멀건 물을 토한다.

이런 데는 대금음자(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칡뿌리(갈근), 벌건솔풍령(적복령),

사인, 약누룩(신국)을 넣어서 달여 먹는 것이 좋다[국방].

 

酒積 宜用麴蘗元 酒積丸

주적에는 국얼원, 주적환을 쓰는 것이 좋다. 

 

治酒積方

甘遂4g 爲末 以猪槽頭肉40g 細切搗爛 和藥末 作一丸

濕紙裹火煨令香熟 取出 臨臥細嚼 以酒送下(丹心).

주적을 치료하는 처방은 다음과 같다. 

감수 4g을 가루내어 돼지목덜미고기 40g을 잘게 썰어 잘 짓찧은 것과 섞은 다음 알약 1알을 만든다. 

이것을 젖은 종이에 싸서 고소한 냄새가 날 때까지 잿불에 묻어 잘 굽는다. 

잠잘 무렵에 잘 씹어서 술로 넘긴다[단심]. 

 

又方 黃蓮酒侵一宿焙 爲末 以橘紅葛根湯 調下4g(壽域).

또 한 가지 처방은 다음과 같다. 황련을 하룻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귤홍(橘紅)과 칡뿌리(갈근)를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수역]. 

 

葛花解酲湯方見內傷 常服亦可(東垣).

갈화해정탕을 늘 먹어도 좋다[동원]. 

 

遇仙丹方見虫門 保和丸 烏白丸 竝治酒積(入門). 

우선단(처방은 충문에 있다), 보화환, 오백환도 다 주적을 치료한다[입문].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肉積][육적]  (0) 2020.10.11
[麵積][면적]  (0) 2020.10.11
[食積][식적]  (0) 2020.10.08
[諸物傷成積][제물상성적]  (0) 2020.10.08
[息積病][식적병]  (0) 2020.10.08

[食積][식적]

 

食不消化成積 痞悶 宜用平胃散方見內傷

加砂仁 香附子 神麴 麥芽 入生薑 紫蘇葉煎服(得效).

식적이란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아 생긴 적인데 이때에는 배가 더부룩하고 가슴이 답답하다.

이런 데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사인, 향부자,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생강,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어서 달여 먹는다[득효].

 

食積宜用 保和丸 大安丸 連蘿丸 紅圓子 佐脾丸(寶鑑).

식적에는 보화환, 대안환, 연라환(처방은 위에 있다), 홍원자, 좌비환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麵積][면적]  (0) 2020.10.11
[酒積][주적]  (0) 2020.10.09
[諸物傷成積][제물상성적]  (0) 2020.10.08
[息積病][식적병]  (0) 2020.10.08
[腸覃 石瘕 血蠱 證治][장담 석가 혈고 증치]  (0) 2020.10.08

[諸物傷成積][제물상성적]

 

凡人脾胃虛弱 或飮食過傷 或生冷過度 不能剋化

致成積聚結塊 心腹脹滿 噯氣呑酸 面靑肌瘦.

一曰食積 二曰酒積 三曰麵積

四曰肉積 五曰魚蟹積 六曰果菜積

七曰茶積 八曰水積 九曰血積 十曰蟲積(得效).

비위(脾胃)가 허약할 때 혹 음식을 지나치게 먹거나 생것과 찬 것을 지나치게 먹으면 소화시키지 못한다.

그렇게 되면 적취나 비괴가 되어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트림이 나고 신물이 올라오며 얼굴이 퍼렇게 되고 몸이 여윈다.

첫번째는 식적(食積)이고 두번째는 주적(酒積)이며 세번째는 면적(麵積)이고

네번째는 육적(肉積)이며 다섯번째는 어해적(魚蟹積)이고 여섯번째는 과채적(果菜積)이며

일곱번째는 다적(茶積)이고 여덟번째는 수적(水積)이며 아홉번째는 혈적(血積)이고

열번째는 충적(蟲積)이다[득효].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積][주적]  (0) 2020.10.09
[食積][식적]  (0) 2020.10.08
[息積病][식적병]  (0) 2020.10.08
[腸覃 石瘕 血蠱 證治][장담 석가 혈고 증치]  (0) 2020.10.08
[養正積自除][양정적자제]  (0) 2020.10.08

[息積病][식적병]

 

帝曰 人有病 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是爲何病?

