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龍散][백룡산]  

明目退瞖

馬牙硝厚紙裹在懷內着肉 養120

取硏如粉 入龍腦少許 取兩米許 點目中

治眼昏生瞖 瞳人不破者 並醫得(本草).

백룡산(白龍散)은 눈을 밝게 하고 예막을 없앤다.

마아초를 두터운 종이에 싸서 가슴에 품고 있는데 살에 닿게 하고 120일 동안 있는다.

다음 이것을 분처럼 보드랍게 갈아 용뇌 조금과 섞어서 쌀 2알만큼씩 떼어 눈에 넣는다.

이 약은 눈이 잘 보이지 않고 예막이 생긴 데 쓰는데 눈동자만 상하지 않으면 다 치료할 수 있다[본초].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09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23.10.08
[硝膽膏][초담고]  (0) 2023.10.04
[敗草散][패초산]  (0) 2023.10.03
[百花膏] [백화고]  (0) 2023.10.01

[硝膽膏][초담고]

痘瘡 斑爛煩痛 或臭爛渫坑不收口

芒硝 爲末 調猪膽汁 塗之 無芒硝則焰硝亦可(綱目).

망초(芒硝)를 가루를 내어 저담즙으로 개어 바른다.

망초가 없으면 염초(焰硝)도 좋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23.10.08
[白龍散][백룡산]  (2) 2023.10.05
[敗草散][패초산]  (0) 2023.10.03
[百花膏] [백화고]  (0) 2023.10.01
[小活血散][소활혈산]  (0) 2023.09.30

[敗草散][패초산]

多年盖屋上爛草 晒乾 細末 糝之

若渾身瘡爛 則攤於席上 令坐臥其上

此草 經霜雪雨露 感天地陰陽之氣 善解瘡毒(入門).

여러 해 된 지붕의 썩은 짚을 말려 가루를 낸 다음 뿌려 준다.

만일 온몸이 헐어서 짓물렀으면 자리 위에 약을 펴고 그 위에 앉히거나 눕힌다.

이 짚은 서리와 눈과 비와 이슬을 맞아서

천지음양의 기를 받았으므로 창독(瘡毒)을 잘 푼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龍散][백룡산]  (2) 2023.10.05
[硝膽膏][초담고]  (0) 2023.10.04
[百花膏] [백화고]  (0) 2023.10.01
[小活血散][소활혈산]  (0) 2023.09.30
[益元散][익원산]  (9) 2023.09.26

[百花膏] [백화고]

白蜜略用湯和 時時以雞羽 刷身上(正傳).

꿀을 끓인 물에 타서 때때로 닭의 깃으로 몸에 발라 준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硝膽膏][초담고]  (0) 2023.10.04
[敗草散][패초산]  (0) 2023.10.03
[小活血散][소활혈산]  (0) 2023.09.30
[益元散][익원산]  (9) 2023.09.26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2023.09.25

[小活血散][소활혈산]

痘疹出多 身痛叫喚 及煩躁脹痛

白芍藥 爲細末 每4g 淡酒調下(正傳).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약한 술에 타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敗草散][패초산]  (0) 2023.10.03
[百花膏] [백화고]  (0) 2023.10.01
[益元散][익원산]  (9) 2023.09.26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2023.09.25
[甘草湯][감초탕]  (0) 2023.09.24

[益元散][익원산]

治 中暑 身熱吐瀉 腸澼 下痢 赤白癃閉 盪胃中積聚

寒熱宣積氣 通九竅六府 生津液 去留結 消蓄水

止渴除煩 大養脾腎之氣 解百藥 酒食邪毒

滑石225g, 甘草灸37.5g

上細 末每12g 溫蜜 水調服欲冷飮者 井水調下(宣明)

더위먹어[中暑] 몸에서 열이 나며 토하고 설사하며

적백이질(赤白痢疾)이 있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 속의 적취(積聚)와 한열(寒熱)을 씻어내며 뭉친 기[積氣]를 헤치고

9(九竅)6(六府)를 통하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맺힌 것[留結]을 헤치며[] 쌓인 물[蓄水]을 삭아지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답답증[]을 없애고 비신(脾腎)의 기를 크게 보하며

여러 가지 약, , 음식 등의 중독을 풀어 준다.

곱돌(활석) 240g, 감초(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따뜻한 꿀물에 타 먹는다.

찬 것을 먹고 싶으면 찬물에 타 먹는다[선명].

 

一名, [六一散], [天水散], [神白散]

일명 육일산(六一散), 천수산(天水散) 또는 신백산(神白散)이라고도 한다.

 

因寒吐瀉反胃 加乾薑20g 名曰 [溫六丸]

찬 탓으로 토하고 설사하며[吐瀉] 반위증(反胃證)이 된 데는

건강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온륙환(溫六丸)이라고 한다.

 

濕熱泄瀉 加紅麯20g

名曰 [淸六丸] 俱以陳米飯作丸梧子大

白湯呑下 五七十丸(入門).

습열(濕熱)로 설사하면 홍곡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청륙환(淸六丸)이라고 한다.

묵은 쌀밥(陳米飯)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一名 [六一散] 治 囍亂 吐瀉 取此藥 生薑湯調下妙 [丹心]

일명 육일산(六一散)이라고도 한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좋다(처방은 서문에 있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花膏] [백화고]  (0) 2023.10.01
[小活血散][소활혈산]  (0) 2023.09.30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2023.09.25
[甘草湯][감초탕]  (0) 2023.09.24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甘草湯][감초탕]

治陰毒

甘草灸 升麻 當歸 桂枝 各一錢

雄黃 川椒 各一錢半

鱉甲曧灸三錢右犫作一貼

水煎服毒從汗出未汗再服[入門]

一名 [升麻鱉甲湯][仲景]

음독(陰毒)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승마, 당귀, 계지 각각 4g,

석웅황(웅황), 조피열매(천초) 각각 6g,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 )을 잘라 구운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러면 독이 땀으로 나온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일명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이라고도 한다[중경].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活血散][소활혈산]  (0) 2023.09.30
[益元散][익원산]  (9) 2023.09.26
[甘草湯][감초탕]  (0) 2023.09.24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甘草湯][감초탕]

治陰毒

甘草灸 升麻 當歸 桂枝 各一錢

雄黃 川椒 各一錢半

鱉甲曧灸三錢右犫作一貼

水煎服毒從汗出未汗再服[入門]

一名 [升麻鱉甲湯][仲景]

음독(陰毒)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승마, 당귀, 계지 각각 4g,

석웅황(웅황), 조피열매(천초) 각각 6g,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 )을 잘라 구운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러면 독이 땀으로 나온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일명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이라고도 한다[중경].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元散][익원산]  (9) 2023.09.26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2023.09.25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烏梅湯][오매탕]

治痘渴 及痘不快出

黑豆 菉豆各一合 烏梅3

爲水煎服之(入門).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과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 오매 3.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2023.09.25
[甘草湯][감초탕]  (0) 2023.09.24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紅花子湯][홍화자탕]

治痘渴 及痘不快出

紅花子一合 水煎 服之(正傳).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과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잇꽃씨(紅花子) 1홉을 물에 달여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甘草湯][감초탕]  (0) 2023.09.24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