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積聚治法][적취치법]
治積 當察其所痛 以知其病 有餘不足 可補可瀉 無逆天時 詳臟腑之高下
如高者 越之 結者 散之 客者 除之 留者 行之 堅者 削之 强者 奪之 鹹以軟之 苦以瀉之
全眞氣藥 補之 隨所利而行之 節飮食 愼起居 和其中 外可使必已(東垣).
적을 치료할 때에는 아픈 곳을 살펴보아서 실(實)한가 허(虛)한가에 따라
보(補)할 것인가 사(瀉)할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그리고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게 하고
병이 든 장부(藏府)가 상초(上焦)에 있는 것인가 하초(下焦)에 있는 것인가를 갈라 내야 한다.
상초에 있는 것이면 토하게 하고 맺혔으면 흩어지게 하며 침입한 것이면 없애버리고
머물러 있으면 돌게 하며 굳은 것은 연하게 하고 강한 것은 약하게 해야 한다.
짠 것으로 부드럽게 하고 쓴 것으로 사하고 원기를 온전하게 하는 약으로 보하는 등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그리고 음식을 조절하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여 몸의 안팎이 조화되게 해야 한다.
그러면 병이 반드시 낫는다[동원].
凡積病 不可用 下藥 徒損眞氣 病亦不退 當用消積藥 使之 融化則自消 除根矣(丹心).
대체로 적병(積病) 때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설사시키는 약을 쓰면 필요없이 원기만 상하게 되고 병은 낫지 않는다.
적을 삭이는 약을 써서 녹아 없어지게 해야 병의 뿌리가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經曰 治積聚 有化積·消積·挨積·磨積而無下積之說 盖不可直便取下 以傷胃氣也.
경(經)에 적취를 치료할 때에는 적을 녹이거나 적을 삭이거나 적을 밀어내거나
적을 없어지게 해야 한다는 말만 있고 적을 내린다[下]는 말은 없는데
그것은 직접 설사시키면 위기(胃氣)가 상하기 때문이다.
諸積 勿輕吐下 徒損眞氣 積亦不去 奔豚 尤不可吐 五積古有五方 今增損五積丸更妙(入門).
여러 가지 적병 때 경솔하게 토하게 하거나 설사시키면
공연히 진기(眞氣)만 상하게 되고 적은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분돈증(奔豚證) 때 토하게 해서는 안 된다.
5적을 치료할 때에 이전에는 5가지 처방을 썼다. 요즘은 증손오적환을 쓰는데 더 좋다[입문].
內經(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破積 用毒藥 衰其太半而止藥.
凡大積 大聚 消其太半 乃止藥 過劑則死(東垣).
내경에 “적을 헤치는 데[破積]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고 씌어 있다.
이와 같이 큰 적이나 취 때에는 성질이 독한 약을 쓰다가 병이 절반 정도 나으면
약을 더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약을 지나치게 쓰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동원].
肝積 用肥氣丸,
心積 用伏梁丸,
脾積 用痞氣丸,
肺積 用息賁丸,
腎積 用奔豚丸,
六聚 宜用散聚湯 香稜丸 大七氣湯 大阿魏丸 大安丸(入門).
간적(肝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심적(心積)에는 복량환을 쓴다.
비적(脾積)에는 비기환을 쓴다.
폐적(肺積)에는 식분환을 쓴다.
신적(腎積)에는 분돈환을 쓴다.
6취에는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대아위환, 대안환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積初爲寒 宜辛溫消導 大七氣湯 烏白丸 阿魏丸
久則爲熱 宜辛寒推蕩 木香檳榔丸方見氣門 通玄二八丹 消塊丸(入門)
적병의 초기에는 한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써서 삭여야 하는데
대칠기탕, 오백환, 아위환을 쓴다.
오랜 적병은 열증이므로 맛이 맵고 성질이 찬약을 써서 몰아내야 하는데
목향빈랑환(처방은 기문에 있다), 통현이팔단, 소괴환을 쓴다[입문].
治積要法 大抵 以所惡者 攻之 所喜者 誘之 則易愈.
적병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싫어하는 것으로
공격하고[攻] 좋아하는 것으로 유도하는[誘] 것인데 이와 같이 하면 쉽게 낫는다.
如䃃砂 水銀 治肉積
神麴 麥芽 治酒積 水蛭 蝱蟲 治血積,
木香 檳榔 治氣積,
牽牛 甘遂 治水積,
雄黃 膩粉 治痰積,
礞石 巴豆 治食積
各從其類也(本事).
노사나 수은은 육적(肉積)을 치료한다.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은 주적(酒積)을 치료한다.
거머리(수질)와 등에(맹충)는 혈적(血積)을 치료한다.
목향과 빈랑은 기적(氣積)을 치료한다.
나팔꽃씨(견우자)와 감수(甘遂)는 수적(水積)을 치료하고
석웅황(웅황)과 경분은 담적(痰積)을 치료한다.
청몽석과 파두는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이와 같이 병에 따라서 각기 쓰는 약이 다르다[본사].
又云 三菱 蓬朮 治血積 香附子 枳實 治食積
山楂肉 阿魏 治肉積 海粉 礞石 治痰積,
雄黃 白礬 治蟲積, 乾薑 巴豆 治寒積, 黃蓮 大黃 治熱積(丹心).
또한 삼릉과 봉출은 혈적을 치료하고 향부자와 지실은 식적을 치료하며
찔광이(산사)와 아위는 육적을 치료하고 조가비가루(海粉), 청몽석은 담적을 치료하며
석웅황(웅황)과 백반은 충적(蟲積)을 치료하고 건강과 파두는 한적(寒積)을 치료하며
황련과 대황은 열적(熱積)을 치료한다[단심].
五積六聚 通用 增損五積丸 消積正元散 肥氣丸 伏梁丸 痞氣丸 息賁丸 奔豚丸
又有 奔豚湯 散聚湯 香稜丸 大七氣湯 潰堅湯 潰堅丸 眞人化鐵湯(寶鑑).
5적과 6취에는 증손오적환, 소적정원산, 비기환(肥氣丸), 복량환, 비기환( 氣丸), 식분환, 분돈환을 두루 쓴다. 그리고 분돈탕, 산취탕, 향릉환, 대칠기탕, 궤견탕, 궤견환, 진인화철탕도 쓴다[보감].
宿血 滯氣凝結 爲癥瘕 腹中痞塊 堅硬作楚 當以破氣藥伐之
或以類相從 如敗梳 治虱瘕銅屑 治龍瘕麴蘗 治米瘕石灰 治髮瘕(得效).
궂은 피[宿血]와 체기(滯氣)가 엉켜서 생긴 징가 때와 뱃속에 비괴가 생겨 뜬뜬하고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를 헤치는 약[破氣藥]을 써서 쳐야[伐] 한다.
혹 병과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헌빗으로 슬가를 치료하고 구리가루로 용가를 치료하며
약누룩(신국)과 보리길금(맥아)으로 미가를 치료하고 석회로 발가를 치료하는 것이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