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痞塊證治][비괴증치]
塊 是有形之物, 氣 不能成塊 乃痰與食積·死血也 宜用化塊丸(丹心).
비괴는 형체가 있는 것이다. 기(氣)로는 비괴가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담(痰)이나 식적(食積), 궂은 피[死血]로 생긴다.
이런 데는 화괴환(化塊丸)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凡痞塊 在皮裏膜外 俱宜二陳湯方見上 氣鬱 加補氣 行氣藥, 先須斷厚味(丹心).
대체로 비괴가 피하에 생겼거나 막의 밖에 생겼을 때에는
다 이진탕(二陳湯)에 기를 보하고 돌게 하는 약[補氣行氣藥]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다.
그런데 먼저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단심].
治痞塊 當降火 消食積(卽痰也) 行死血 塊去後 須大補之(丹心).
비괴를 치료할 때에는 화(火)를 내리고 식적(즉 담(痰)이다)을 삭이며 궂은 피[死血]를 없애야 한다.
비괴가 없어진 뒤에는 크게 보해야 한다[단심].
痞塊 一名 癥瘕 其不能移動者 是癥塊也.
或有或無 或上或下 或左或右者 是假塊也.
俱用潰堅湯·丸方見下 積聚治法爲主(丹心).
부인에게 생긴 비괴는 대부분 궂은 피로 생긴 것이다[단심].
비괴를 징가라고도 하는데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은 징괴( 塊)이고
혹 나타났다 없어졌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왼쪽으로 갔다 오른쪽으로 갔다 하는 것은 가괴( 塊)이다.
이런 데는 다 궤견탕(潰堅湯)이나 궤견환(潰堅丸)을 주로 쓴다[단심].
脇下有塊 宜當歸龍薈丸方見五藏 加桃仁 薑黃各40g 蜜丸服之(入門).
옆구리 아래에 비괴가 생겼을 때에는 당귀용회환(當歸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복숭아씨(도인), 강황(薑黃) 각각 40g을 더 넣고 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입문].
驚氣成塊者 妙應丹 加穿山甲炒 鱉甲燒各12g 玄胡索 蓬朮各16g 每服50~70丸以利爲度(綱目).
놀란 기운[驚氣]으로 생긴 비괴에는 묘응단(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산갑(닦은 것), 자라등딱지(별갑, 구운 것) 각각 12g, 현호색, 봉출 각각 16g을 더 넣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먹는데 설사가 날 때까지 써야 한다[강목].
痞塊 宜用連蘿丸 消塊丸 加味柴平湯 消積保中丸 開懷散 柴香散 保和丸 化痞丹 兼用 膏藥 外貼之(諸方).
비괴에는 연라환, 소괴환, 가미시평탕, 소적보중환, 개회산, 시향산, 보화환, 화비단 등을 쓰면서
겸하여 겉에 고약을 붙여야 한다[제방].
凡腹中有塊 不問積聚 癥瘕 俱爲惡侯 切勿視爲尋常
若脹滿已 成胸腹鼓急 雖倉扁復生 亦莫能救其萬一也(正傳).
뱃속에 비괴가 있다면 그것이 적취이거나 징가이거나를 가릴 것 없이 다 좋지 못한 증상이므로
결코 등한히 해서는 안 된다.
이미 창만이 되어서 가슴과 배가 팽팽하게 켕길 때에는
비록 창공(倉公)이나 편작(扁鵲)이라고 해도 만 사람에 한 사람도 살리지 못할 것이다[정전].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癥瘕痃癖證治][징가현벽증치] (0) | 2020.10.08 |
---|---|
[積聚治法][적취치법] (0) | 2020.10.07 |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0) | 2020.10.07 |
[食鬱][식울] (0) | 2020.10.05 |
[血鬱][혈울]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