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痞塊證治][비괴증치]

 

塊 是有形之物, 氣 不能成塊 乃痰與食積·死血也 宜用化塊丸(丹心).

비괴는 형체가 있는 것이다. 기(氣)로는 비괴가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담(痰)이나 식적(食積), 궂은 피[死血]로 생긴다.

이런 데는 화괴환(化塊丸)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凡痞塊 在皮裏膜外 俱宜二陳湯方見上 氣鬱 加補氣 行氣藥, 先須斷厚味(丹心).

대체로 비괴가 피하에 생겼거나 막의 밖에 생겼을 때에는 

다 이진탕(二陳湯)에 기를 보하고 돌게 하는 약[補氣行氣藥]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다. 

그런데 먼저 기름진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단심]. 

 

治痞塊 當降火 消食積(卽痰也) 行死血 塊去後 須大補之(丹心).

비괴를 치료할 때에는 화(火)를 내리고 식적(즉 담(痰)이다)을 삭이며 궂은 피[死血]를 없애야 한다. 

비괴가 없어진 뒤에는 크게 보해야 한다[단심]. 

 

痞塊 一名 癥瘕 其不能移動者 是癥塊也.

或有或無 或上或下 或左或右者 是假塊也.

俱用潰堅湯·丸方見下 積聚治法爲主(丹心).

부인에게 생긴 비괴는 대부분 궂은 피로 생긴 것이다[단심].

비괴를 징가라고도 하는데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은 징괴( 塊)이고

혹 나타났다 없어졌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왼쪽으로 갔다 오른쪽으로 갔다 하는 것은 가괴( 塊)이다.

이런 데는 다 궤견탕(潰堅湯)이나 궤견환(潰堅丸)을 주로 쓴다[단심].

 

脇下有塊 宜當歸龍薈丸方見五藏 加桃仁 薑黃各40g 蜜丸服之(入門).

옆구리 아래에 비괴가 생겼을 때에는 당귀용회환(當歸龍 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복숭아씨(도인), 강황(薑黃) 각각 40g을 더 넣고 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입문]. 

 

驚氣成塊者 妙應丹 加穿山甲炒 鱉甲燒各12g 玄胡索 蓬朮各16g 每服50~70丸以利爲度(綱目).

놀란 기운[驚氣]으로 생긴 비괴에는 묘응단(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산갑(닦은 것), 자라등딱지(별갑, 구운 것) 각각 12g, 현호색, 봉출 각각 16g을 더 넣어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먹는데 설사가 날 때까지 써야 한다[강목].

 

痞塊 宜用連蘿丸 消塊丸 加味柴平湯 消積保中丸 開懷散 柴香散 保和丸 化痞丹 兼用 膏藥 外貼之(諸方).

비괴에는 연라환, 소괴환, 가미시평탕, 소적보중환, 개회산, 시향산, 보화환, 화비단 등을 쓰면서 

겸하여 겉에 고약을 붙여야 한다[제방]. 

 

凡腹中有塊 不問積聚 癥瘕 俱爲惡侯 切勿視爲尋常

若脹滿已 成胸腹鼓急 雖倉扁復生 亦莫能救其萬一也(正傳).

뱃속에 비괴가 있다면 그것이 적취이거나 징가이거나를 가릴 것 없이 다 좋지 못한 증상이므로

결코 등한히 해서는 안 된다.

이미 창만이 되어서 가슴과 배가 팽팽하게 켕길 때에는

비록 창공(倉公)이나 편작(扁鵲)이라고 해도 만 사람에 한 사람도 살리지 못할 것이다[정전].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癥瘕痃癖證治][징가현벽증치]  (0) 2020.10.08
[積聚治法][적취치법]  (0) 2020.10.07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0) 2020.10.07
[食鬱][식울]  (0) 2020.10.05
[血鬱][혈울]  (0) 2020.10.05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痞塊 積聚 在中爲痰飮 在右爲食積 在左爲血積(丹心).

비괴나 적취가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다.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食積)이다.

왼쪽에 있는 것은 혈적(血積)이다[단심].

