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黃散][지황산]

治暴遮黑睛 多致失明

生地黃 熟地黃 當歸 防風 羌活 蟬殼 犀角 木賊 穀精草 白珰藜 大黃 各一錢

玄參五分 木通 甘草 各二分半

右爲末 每取五分 以羊肝煮汁調服[入門]

눈동자를 가리는 검은 막으로 실명에 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숙지황, 당귀, 방풍, 강활, 선각, 서각, 목적, 곡정초, 백질려, 대황 각각 4g,

현삼 2g,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양의 간을 달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蟬猪散][선저산]

蟬殼一兩

猪懸蹄甲二兩入罐內鹽泥固濟燒存性

羚羊角屑二錢半

右爲細末 一歲兒取三分 三歲兒五分 漿水調服 日三夜一[錢乙]

매미허물(선각) 40g,

돼지발뒤꿈치발톱(약탕관에 넣고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 바른 다음 약성이 남게 태운다) 80g,

영양각가루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2g, 3살 난 어린이에게는 2g

신좁쌀죽웃물에 타 먹이되 낮에는 세번, 밤에는 한번 먹인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通聖散][통성산]

白菊花, 菉豆皮, 穀精草 各等分

右爲末 取一錢 乾栉一箇

米厹一盞同煎 候厹盡 只取枾食之 日三[活人]

흰국화(白菊花), 녹두껍질, 곡정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4g씩 곶감 1개와 함께

쌀 씻은 물 1잔에 넣고 달여서 물이 다 줄면 곶감만을 먹는데 하루 세번씩 먹인다[활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密蒙花散][밀몽화산]

治十六般內障 多年昏暗

密蒙花二兩

羚羊角, 燞牄(卽桑履也),

人參, 覆盆子, 地膚子, 枸杞子, 甘草 各一兩

盢蔚子, 时蓂子, 甘菊, 槐花 各五錢

右爲末 每二錢 米飮調下[得效]

16가지 내장과 여러 해 동안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80g,

영양각, 굼벵이(제조, 뽕나무 속에 있던 굼벵이를 쓴다),

인삼, 복분자, 댑싸리씨(지부자), 구기자, 감초 각각 40g,

익모초씨, 석명자, 단국화(감국), 홰나무꽃(괴화)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2) 2023.11.19

[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氖, 羌活, 防風 各等分

右爲末 蜜丸 咯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溫水化下

一名, [崣肝丸][綱目]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궁궁이(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호리(강활),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을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데 풀어 먹는다.

일명 양간환(凉肝丸)이라고도 한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2) 2023.11.19
[搽牙散][다아산]  (0) 2023.11.18

[三豆飮][삼두음]

赤小豆, 黑豆菉豆 各一升, 甘草五錢

右水煮熟 逐日飮汁喫豆 任意服.

已染則輕解 未染者 服之過七日 永不出[得效]

붉은팥,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매일 먹이되 콩은 마음대로 먹게 한다.

이미 전염된 것은 경하게 앓고 전염되지 않았을 때에는 7일 이상 먹이면 일생 동안 걸리지 않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2) 2023.11.19
[搽牙散][다아산]  (0) 2023.11.18
[天花散][천화산]  (0) 2023.11.17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甘草, 桔梗 各五分

防風, 玄參, 鼠粘子, 升麻, 射干 各三分

右犫 水煎服[醫鑑]

감초, 도라지(길경) 각각 2g,

방풍, 현삼, 우엉씨(서점자), 승마, 범부채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搽牙散][다아산]  (0) 2023.11.18
[天花散][천화산]  (0) 2023.11.17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搽牙散][다아산]

白梅肉燒存性, 白礬枯各二錢半, 人中白禭五錢

右爲細末 先以堛菜根 老茶濃煎水

鷄羽濐洗去 腐爛惡肉

至見鮮血 乃付藥 日三次

爛至喉中者 用小竹筒 吹藥入

雖牙齒爛落 口脣穿破 付藥 皆愈.

但鼻梁發紅點則不可治[醫鑑]

백매육(약성이 남게 태운 것), 백반(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먼저 부추뿌리와 묵은 차를 진하게 달인 물을

닭의 깃에 묻혀 문드러져서 못 쓰게 된 살을 씻어 내되 선지피가 나오면 다아산을 하루 세번씩 뿌려 준다.

목구멍까지 헤졌을 때에는 가는 참대대롱으로 약을 불어넣는다.

이가 삭아 떨어지고 입술이 뚫어진 것이라도 이 약을 바르면 다 낫는다.

다만 콧등에 붉은 점이 나타난 것은 치료되지 않는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2) 2023.11.19
[天花散][천화산]  (0) 2023.11.17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天花散][천화산]

天花粉, 桔梗, 白茯巔, 訶子肉, 石菖蒲, 甘草 各等分

右爲末 用水調半匙 在碗內外 以小竹七莖

黃荊七條 縛作一束 點火在碗內 煎服[正傳]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도라지(길경), 흰솔풍령(백복령), 가자육, 석창포,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 반 숟가락에 타서 사발에 담고 그 밑에 가는 참대[小竹] 7대와

광대싸리[黃荊] 7개를 한 묶음으로 하여 불을 달아[點火] 달여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味甘桔湯][칠미감길탕]  (2) 2023.11.19
[搽牙散][다아산]  (0) 2023.11.18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乳香散][유향산]

乳香二錢 水一盞 煎服[丹心]

유향 8g을 물 1잔에 넣고 달여 먹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搽牙散][다아산]  (0) 2023.11.18
[天花散][천화산]  (0) 2023.11.17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