岐伯曰 病名 曰息積 此不妨於食 不可灸刺 積爲導引服藥 藥不能獨治也(內經 奇病論篇 第四十七).

황제(黃帝)가 “옆구리 밑이 그득하고 기운이 치미는 것이 2-3년 동안 낫지 않는데

이것은 무슨 병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런 병을 식적(息積)이라고 한다.

이때에 먹는 것은 아무런 장애가 없는데 뜸이나 침을 놓아서는 안 된다.

도인법(導引法)과 약을 함께 써야 하지 약만으로도 치료하지 못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宜服磨積元 化氣湯 兼 導引法(得效).

마적원이나 화기탕을 먹으면서 동시에 도인법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腸覃 石瘕 血蠱 證治][장담 석가 혈고 증치]

 

腸覃 乃寒氣客於大腸 與胃相搏 結而爲瘕 覃延日久 瘜肉乃生 始如鷄卵

久如懷胎 按之堅 推之移 月事時下 或多或少 此氣病而血未病也

宜二陳湯 加香附子 三菱 蓬朮 鱉甲幷醋炒

장담(腸覃)은 찬 기운이 대장(大腸)과 위(胃)에 들어가 부딪쳐 뭉치면[搏結] 생기는데 석가도 생긴다.

이것이 오래되면 군살이 생기는데 처음에는 달걀만하다가 오래되면 임신한 것같이 된다.

그리고 눌러 보면 뜬뜬한데 밀면 움직인다.

그리고 월경은 제 날짜에 있으나 혹 많기도 하고 혹 적기도 하다.

이것은 병이 기(氣)에 생긴 것이지 혈(血)에 생긴 것은 아니다.

이런 데는 이진탕에 향부자, 삼릉, 봉출, 자라등딱지(별갑, 다 식초에 축여 볶은 것)를 넣어 쓴다.

 

石瘕者 胞中傷損瘀血結成 久則堅硬如石 塞於子門 大如懷孕

月事不下 乃先感寒氣而後 血壅所致 宜用晞露丸 石英散 通經丸 桃仁煎.

석가란 자궁 안이 상하여 어혈이 몰려서 생긴 것이다. 

이것이 오래되면 돌같이 뜬뜬해지면서 자궁입구를 막는데 그 크기는 임신한 것만하다. 

그리고 월경도 없어지는데 이것은 먼저 찬 기운에 상한 다음 피가 몰려서 생긴 것이므로 

희로환, 석영산, 통경환(처방은 포문에 있다), 도인전을 써야 한다. 

 

血蠱 卽癥瘕之甚者 腹肚堅硬如石

宜用醋煮三菱丸 三菱煎元 萬病丸 桃奴散 抱甕丸 斑玄丸(寶鑑)

혈고(血蠱)란 바로 징가가 심해진 것인데 이때에는 배가 돌같이 뜬뜬하다.

이런 데는 초자삼릉환, 삼릉전원, 만병환, 도노산, 포옹환, 반현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저방].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物傷成積][제물상성적]  (0) 2020.10.08
[息積病][식적병]  (0) 2020.10.08
[養正積自除][양정적자제]  (0) 2020.10.08
[癥瘕痃癖證治][징가현벽증치]  (0) 2020.10.08
[積聚治法][적취치법]  (0) 2020.10.07

[養正積自除][양정적자제]

 

易老云 “養正積自除” 譬如滿座皆君子 縱有一小人 自無容地而出.

令人眞氣實 胃氣强則積自消矣 更能 斷厚味 節色慾 戒暴怒 正思慮 庶乎 萬全而無害(綱目).

역로(易老)가 정기[正]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고 하였다.

