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治病後 元氣虛弱

此藥養元氣 補脾胃 進美飮食 淸火化痰 解鬱

白朮土炒100g

蓮肉 桔梗 薏苡仁 各80g

人參 白茯 山藥炒 陳皮 半夏製 白扁豆

黃連二味並薑汁炒

當歸 香附子 遠志 甘草各40g

縮砂 石菖蒲 各2g.

爲末 薑棗煎湯 打神麴末40g 煮糊和 丸梧子大 白湯下100(醫鑑).

앓고 난 뒤에 원기(元氣)가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원기와 비위를 보하고 음식맛이 나게 하며

열을 내리고 담()을 삭히며 울기(鬱氣)를 풀리게 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100g,

연밥(연실), 도라지(길경), 율무쌀(의이인) 각각 8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닦은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까치콩(백편두),

황련(2가지 약을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당귀, 향부자, 원지, 감초 각각 40g,

사인(축사), 석창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과 대추를 넣고 달인 물에

약누룩가루 40g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治內傷 脾胃虛弱 飮食不進

或吐瀉 凡大病後 調助脾胃 此藥極妙.

人蔘 白朮 白茯苓 山藥 甘草灸 各12g

薏苡仁 蓮肉 桔梗 白扁豆 縮砂 各6g.

爲末 每8g 棗湯 點服.

剉取40g 入薑三棗二 水煎服 亦可(入門).

내상(內傷)으로 비위가 허약(虛弱)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여

혹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대체로 중병을 앓은 뒤에 비위를 고르게 하는 데는 이 약이 좋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율무쌀(의이인), 연밥(연실), 도라지(길경), 까치콩(백편두), 사인 각각 6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대추 달인 물에 타 먹는다.

썰어서 40g을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黃芪湯][황기탕]

治慢驚風 大便泄靑色

黃芪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 旺必剋 脾土 宜先實 其土後瀉 其木是 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前胡, 枳殼, 大黃, 赤茯苓,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服(綱目).

전호, 지각, 대황,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白朮, 黃妉, 紫泸, 地骨皮, 滑石 各三分

石膏, 桔梗, 甘草 各二分

人參, 黃芩, 桑白皮, 前胡, 當歸, 白芍藥, 知母, 赤茯巔 各一分

右犫作一貼 水煎服[綱目]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자원, 지골피, 곱돌(활석) 각각 1.2g,

석고,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0.8g,

인삼, 속썩은풀(황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전호,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모,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固眞湯][고진탕]

治痘瘡泄瀉

黃芪 人參 白朮 白茯苓 白芍藥炒

木香 陳皮 訶子皮 肉荳蔲煨 甘草灸 各1g

剉作一貼 入糯米50粒 同水煎服.

糯米 止泄瀉 養胃氣 最好(醫鑒).

마마 때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목향, 귤껍질(陳皮), 가자피,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50알과 함께 달여 먹인다.

찹쌀은 설사를 멎게 하고 위기(胃氣)를 보하는 데 제일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木香散][목향산]

治臧寒滑泄 米穀不化 上熱下冷 口瘡瘦瘁

木香 破故紙炒 各40g

良薑 縮砂 厚朴 各30g

赤芍藥 陳皮 肉桂 白朮 各20g

吳茱萸 胡椒 各10g

肉豆蔲煨四箇 檳榔一箇

爲末 每12g 猪肝16g

批開重重糝藥 槳水一椀 入醋少許 盖覆煮 熟入鹽

葱白三莖 生薑彈子大 同煮水穀盡 空心 作一服 冷食之

初微溏不妨 經年滑泄 與冷痢 只一服效 渴則飮粥湯(得效).

속이 차서[藏寒] 걷잡을 수 없이 설사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면서

상초에는 열이 있고 하초는 냉하며 입이 헐고 몸이 몹시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보골지(닦은 것) 각각 40g,

양강, 사인, 후박 각각 30g,

함박꽃뿌리(작약), 귤껍질(陳皮), 육계, 흰삽주(백출) 각각 20g,

오수유, 후추(호초) 각각 1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4, 빈랑 1.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 12g마다 돼지간 160g을 여러 쪽으로 쪼갠 데 뿌린다.

이것을 신좁쌀죽웃물(藥漿水) 1사발에 식초를 좀 섞은 데 넣고

뚜껑을 덮어서 끓인다.

여기에 소금과 파밑(총백) 3, 생강 달걀 노른자위만한 것을 넣고

다시 물이 거의 졸아들 때까지 달인 다음 꺼내서 식혀 빈속에 먹는다.

그러면 처음에는 약간 묽은 대변[]이 나가는데 염려할 것은 없다.

몇 년 동안 계속되는 활설과 냉리(冷痢) 때에도 이 약을 한번 먹으면 낫는다.

목이 마르면 죽을 먹어야 한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異功散][이공산]

治 脾胃虛弱 不思飮食 腹痛自利

人蔘, 白朮, 白茯苓, 陳皮, 甘草 各4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同煎服(東垣).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배가 아프면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黃芪湯][황기탕]

治慢驚風 大便泄靑色

黃芪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 旺必剋 脾土

宜先實 其土後瀉 其木是 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肉荳][육두구환]

治痘疹泄瀉

赤石脂 白礬枯 各30g

白龍骨 肉荳蔲煨 訶子肉 各20g

木香 縮砂 各12g

爲末 麪糊和 丸黍米大 溫水飮 呑下 一歲兒30, 三歲兒100(綱目).

마마 때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 백반(구운 것) 각각 30g,

백용골,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가자육 각각 20g,

목향, 사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30, 3살 난 어린이에게는 100알씩 따뜻한 미음으로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