 

夫 左爲血塊 右爲食積 中爲痰飮 此言誠然 夫左關 肝膽之位 主藏血液,

右關 脾胃之位 主藏飮食 中間 則爲水穀出入之道路 所以左爲血塊 右爲食積 中爲痰飮 其理昭然(丹心).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血塊)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痰飮)으로 생긴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이 과연 옳다.

왼쪽 관(關) 부위는 간담(肝膽)과 연관된 부위인데 간담은 피를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오른쪽 관 부위는 비위(脾胃)와 연관된 부위인데 비위는 음식을 간직하는 것을 주관한다.

가운데는 음식이 들어가고 나가는 길이다. 그러므로 왼쪽에 있는 것은 혈괴이고

오른쪽에 있는 것은 식적이며 가운데 있는 것은 담음으로 생긴 것이라는 말이 정확한 것이다[단심].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積聚治法][적취치법]  (0) 2020.10.07
[痞塊證治][비괴증치]  (0) 2020.10.07
[食鬱][식울]  (0) 2020.10.05
[血鬱][혈울]  (0) 2020.10.05
[痰鬱][담울]  (0) 2020.10.05

[食鬱][식울]

 

曖酸 惡食 黃疸 鼓脹 痞塊 脈氣口緊盛

宜用 蒼朮 香附子 山楂肉 神麴 鍼砂醋炒(入門).

宜服 香砂平胃散 散鬱湯(入門).

식울 때에는 신트림[噫酸]이 나고 음식을 싫어하며 황달이 있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며 비괴( 塊)가 생기고 기구맥(氣口脈)이 긴(緊)하고 성(盛)하다.

이런 데는 삽주(창출), 향부자, 찔광이(산사자), 약누룩(신국),

침사(식초에 담갔다가 볶은 것)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향사평위산, 산울탕을 먹는 것도 좋다.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塊證治][비괴증치]  (0) 2020.10.07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0) 2020.10.07
[血鬱][혈울]  (0) 2020.10.05
[痰鬱][담울]  (0) 2020.10.05
[熱鬱][열울]  (0) 2020.10.05

[血鬱][혈울]

 

四肢無力 能食小便淋 大便紅 脈沈芤澁 宜用 桃仁 紅花 靑黛 川芎 香附子

宜服 生韭飮 順氣丸 當歸活血湯(入門).

혈울 때에는 팔다리에 힘이 없고 음식은 잘 먹으며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맥이 침(沈), 규, 삽(澁)하다.

이런 데는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청대, 궁궁이(천궁), 향부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구음, 순기환, 당귀활혈탕을 먹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痞塊 積聚 所屬部分][비괴 적취 소속부분]  (0) 2020.10.07
[食鬱][식울]  (0) 2020.10.05
[痰鬱][담울]  (0) 2020.10.05
[熱鬱][열울]  (0) 2020.10.05
[濕鬱][습울]  (0) 2020.10.05

[痰鬱][담울]

 

胸滿 動則喘急 起臥怠惰 寸脈沈滑 宜用 海石 香附子 瓜蔞仁 南星

宜服 瓜蔞枳殼湯 升發二陳湯(入門).

담울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움직이면 숨이 몹시 차며

앉으나 누우나 몸이 나른하고 촌맥(寸脈)이 침(沈)하고 활(滑)하다.

이런 데는 해석(海石), 향부자, 하늘타리씨(과루인), 천남성(南星)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과루지각탕, 승발이진탕을 먹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食鬱][식울]  (0) 2020.10.05
[血鬱][혈울]  (0) 2020.10.05
[熱鬱][열울]  (0) 2020.10.05
[濕鬱][습울]  (0) 2020.10.05
[氣鬱][기울]  (0) 2020.10.05

[熱鬱][열울]

 

目蒙口乾 舌燥 小便赤濁 脈沈數

宜用 靑黛 香附子 蒼朮 川芎 梔子 宜服 升陽散火湯 火鬱湯二方並見火門(入門).

열울 때에는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입과 혀가 마르며 오줌이 벌거면서 뿌옇고 맥이 침(沈)하고 삭(數)하다.