이것을 비유해 말하면 온 방 안의 사람이 다 좋은 사람이고

한 사람만이 나쁜 사람이라면 나쁜 사람은 견뎌 낼 수 없어서 저절로 나가고 마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진기(眞氣)가 든든하고 위기(胃氣)가 세면 적은 절로 없어진다.

그 후에 기름진 음식을 적게 하고 성생활을 조심하며 지나치게

노(怒)하거나 기분 나쁜 생각을 하지 않으면 건강해져서 아무런 병도 생기지 않는다[강목].

 

壯人無積 虛人則有之 皆由脾胃怯弱 氣血兩衰 四時有感 皆能成積

若遽以磨積破結之藥 治之 疾似去 而人已衰矣.

治法 當先補虛 使氣血壯 則積自消 宜用木香枳殼丸(入門). 

적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생기지 않고 허약한 사람에게만 생긴다. 

그러니 이것은 다 비위(脾胃)가 허약하고 

기혈(氣血)이 쇠약하면 4철 기후의 영향을 받게 되어 적이 생긴다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 만약 급하게 적을 삭이고 뭉친 것을 헤치는 약[破結之藥]을 쓰면 

병은 낫는 것 같지만 몸은 더 약해진다.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허한 것을 보하여 기혈을 든든하게 해야 한다. 

그러면 적이 저절로 없어지는데 이런 데는 목향지각환이 좋다[입문]. 

 

又治 五積六聚 癥瘕積塊 元氣虛弱 瘦怯 飮食不進 四肢沈困

宜補中益氣湯 加三菱 蓬朮 靑皮 香附子 桔梗 藿香 益智仁 肉桂(回春).

또한 5적, 6취, 징가, 적괴를 치료할 때 원기가 허약하고 몸이 여위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팔다리가 몹시 나른하면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삼릉, 봉출, 선귤껍질(청피),

향부자, 도라지(길경), 곽향, 익지인, 육계를 더 넣어서 써야 한다[회춘].

 

凡攻擊之藥 有病則病受之 無病則胃氣受傷 胃氣者 淸純沖和之氣也.

惟與穀肉菜果相宜 蓋藥石 皆偏勝之氣 雖參芪性亦偏況 攻擊者乎(丹心).

대체로 치는 성질이 있는 약[攻擊之藥]을 병이 있을 때 쓰면

병을 치게 되지만 병이 없을 때 쓰면 위(胃)가 상한다.

위기는(胃氣)는 본래 맑고 순수하고 순조로운 기운이므로 쌀, 고기, 채소, 과실들이 그 성미에 맞는다.

직접 병을 치료하는 약들도 다 기운을 치우쳐 성하게[偏勝之氣] 한다.

비록 인삼이나 황기 같은 좋은 약이라고 하여도 기운을 치우쳐 성하게 할 수 있다.

그러니 치는 성질이 있는 약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단심].

 

 

[癥瘕痃癖證治][징가현벽증치]

 

癥者堅而不移 瘕者堅而能移

皆因痰飮 食積 死血而成塊 積聚 癥瘕 痃癖 其實一也(入門).

징이라는 것은 뜬뜬한 것이 생겨 움직이지 않는 것을 말하고

가라는 것은 뜬뜬한 것이 생겨서 움직이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다 담음이나 식적, 궂은 피[死血]로 말미암아 생긴 덩어리이다.

그러므로 적취, 징가, 현벽이 실지는 같은 것이다[입문].

 

癥名有七 蛟 龍 魚 鱉 獺 狐 蛇是也 亦曰 蛇 蛟 鱉 肉 髮 虱 米也.

瘕名有八 靑 黃 燥 血 脂 狐 蛇 鱉是也.

此等病 偶因食物 相感而然 瘕比癥稍輕

又有腸覃 石瘕 血蠱 皆女子之疾 種種不同 乃痞塊之異名也(千金).

