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伏梁有二證][복량유이증]
帝曰 病有小腹 盛上下左右 皆有根 此爲何病 可治否
岐伯曰 病名伏梁 裹大膿血居腸胃之外 不可治 治之每切按之致死.
황제(黃帝)가 “아랫배가 불러 오르는데 아래위와 양 옆에 다 병의 뿌리가 있다.
이것은 무슨 병이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그 병의 이름을 복량(伏梁)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속에 피고름이 많이 고이는데 장위(腸胃) 밖에 고이기 때문에 치료할 수 없다.
만약 치료하려고 자주 다치면[按] 죽는다”고 대답하였다.
帝曰 人有身體髀股䯒皆腫 環臍而痛 是爲何病
岐伯曰 病名伏梁 此風根也 其氣溢於大腸而着於肓 肓之原在臍下
故環臍而痛 不可動之 動之爲水 尿澁之病 此二病 同名而實異也(內經 腹中論篇 第四十).
황제가 “넓적다리와 종아리가 다 붓고 배꼽노리가 아픈 것은 무슨 병인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이 병의 이름을 복량(伏梁)이라고 하는데 병의 근원은 풍(風)이다.
풍기(風氣)가 대장(大腸)에서 황( )㈜으로 들어가면 이런 병이 생기는데
황의 원(原)은 배꼽 아래에 있으므로 이때에는 배꼽노리가 아프고 몸을 움직일 수 없다.
그리고 움직이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병으로 된다”고 대답하였다.
이 2가지 병이 이름은 같으나 실지는 다른 병이다[내경].
'[雜病篇] > [積聚]'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鬱][기울] (0) | 2020.10.05 |
---|---|
[六鬱爲積聚癥瘕痃癖之本][육울위적취징가현벽지본] (0) | 2020.10.04 |
[脈法][맥법] (0) | 2020.10.04 |
[論五積六聚][논오적육취] (0) | 2020.10.04 |
[積聚之因] [적취지인] (0) | 201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