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定中湯][정중탕]

收歛胃氣 止吐瀉 神妙

取眞正黃色土不雜砂石者一塊 置碗內

以百沸湯泡之 以盖合定 候溫左用

兩酒盞和 水飛朱砂末2g

水飛雄黃末4g 少加砂糖 溫服 二服立止(回春).

위기(胃氣)를 수렴(收斂)하며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잘 멎게 한다.

모래와 돌이 섞이지 않은 누런 진흙 1덩이를 끓인 물과 같이 사발에 넣고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따뜻하게 된 때

그 물을 2잔에 갈라서 주사(朱砂, 수비한 것) 2g,

석웅황(웅황, 수비한 것) 4g과 사탕을 조금 넣고

따뜻하게 두번만 먹이면 낫는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龍腦膏子][용뇌고자]

治痘瘡 未透心煩狂躁 氣喘妄語

或見鬼神, 或已發而倒櫏黑陷

不速治則毒入藏 必死

梅花腦子一錢

硏細 滴猪心血和 丸如豆子大

每服一丸 井華水化下

心煩狂躁 紫草湯化下

黑陷溫淡酒化下 服畢少時 心神便定得睡 瘡復透活

一名, [猪心龍腦膏] [活人]

구슬이 잘 내돋지 않아서 가슴이 답답하고 미친 듯이 날치며[] 숨이 차하고 헛소리하며

혹 헛것이 보이는 것 같다 하고 혹 이미 구슬이 내돋아서 도엽과 흑함이 된 것을 치료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독이 5장에 들어가서 반드시 죽는다.

용뇌 4g.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갈아서 돼지염통 피로 반죽한 다음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로 먹인다.

가슴이 답답하여 미친 듯이 날뛰는 데는 지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흑함이 된 데는 따뜻하게 데운 약한 술에 풀어 먹이면 조금 있다가 정신이 안정되고 잠이 들면서 구슬이 다시 나온다.

일명 저심용뇌고(猪心龍腦膏)라고도 한다[활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導赤散][도적산]

治小腸熱 小便不利

生地黃 木通 甘草 各3.75g

右剉 入靑竹葉 七片 同煎服.(錢乙).

소장에 열이 있어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푸른 참대잎(청죽엽) 7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驚搐][경휵]  (0) 2023.09.01

[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煨, 羌活, 防風 各等分

上爲末 蜜丸芡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 溫水化下(綱目).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활,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을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데 풀어 먹는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驚搐][경휵]  (0) 2023.09.01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麻黃 荊芥穗 全蝎 天麻 薄荷 紫草茸 蟬殼 各2g

爲剉作一貼 入葱白一莖 同煎服(入門).

마황, 형개수, 전갈, 천마, 박하, 자초용, 매미허물(선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1대를 넣어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驚搐][경휵]  (0) 2023.09.01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驚搐][경휵]

欲發瘡疹 先身熱 驚跳搐搦 非驚風

宜服發散藥 加減紅綿散 是也(丹心).

구슬이 내돋으려 할 때에 먼저 몸에서 열이 나고 놀라면서 손발에 경련이 일어서 가드라드는 것은 경풍이 아니다.

이런 때는 땀을 내게 하는 약을 먹여야 하는데 가감홍면산이 좋다[단심].

 

痘毒驚搐 心肝熱也.

瀉肝則風自去

瀉靑丸方見五藏 利小便則熱不炎

導赤散方見五藏.

先驚後痘者 輕, 先痘後經者 逆(入門).

마마독으로 경축이 있는 것은 심()과 간()에 열이 있는 것이다.

간의 열을 내리면 풍()이 저절로 없어지는데

이때는 사청환(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 좋다.

오줌을 잘 누게 해도 열이 없어지는데 이때는 도적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 좋다.

먼저 놀란 뒤에 구슬이 내돋는 것은 경()하다.

먼저 구슬이 내돋은 뒤에 놀라는 것은 역증(逆證)이다[입문].

 

發熱時 發驚者 痘在心經而出也 乃爲吉兆(醫鑒).

열이 날 때에 놀라는 것은 구슬이 심경(心經)에서 나오는 것인데 좋은 징조이다[의감].

 

痘未出 先發搐是兼外邪 宜加減紅綿散

如痘發稠密 毒熱內熾 或倒靨 黑陷 時作搐搦 宜用 猪心龍腦膏(正窠).

구슬이 아직 나오기 전에 경련이 먼저 이는 것은 외사(外邪)를 겸한 것인데

이때는 가감홍면산이 좋다.

만일 구슬이 배고[稠密] 마마의 독으로 열이 속에 심하여

혹 도엽, 흑함, 휵닉이 될 때에는 저심용뇌고(처방은 흑함문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紅綿散][홍면산]  (0) 2023.08.29

[蟬退湯][선퇴탕]

蟬殼二十一箇

甘草一錢半

右犫作一貼 水煎服

或爲末每一錢 白湯調下 腹痛立止 而出透 神效[得效]

매미허물(선각) 21,

감초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혹은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끓인 물에 타 먹이면 복통이 곧 멎고 구슬이 잘 나온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驚搐][경휵]  (0) 2023.09.01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紅綿散][홍면산]  (0) 2023.08.29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8.28

[手捻散][수념산]

鼠粘子, 白芍藥, 大黃, 桃仁 各六分

紅花四分, 桂枝二分半

右犫作一貼 水煎服[回春]

우엉씨(서점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대황, 복숭아씨(도인) 각각 2.4g,

잇꽃(홍화) 1.6g, 계지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驚搐][경휵]  (0) 2023.09.01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紅綿散][홍면산]  (0) 2023.08.29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8.28
[參蘇飮][삼소음]  (0) 2023.08.27

[紅綿散][홍면산]

治膿耳枯

白礬海祒曛各一錢

乾檍脂五分, 麝香一字

右硏勻先以綿纏子拭

去耳中膿水盡却

以紙撚濐藥敄 入耳中卽乾[丹心]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 오징어뼈(오적골) 각각 4g,

마른 연지(乾 脂) 2g, 사향 1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그리고 먼저 솜뭉치로 귀 안에 있는 고름을 깨끗하게 씻어 낸 다음

종이심지에 약가루를 묻혀서 귀 안에 넣어 주면 고름이 곧 마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8.28
[參蘇飮][삼소음]  (0) 2023.08.27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8.26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麻黃, 荊芥穗, 全蝎, 天麻, 薄荷, 紫草茸, 蟬殼 各五分

右犫作一貼 入瘳白一莖 同煎服[入門]

마황, 형개수, 전갈, 천마, 박하, 자초용, 매미허물(선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1대를 넣어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紅綿散][홍면산]  (0) 2023.08.29
[參蘇飮][삼소음]  (0) 2023.08.27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8.26
[如聖飮][여성음]  (0) 2023.08.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