징에는 이름이 7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교징(蛟 ), 용징(龍 ), 

어징(魚 ), 별징(鱉 ), 달징(獺 ), 호징(狐 ), 사징(蛇 )이다. 

또한 이것을 사징, 교징, 별징, 육징(肉 ), 발징(髮 ), 슬징(蝨 ), 미징(米 )이라고도 한다. 

가에는 이름이 8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청가(靑 ), 황가(黃 ), 

조가(燥 ), 혈가(血 ), 지가(脂 ), 호가(狐 ), 사가(蛇 ), 별가(鱉 )이다. 

이런 병들은 우연히 음식물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가는 징보다 좀 경(輕)하다. 

그리고 또 장담(腸覃), 석가, 혈고(血蠱)도 있는데 이것들은 다 여자에게 생기는 병이다. 

이와 같이 병이름들은 다르지만 이것은 다 비괴를 달리 부른 이름이다[천금]. 

 

癥者 徵也 腹中堅硬 按之應手 曰癥. 瘕者 假也

腹中雖硬 而忽聚忽散 無有常處 曰瘕

癥 因傷食 瘕 是血生 痞原傷氣 癖則傷精(入門).

징이라는 것은 모인다[徵]는 뜻이다. 뱃속에 뜬뜬한 것이 생겼는데

눌러 보면 손에 만져지는 것을 징이라고 한다.

가라는 것은 거짓[假]이라는 뜻인데 뱃속에 비록 뜬뜬한 것이 생겼으나

금방 나타났다가 없어지면서 일정한 곳에 있지 않는 것이다.

이것을 가라고 한다.

징의 원인은 음식에 상한 데 있다.

가는 피에서 생긴다.

비의 원인은 기(氣)를 상한 데 있고 벽(癖)은 정(精)을 상한 데 있다[입문].

 

癥瘕 入於婦人 子藏 則絶産 入於胞絡 則經閉 治法 上見婦人門(入門).

부인의 자궁에 징가가 생기면 어린이를 낳지 못하고 포락에 생기면 월경이 중단된다. 

치료하는 방법은 부인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입문]. 

 

痃者 在腹內近臍左右各有一條 筋脈急痛如臂如指如弦之狀 名曰痃.

癖者 偏僻在兩脇之間 有時而痛 名曰癖 凡癥瘕痃癖 得冷則痛(入門).

현이라는 것은 뱃속, 즉 배꼽의 양 옆에 팔뚝 같기도 하고 손가락 같기도 하며

활줄 같기도 한 한줄기의 줄이 생겨서 땅기고 아픈 것을 말한다.

벽이라는 것은 양 옆구리에 치우쳐 생겨 때때로 아픈 것을 말한다.

대체로 징가와 현벽 때에는 차게 하면 아프다[입문].

 

積者跡也 挾痰血以成形跡 亦鬱積至久之謂也.

聚者緖也 依元氣以爲端緖 亦聚散不常之意也

癥者 徵也 又精也 以其有所徵驗 及久而成精華也,

瘕者 假也 又遐也 以其假借 氣血成形 及歷年遐遠之謂也 痃癖者 懸絶隱僻 又玄妙莫測之名也.

大抵 痞與痃癖 乃胸膈間之病 積與聚 爲肚腹內之疾 其爲上中二焦之病 多見于男子.

其癥與瘕 獨見予臍下 是爲下焦之疾 故常得于婦人也(正傳).

적이란 자취[跡]가 있다는 뜻인데 담과 피가 뒤섞여 형태가 있는 것이 생겼다는 것이다.

또한 몰리고 쌓인 지 오랜 것을 말하기도 한다. 취라는 것은 모이기 시작한다[緖]는 뜻이다.

취란 원기(元氣)를 따라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기도 하고

또 모였다 흩어졌다 하는 것이 늘 있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징이라는 것은 모인다는 뜻이며 또 알맹이[精]라는 뜻도 있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정취(精萃)가 된다.

가라는 것은 거짓이라는 것이고 또 멀다[遐]는 뜻도 있는데

기혈을 거짓 빌어서 생기고 또 오래 간다는 것이다.