이런 데는 청대, 향부자,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산치자(치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화울탕(火鬱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화문에 있다)을 먹는 것이 좋다.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鬱][혈울]  (0) 2020.10.05
[痰鬱][담울]  (0) 2020.10.05
[濕鬱][습울]  (0) 2020.10.05
[氣鬱][기울]  (0) 2020.10.05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육울위적취징가현벽지본]  (0) 2020.10.04

[濕鬱][습울]

 

周身關節走痛 首如物蒙足重 遇陰寒便發 脈沈濡.

宜用 蒼朮 川芎 白芷 赤茯苓

宜服滲濕湯方見濕門 平胃散方見五藏(入門).

습울이란 통증이 온몸의 뼈마디로 옮겨 다니고 머리에는 무엇을 쓴 것 같으며 다리가 무거운 것을 말한다.

이것은 날이 흐리거나 추우면 곧 발작하는데 맥은 침(沈)하고 유(濡)하다.

이런 데는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벌건솔풍령(적복령)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삼습탕(처방은 습문에 있다),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먹는 것도 좋다.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鬱][담울]  (0) 2020.10.05
[熱鬱][열울]  (0) 2020.10.05
[氣鬱][기울]  (0) 2020.10.05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육울위적취징가현벽지본]  (0) 2020.10.04
[脈法][맥법]  (0) 2020.10.04

[氣鬱][기울 / 적취]

 

胸滿脇痛 脈沈澁 宜用香附子 蕪芎 蒼朮(入門).

기울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滿] 옆구리가 아프며 맥이 침(沈)하고 삽(澁)하다.

이런 데는 향부자, 궁궁이(천궁), 삽주(창출)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宜服 木香調氣散 解鬱調胃湯 麥戈 麴丸方見上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 二陳湯煎水呑下 交感丹方見氣門(入門).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鬱][열울]  (0) 2020.10.05
[濕鬱][습울]  (0) 2020.10.05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육울위적취징가현벽지본]  (0) 2020.10.04
[脈法][맥법]  (0) 2020.10.04
[伏梁有二證][복량유이증]  (0) 2020.10.04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육울위적취징가현벽지본]

 

氣血沖和 百病不生 一有怫鬱 諸病生焉 鬱者 病結不散也(丹心).

기혈(氣血)이 고르로우면[ 和] 온갖 병이 생기지 않고

어느 하나라도 지나치게 몰리면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

울(鬱)이라는 것은 병이 몰려서 헤쳐지지 않는 것이다[단심].

 

熱鬱而成痰 痰鬱而成癖 血鬱而成癥 食鬱而成痞滿 此必然之理也.

又氣鬱而濕滯 濕滯而成熱 熱鬱而成痰 痰滯而血不行 血滯而食不消化 而遂成痞塊

此六者 相因而爲病也(正傳).

열(熱)이 몰리면 담(痰)이 생기고 담이 몰리면 벽(癖)이 생기며

혈(血)이 몰리면 징이 생기고 음식이 몰리면 비만( 滿)이 되는 것은 필연적인 이치이다.

또한 기가 몰리면 습(濕)이 막히고 습이 막히면 열이 생기며 열이 몰리면 담이 생기고

담이 막히면 혈이 잘 돌지 못하고 혈이 막히면 음식이 잘 소화되지 못한다.

그리하여 결국 비괴( 塊)가 생긴다.

그러니 이 6가지 병은 서로 연관되어 생긴다[정전].

 

鬱者 結聚而不得發越也 當升者 不得升 當降者 不得降 當變化者 不得變化也

此爲傳化失常 六鬱之病見矣(丹心).

울이라는 것은 엉키거나 몰린 것이 헤쳐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즉 올라가야 할 것이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가야 할 것이 내려가지 못하며 

변화되어야 할 것이 변화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화(傳化)가 제대로 되지 못하여 6가지 울증이 생긴다[단심]. 

 

一曰氣鬱 二曰濕鬱 三曰熱鬱 四曰痰鬱 五曰血鬱 六曰食鬱 此六鬱也

六鬱 不言風寒者 風寒鬱 則爲熱 故也(丹心)

첫째는 기울(氣鬱)이요, 둘째는 습울(濕鬱)이요, 셋째는 열울(熱鬱)이요, 

넷째는 담울(痰鬱)이요, 다섯째는 혈울(血鬱)이요, 

여섯째는 식울(食鬱)인데 이것을 6울이라고 한다. 

