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保元湯][보원탕]

痘瘡 首尾 宜保元湯 爲主治

人參二錢

嫩黃妉,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薑一片 水煎服[醫鑑]

마마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보원탕을 주로 쓴다.

인삼 8g,

단너삼(황기),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의감].

 

一二日初出 乾紅少潤 此毒尙淺

宜用 活血勻氣 兼解毒之藥

加 白芍藥一錢 當歸五分 以活血

加 陳皮五分 以勻氣

加 玄參, 鼠粘子 各七分 以解毒

1-2일에 처음 구슬이 나올 때에 건조하고 붉으며

윤택한 기운이 적은 것은 독이 적은 것이므로

혈을 잘 돌게 하고 기를 고르게 하며 겸해서 독을 풀어 주는 약을 쓰되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 당귀 2g을 더 넣어 혈을 잘 돌게 하고

귤껍질(陳皮) 2g을 더 넣어 기를 고르게 하며

현삼, 우엉씨(서점자) 각각 2.8g을 더 넣어 독을 풀어 주는 것이 좋다.

 

二三日 根嚭雖圓 而頂陷者

爲氣虛 弱血亦難聚 宜加 川芎 官桂

2-3일이 되어 구슬 밑둥이 둥글어도 꼭대기가 꺼진 것은

기가 허약하고 혈도 모이기 어려운 것이므로 궁궁이와 육계를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

 

四五日 根嚭雖起 色不光澤

爲氣弱 血盛宜 加 白芍藥 官桂 姎米

4-5일이 되어 물이 실리기는 하나 빛이 윤택하지 못한 것은

기가 약하고 혈이 왕성한 것이므로 백작약, 육계, 찹쌀 등을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

 

五六日 氣盈 血弱 色昏紅紫

宜加 木香 當歸 川芎

5-6일에 기는 성하나 혈이 약하여 빛이 컴컴하고 붉은 자줏빛이면

목향, 당귀, 궁궁이(천궁)를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

 

六七日 不能成漿 爲氣血少 寒不能制

宜加 官桂 姎米

6-7일에도 물이 실리지 못하는 것은

기혈이 적어서 한()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인데

이때는 육계와 찹쌀을 더 넣어 쓰는 것이 좋다.

 

七八日 毒雖化漿 而不滿

宜加 官桂 姎米 發陽 助漿

7-8일에 독이 변하여 물이 실렸지만[漿] 그득하지 못한 것은

육계와 찹쌀을 더 넣어 양기를 발양시켜 물이 많이 실리게 하는 것이 좋다.

 

八九日 漿不盓滿 氣弱而險

宜加 姎米 以成漿

8-9일에 물이 충분히 실리지 못한 것은

기가 약하면서 위험한 증상이므로

찹쌀을 더 넣어 써서 물이 많이 실리게 하는 것이 좋다.

 

十一日十二日 血盡漿足 濕潤不厷者

內虛也 加 白朮 白伏巔 助其收厷

11-12일에 혈은 물이 충분히 실려도 물기가 지나쳐서 거두지 못하는 것은

속이 허한 것인데 이때는 백출 백복령을 더 넣어 써서 물기를 수렴(收斂)하게 할 것이다.

 

十三十四十五日 毒雖盡解 或 有雜證 相仍只

以此 藥隨證 加減

不可用 大寒 大熱之劑 恐致 內損之患[醫鑑]

13, 14, 15일에 독이 비록 풀렸어도 잡증이 아직 있으면

다만 이 약으로 증상에 따라 가감하여 쓸 것이고

성질이 몹시 차거나 몹시 열한 약을 써서 안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湯][궁귀탕]  (0) 2023.08.07
[黃妉湯][황기탕]  (0) 2023.08.06
[回春凉膈散][회춘양격산]  (0) 2023.08.04
[加減凉隔散][가감양격산]  (0) 2023.08.03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回春凉膈散][회춘양격산]

治 三焦火盛 口舌生瘡

連翹一錢二分

黃芩, 梔子, 桔梗, 黃連, 薄荷, 當歸, 生地黃, 枳殼, 赤芍藥, 甘草 各七分

右犫作一貼 水煎服[回春]

3(三焦)에 화가 성하여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한다.

연교 4.8g,

황금, 산치자, 길경, 황련, 박하, 당귀, 생지황, 지각, 작약,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妉湯][황기탕]  (0) 2023.08.06
[保元湯][보원탕]  (0) 2023.08.05
[加減凉隔散][가감양격산]  (0) 2023.08.03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加減凉隔散][가감양격산]

退六經之熱 又治 熱在上焦

連翹二錢

甘草一錢半

梔子, 黃芩, 桔梗, 薄荷, 竹葉 各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正傳]

6(六經)의 열을 내리며 또는 상초열을 치료한다.

