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筆花散][목필화산]

辛夷花 爲細末 加麝香少許

以瘳白 濐入鼻中數次 卽通[得效]

신이화를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약간의 사향을 넣어

파밑(총백)으로 묻혀서 콧구멍에 몇 번 넣으면 곧 통한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花散][천화산]  (0) 2023.11.17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六月上伏日 採葫蘆嫩蔓 數十根陰乾遇

正月初一日 五更勿令人知將葫蘆蔓

安鍋內燒湯一盆洗未 出痘小孩

兒渾身頭面 上下無處

不洗到方可 此後卽不出痘[唐人秘傳]

음력 6월 상복일에 호로파의 연한 뿌리를 수십 개 캐어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음력 정월 초에 그릇에 넣고 끓인다.

마마를 앓지 않은 어린이를 씻어 주되 온몸을 다 씻어 주면

그후부터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당인비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稀痘湯][희두탕]

卽 秘傳稀痘湯也

凡痘收櫏時 取此湯 微溫 洗面則無瘢痕

洗半面 則半面無瘢痕 神效(方見上)[俗方]

즉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이다.

대개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 이 약물을 약간 따뜻하게 데워서 얼굴을 씻으면 허물이 없어진다.

얼굴 한쪽만 씻으면 한쪽만 허물이 없어지는 것이 묘하다[속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蜆子水][현자수] [가막조개물]

痘後 以此洗面 漸生肌肉 無瘢痕

取活竗子 不以多少 以水養五日 每日取此水 常洗手面[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이 약으로 얼굴을 씻으면 살이 점점 살아 나와서 허물이 없어진다.

산 가막조개 적당한 양을 5일 동안 물에 넣어 두었다가 그 물로 매일 손과 얼굴을 씻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滅瘢散][멸반산]

韶粉一兩(卽檝粉), 輕粉二分半

右硏細 煉猪油 調和塗瘢上 日三次[綱目]

연분 40g, 경분 1g.

위의 약들을 잘 갈아서 졸인 돼지기름으로 개어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매일 세번씩 발라 준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臙脂膏][연지고]

乾檎脂 蜜調塗兩眼圏則 痘不入眼[丹心]

마른 연지를 꿀로 개어 두 눈두덩에 발라 주면 구슬이 눈에 돋지 않는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黃栢膏][황백고]

一名, 護眼膏.

一名, 神應膏.

黃栢一兩, 甘草四兩, 紅花二兩, 菉豆粉一兩半

右爲末 淸油調 從耳前至于兩眼四畔 厚塗之[錢乙]

일명 호안고(護眼膏) 또는 신응고(神應膏)라고도 한다.

황백 40g, 감초 160g, 잇꽃(홍화) 80g, 녹두가루 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기름으로 개어 귀 앞에서부터 두 눈의 주위까지 두텁게 발라 준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周天散][주천산]  (0) 2023.11.05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治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墘

言語蹇澁 口眼圦斜 手足不遂等證

山藥七錢, 甘草炒五錢

人參, 蒲黃炒, 神麴炒 各二錢半, 犀角二錢,

大豆黃卷炒 肉桂 阿膠炒 各一錢七分半

白芍藥, 麥門冬, 黃芩, 當歸, 防風, 朱砂水飛, 白朮 各一錢半

柴胡, 桔梗, 杏仁, 白茯巔, 川芎 各一錢二分半, 牛黃一錢二分,

羚羊角, 麝香, 龍腦 各一錢, 雄黃八分, 白厷 乾薑礐七分半

金箔一百二十箔 內四十箔爲衣 大棗二十枚 蒸取肉硏爲膏

右爲末棗膏 入煉蜜和勻 每一兩作十丸 金箔爲衣

每取一丸 溫水化下[醫鑑]

갑자기 풍을 맞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담연(痰涎)이 막혀서 정신이 어렴풋하며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손발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산약) 28g, 감초(닦은 것) 20g,

인삼,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10g, 서각 8g,

개완두싹(大豆黃卷, 닦은 것), 육계, 갖풀(아교, 닦은 것) 각각 7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맥문동, 속썩은풀(황금), 당귀, 방풍, 주사(수비한 것), 흰삽주(백출) 각각 6g,

시호, 도라지(길경), 살구씨(행인), 흰솔풍령(백복령), 궁궁이(천궁) 각각 5g, 우황 4.8g,

영양각, 사향, 용뇌 각각 4g, 석웅황(웅황) 3.2g 가위톱(白斂), 건강(싸서 구운 것) 각각 3g,

금박(金箔, 40장은 겉에 입힌다) 120,

대추(쪄서 살만 발라 짓찧어 고약을 만든다) 20.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대추고와 졸인 꿀을 섞은데 넣고 반죽한 다음 40g으로

10알씩 만들어 겉에 금박을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따뜻한 물에 풀어 먹는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周天散][주천산]  (0) 2023.11.05
[二角飮][이각음]  (0) 2023.11.04

[麻黃湯][마황탕]

治倒櫏 黑陷

麻黃去節五錢

煎沸 去上沫 再煎去三分之一去滓 乘熱服 神效[本草]

도엽과 흑함을 치료한다.

마황(마디를 버린 것) 20g.

위의 약을 달이다가 위에 뜬 거품은 걷어버리고 다시 달여 3분의 1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이면 잘 낫는다[본초].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周天散][주천산]  (0) 2023.11.05
[二角飮][이각음]  (0) 2023.11.04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11.03

[周天散][주천산]

治黑陷發紩 目直喘急

蟬殼五錢

地龍一兩

爲末每一錢 硏乳香湯調下[入門]

흑함으로 경련이 일고 눈을 곧추 떠 보며 숨이 차 하는 것을 치료한다.

매미허물(선각) 20g,

지렁이(지룡) 40g.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한번에 4g씩 유향 달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二角飮][이각음]  (0) 2023.11.04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11.03
[無比散][무비산]  (2) 2023.1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