6가지 울증에 대한 것을 말할 때 풍(風)과 한(寒)을 말하지 않는 것은 

풍과 한이 몰리면 열이 되기 때문이다[단심]. 

 

治鬱之法 順氣爲先 降火·化痰·消積 分多少而治 蒼朮 蕪芎 總解諸鬱(丹心).

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먼저 기를 고르롭게[順] 한 다음 

화(火)를 내리고 담을 삭이며 적을 없애는 것이다. 

그러나 병이 경한가 중한가에 따라서 치료해야 한다. 

삽주(창출)와 궁궁이(천궁)는 여러 가지 울증을 다 풀어 준다[단심]. 

 

內經 (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木鬱達之 火鬱發之 土鬱奪之 金鬱泄之 水鬱折之

張子和曰 木鬱達之 謂吐之 令其條達也, 火鬱發之 謂汗之 令其疎散也,

土鬱奪之 謂下之, 令無壅碍也, 金鬱泄之 謂滲泄 解表利小便也,

水鬱折之 謂抑之 制其衝逆也, 此治五鬱之大要耳(正傳).

내경에 “목(木)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통하게[達] 해야 하고 화(火)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발산시켜야[發] 하며 토(土)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설사시켜야[泄] 하고 금(金)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땀과 오줌이 순조롭게 나오도록 하고 수(水)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눌러 주어야[折] 한다”고 씌어 있다. 

장자화(張子和)가 “목(木)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은 토하게 하는 약을 써서 위로 통하게 하라는 것을 말하고 

화(火)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발산시켜야 한다는 것은 땀을 내어 헤쳐지게 하라는 것이고 

토(土)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설사시켜야 한다는 것은 설사시켜서 막힌 것을 없애라는 것이다. 

그리고 금(金)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땀과 오줌이 순조롭게 되도록 하라는 것은 

삼설(渗泄)하는 약을 써서 약간 땀이 나게 하고 오줌이 잘 나오게 하라는 말이다. 

수(水)의 기운이 몰렸을 때에는 눌러야 한다는 것은 

치밀어 오르는 기운[衝逆]을 억누르라[抑之制]는 말이다. 

이것이 5가지 울증을 치료하는 대체적인 요령이다”고 씌어 있다[정전]. 

 

諸鬱 通用 六鬱湯 越麴丸 越麴保和丸 加味越麴丸(寶鑑).

여러 가지 울증에는 육울탕, 익국환, 익국보화환, 가미익국환을 두루 쓴다[저방].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鬱][습울]  (0) 2020.10.05
[氣鬱][기울]  (0) 2020.10.05
[脈法][맥법]  (0) 2020.10.04
[伏梁有二證][복량유이증]  (0) 2020.10.04
[論五積六聚][논오적육취]  (0) 2020.10.04

[脈法][맥법]

 

鬱脈多沈伏 或結 或促 或代(正傳).

울증 때의 맥[鬱脈]은 흔히 침복(沈伏)하거나 결(結)하거나 촉(促)하거나 대(代)하다[정전].

 

鬱脈沈澁 積脈弦堅 (丹溪).

울증 때의 맥은 침색(沈 )하고 적병(積病) 때의 맥은 현긴(弦緊)하다[단심]. 

 

病在右脇 有積氣 得肺脈結 結甚則積甚

結微則積微 肺脈雖不見 右手脈當沈伏(難經).

오른쪽 옆구리에 적이 있을 때에는 폐의 맥[肺脈]이 결(結)하다.

맥(結脈)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은 적병(積病)이 심한 것이고

결맥이 미약하게 나타나는 것은 적병이 경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 폐의 맥이 비록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오른손 맥은 반드시 침복(沈伏)하다[난경].

 

心肺有積其脈皆喘數 肝有積氣脈弦長 脾腎有積其脈皆大(綱目).

심(心)과 폐(肺)에 적(積)이 있으면 맥이 다 천삭(喘數)하고 간(肝)에 적이 있으며 

맥이 현장(弦長)하며 비(脾)와 신(腎)에 적이 있으면 맥이 다 대(大)하다[강목]. 