연교 8g,

감초 6g,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도라지(길경), 박하, 참대잎(죽엽)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凉膈散 去 大黃, 芒硝

加 桔梗倍, 甘草或 加 防風同爲舟楫之劑浮而上之

治胸膈中 與六經之熱 以手足少陽之氣 俱下膈絡胸中

三焦之氣 同相火遊行於身之表膈

與六經乃至高之分 此藥浮載亦至高之劑

故能於無形之中 隨高而走 去胸膈中及 六經熱也[易老]

一名 [桔梗湯][易老]

양격산에서 대황과 망초를 빼고 도라지(길경)를 더 넣고

감초는 곱절 넣거나 방풍을 더 넣어 쓰는데

다 같이 약 기운을 끌고 올라가는 약으로서 상초에 작용하여

가슴 속과 6경의 열을 치료하게 된다.

이것은 수족소양경의 기()는 다 가름막으로 내려가 가슴 속에 얽혔고

3초의 기는 상화(相火)와 함께 몸의 겉에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가슴과 6경은 모두 퍽 높은 곳인데

이 약도 또한 퍽 높이 올라가는 약이므로 보이지 않는 가운데

높은 데로 따라 올라가서 가슴 속과 6경의 열에 가서 작용한다.

일명 길경탕(桔梗湯)이라고도 한다[역로].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元湯][보원탕]  (0) 2023.08.05
[回春凉膈散][회춘양격산]  (0) 2023.08.04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凉膈散][양격산]

治積熱煩躁 口舌生瘡 目赤 頭昏

腸胃燥澁 便尿秘結

連翹二錢

大黃, 芒硝, 甘草 各一錢

薄荷, 黃芩, 梔子 各五分

右犫作一貼 入靑竹葉七片

蜜少許同煎 至半入硝 去滓服[局方]

적열(積熱)로 번조(煩躁)하고 입 안과 혀가 헐며 눈에 피지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장위(腸胃)가 말라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연교 8g, 대황, 망초, 감초 각각 4g, 박하, 속썩은풀(황금), 산치자(치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푸른 참대잎(靑竹葉) 7

약간의 꿀과 함께 달여 절반이 되면 망초를 넣어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回春凉膈散][회춘양격산]  (0) 2023.08.04
[加減凉隔散][가감양격산]  (0) 2023.08.03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異功散][이공산]

治 脾胃虛弱 不思飮食 腹痛 自利

人參, 白朮, 白茯巔, 陳皮,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 薑三片 棗二枚 同煎服[東垣]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배가 아프면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減凉隔散][가감양격산]  (0) 2023.08.03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23.07.27

[黃妉湯][황기탕]

治 慢驚風 大便泄靑色

黃妉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旺 必剋脾土 宜先 實其土後 瀉其木

是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23.07.27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治諸瘡

生地黃, 赤芍藥, 川芎, 當歸, 防風 各三分

黃芩, 薄荷 各二分

右犫作一貼 水煎服[得效]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한다.

생지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방풍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박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23.07.27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0) 2023.07.25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治 胎漏 腹痛

熟地黃, 當歸, 川芎, 白芍藥, 阿膠珠,

條芩, 白朮, 縮砂, 艾葉, 香附子炒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姎米一撮 水煎 空心服[回春]

태루가 있으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아교주,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사인, 약쑥(애엽), 향부자(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0) 2023.07.25
[增味四物湯][증미사물탕]  (0) 2023.07.24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治 産後發熱 及 熱入血室

柴胡, 生地黃 各二錢

川芎, 赤芍藥, 當歸, 黃芩 各一錢

人參, 半夏,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

一名, [三元湯][保命]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과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일명 삼원탕(三元湯)이라고도 한다[보명].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治 三陰經溫秇 或 夜發者

柴胡, 生乾地黃 各二錢

人參, 半夏, 黃芩, 甘草, 川芎, 當歸, 赤芍藥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 薑三, 棗二 水煎服

3음경 온학이 혹 밤에만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건지황 각각 8g,

인삼, 반하, 황금, 감초, 천궁, 당귀, 적작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治 産後亡血 榮衛虛損 乍寒乍熱

四物湯 去 熟地黃,

加 人參, 乾薑, 甘草 等分煎服[濟生]

해산 후에 출혈을 많이 한 탓으로 영위(榮衛)가 허해져서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서 찐지황(숙지황)을 빼고

인삼, 건강,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어 달여 먹는다[제생].

+ Recent posts