현벽이라는 것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숨어 있고 또 막연하여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

대체로 비와 현벽은 가슴에 생기는 병이고 적과 취는 뱃속에 생기는 병이다.

상초(上焦), 중초(中焦)의 병은 남자에게 흔히 있다.

징과 가는 배꼽 아래에 생기므로 하초(下焦)의 병인데 부인에게만 항상 생긴다[정전]

 

治法同積聚.

치료하는 방법은 적취 때와 같다. 

 

腸覃 石瘕 血蠱見下.

腸覃 生於腸外 月事時下,

石瘕 生於胞中 月事不下(千金).

장담(腸覃), 석가(石 ), 혈고(血蠱)는 하초에 생긴다.

장담은 장(腸) 밖에 생기므로 이때에는 월경을 제대로 한다.

석가는 자궁 속에 생기므로 이때에는 월경이 없어진다[천금].

[積聚治法][적취치법]

 

治積 當察其所痛 以知其病 有餘不足 可補可瀉 無逆天時 詳臟腑之高下

如高者 越之 結者 散之 客者 除之 留者 行之 堅者 削之 强者 奪之 鹹以軟之 苦以瀉之

全眞氣藥 補之 隨所利而行之 節飮食 愼起居 和其中 外可使必已(東垣).

적을 치료할 때에는 아픈 곳을 살펴보아서 실(實)한가 허(虛)한가에 따라

보(補)할 것인가 사(瀉)할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그리고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게 하고

병이 든 장부(藏府)가 상초(上焦)에 있는 것인가 하초(下焦)에 있는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상초에 있는 것이면 토하게 하고 맺혔으면 흩어지게 하며 침입한 것이면 없애버리고

머물러 있으면 돌게 하며 굳은 것은 연하게 하고 강한 것은 약하게 해야 한다.

짠 것으로 부드럽게 하고 쓴 것으로 사하고 원기를 온전하게 하는 약으로 보하는 등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몸의 안팎이 조화되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반드시 낫는다[동원].

 

凡積病 不可用 下藥 徒損眞氣 病亦不退 當用消積藥 使之 融化則自消 除根矣(丹心).

대체로 적병(積病) 때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설사시키는 약을 쓰면 필요없이 원기만 상하게 되고 병은 낫지 않는다. 

적을 삭이는 약을 써서 녹아 없어지게 해야 병의 뿌리가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經曰 治積聚 有化積·消積·挨積·磨積而無下積之說 盖不可直便取下 以傷胃氣也.

경(經)에 적취를 치료할 때에는 적을 녹이거나 적을 삭이거나 적을 밀어내거나 

적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는 말만 있고 적을 내린다[下]는 말은 없는데 

그것은 직접 설사시키면 위기(胃氣)가 상하기 때문이다. 

 

諸積 勿輕吐下 徒損眞氣 積亦不去 奔豚 尤不可吐 五積古有五方 今增損五積丸更妙(入門).

여러 가지 적병 때 경솔하게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면 

공연히 진기(眞氣)만 상하게 되고 적은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분돈증(奔豚證) 때 토하게 해서는 안 된다. 

5적을 치료할 때에 이전에는 5가지 처방을 썼다. 요즘은 증손오적환을 쓰는데 더 좋다[입문]. 

 

內經(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破積 用毒藥 衰其太半而止藥.

凡大積 大聚 消其太半 乃止藥 過劑則死(東垣).

내경에 “적을 헤치는 데[破積]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와 같이 큰 적이나 취 때에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약을 지나치게 쓰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동원].

 

肝積 用肥氣丸,

心積 用伏梁丸,

脾積 用痞氣丸,

肺積 用息賁丸,

腎積 用奔豚丸,

六聚 宜用散聚湯 香稜丸 大七氣湯 大阿魏丸 大安丸(入門).

간적(肝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심적(心積)에는 복량환을 쓴다.