 

脈弦緊爲積 脈弦緊而微細者 癥也,

夫癥瘕積聚之脈皆弦緊 在心下卽寸弦緊 在胃脘卽關弦緊

在臍下卽尺弦緊 內有積不見 難治 見一脈相應 爲易治

診積聚 其脈堅强急者 生, 虛弱者 死.

脈弦而伏者 腹中有癥不可轉也 必死不治(脈經).

맥이 현긴(弦緊)한 것은 적이고 맥이 현긴하면서 미세(微細)한 것은 징( )이다.

대체로 징가, 적취(積聚) 때에는 맥이 다 현긴한데 징가나 적취가 명치 밑에 있으면

촌맥(寸脈)이 현긴하고 위완(胃脘)에 있으면 관맥(關脈)이 현긴하며

배꼽 아래에 있으면 척맥(尺脈)이 현긴하다.

뱃속에 적이 있으나 그것이 맥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고

맥이 증상과 서로 맞는 것은 치료하기 쉽다.

적취를 진찰할 때 맥이 견(堅), 강(强), 급(急)하면 살고 맥이 허약하면 죽을 수도 있다.

맥이 현복(弦伏)한 것은 뱃속에 징이 있는 것인데 그것이 움직이지 않는 것은 반드시 위험하다[맥경].

 

五臟爲積 六府爲聚 積在本位 聚無定處 駃緊浮牢 小而沈實

或結或伏 爲聚爲積 實强者 生, 沈小者 死(脈訣).

5장에 적이 생기고 6부에 취가 생긴다. 적은 일정한 곳에 있고 취는 일정한 곳에 있지 않다. 

맥이 쾌, 긴(緊), 부(浮), 뇌(牢), 소(小)하면서 침실(沈實)하거나 

결맥(結脈) 혹은 복맥(伏脈)이 나타나는 것은 취나 적이다. 

이때에 맥이 실하고 강하면 살고 침하고 소하면 죽을 수 있다[맥결]. 

 

五積屬陰 沈伏附骨 肝弦 心芤 腎沈急滑 脾實且長 肺浮喘卒.

六聚結沈 痼則浮結 又有癥瘕 其脈多弦 弦急瘕疾 弦細癥堅.

沈重中散 食成癖痃 左轉沈重氣癥 胸前 若是肉癥右轉橫旋.

積聚癥瘕 緊則痛纏虛弱者 死 實强可痊(回春).

5적은 음(陰)에 속하는데 이때에 맥은 뼈에 닿도록[骨附] 침복(沈伏)하다.

간적(肝積) 때에는 맥이 현(弦)하고 심적(心積) 때에는 규( )하며

신적(腎積) 때에는 침(沈), 급(急), 활(滑)하며

비적(脾積) 때에는 실(實)하면서 장(長)하며

폐적(肺積) 때에는 부(浮), 천(喘), 졸(卒)하다.

6취 때에는 맥이 결(結)하고 침(沈)하다가 고질이 되면 맥이 부(浮)하고 결(結)해진다.

또한 징가가 생겼을 때에는 맥이 대체로 현하다.

이때에 맥이 현급한 것은 가병[ 病]이고 현세(弦細)한 것은 뜬뜬한 징[ 堅]이 생긴 것이다.

맥이 몹시 침하면서 산(散)한 것은 음식으로 생긴 현벽( 癖)이고

왼쪽 손의 맥이 침한 것은 가슴에 기징(氣 )이 있는 것이다.

육징(肉 ) 때에는 오른쪽 손의 맥이 침하다.

적취나 징가( ) 때에 맥이 긴한 것은 병이 겹친 것[痛纏]인데

허약한 사람은 죽고 튼튼한 사람은 치료할 수 있다[회춘].

 

腹中有積 脈忌虛弱(醫鑑).

뱃속에 적이 있을 때 맥이 허약한 것은 좋지 않다[의감]. 

 

診婦人 疝瘕 積聚之脈 弦急者 生 虛弱小者 死(脈經).

부인들의 산가, 적취 때에 맥이 현급(弦急)하면 살고 허약하고 소(小)하면 위험하다[맥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