비적(脾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폐적(肺積)에는 식분환을 쓴다.

신적(腎積)에는 분돈환을 쓴다.

6취에는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대아위환, 대안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積初爲寒 宜辛溫消導 大七氣湯 烏白丸 阿魏丸

久則爲熱 宜辛寒推蕩 木香檳榔丸方見氣門 通玄二八丹 消塊丸(入門)

적병의 초기에는 한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써서 삭여야 하는데

대칠기탕, 오백환, 아위환을 쓴다.

오랜 적병은 열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몰아내야 하는데

목향빈랑환(처방은 기문에 있다), 통현이팔단, 소괴환을 쓴다[입문].

 

治積要法 大抵 以所惡者 攻之 所喜者 誘之 則易愈.

적병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싫어하는 것으로 

공격하고[攻] 좋아하는 것으로 유도하는[誘]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쉽게 낫는다. 

 

如䃃砂 水銀 治肉積

神麴 麥芽 治酒積 水蛭 蝱蟲 治血積,

木香 檳榔 治氣積,

牽牛 甘遂 治水積,

雄黃 膩粉 治痰積,

礞石 巴豆 治食積

各從其類也(本事).

노사나 수은은 육적(肉積)을 치료한다.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은 주적(酒積)을 치료한다.

거머리(수질)와 등에(맹충)는 혈적(血積)을 치료한다.

목향과 빈랑은 기적(氣積)을 치료한다.

나팔꽃씨(견우자)와 감수(甘遂)는 수적(水積)을 치료하고

석웅황(웅황)과 경분은 담적(痰積)을 치료한다.

청몽석과 파두는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병에 따라서 각기 쓰는 약이 다르다[본사].

 

又云 三菱 蓬朮 治血積 香附子 枳實 治食積

山楂肉 阿魏 治肉積 海粉 礞石 治痰積,

雄黃 白礬 治蟲積, 乾薑 巴豆 治寒積, 黃蓮 大黃 治熱積(丹心).

또한 삼릉과 봉출은 혈적을 치료하고 향부자와 지실은 식적을 치료하며 

찔광이(산사)와 아위는 육적을 치료하고 조가비가루(海粉), 청몽석은 담적을 치료하며 

석웅황(웅황)과 백반은 충적(蟲積)을 치료하고 건강과 파두는 한적(寒積)을 치료하며 

황련과 대황은 열적(熱積)을 치료한다[단심]. 

 

五積六聚 通用 增損五積丸 消積正元散 肥氣丸 伏梁丸 痞氣丸 息賁丸 奔豚丸

又有 奔豚湯 散聚湯 香稜丸 大七氣湯 潰堅湯 潰堅丸 眞人化鐵湯(寶鑑).

5적과 6취에는 증손오적환, 소적정원산, 비기환(肥氣丸), 복량환, 비기환( 氣丸), 식분환, 분돈환을 두루 쓴다. 그리고 분돈탕,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궤견탕, 궤견환, 진인화철탕도 쓴다[보감].

 

宿血 滯氣凝結 爲癥瘕 腹中痞塊 堅硬作楚 當以破氣藥伐之

或以類相從 如敗梳 治虱瘕銅屑 治龍瘕麴蘗 治米瘕石灰 治髮瘕(得效).

궂은 피[宿血]와 체기(滯氣)가 엉켜서 생긴 징가 때와 뱃속에 비괴가 생겨 뜬뜬하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를 헤치는 약[破氣藥]을 써서 쳐야[伐] 한다.

혹 병과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헌빗으로 슬가를 치료하고 구리가루로 용가를 치료하며

약누룩(신국)과 보리길금(맥아)으로 미가를 치료하고 석회로 발가를 치료하는 것이다[득효].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養正積自除][양정적자제]  (0) 2020.10.08
[癥瘕痃癖證治][징가현벽증치]  (0) 2020.10.08
[痞塊證治][비괴증치]  (0) 2020.10.07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0) 2020.10.07
[食鬱][식울]  (0) 2020.10.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